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M.2020.08_04

지역성을 기반으로 한 중국 성황묘 문화상품 연구 - 정저우 주성황묘 중심으로 - 以地域性为基础的中国城隍庙文创商品研究 - 以郑州城隍庙为中心 - A Study on Cultural Products of City God Temple in China Based on Locality - Focused on the Zhengzhou City God Temple -

  • Name : 刘德川ㅣLIU DECHUAN
  • Info : 석사학위논문ㅣ硕士学位论文ㅣMaster's thesisㅣ2020.08
  • Adviser : 이명희ㅣ李明姬ㅣLee, Myung-Hee
192.168.95.161

초록

지역성의 사전적 의미는 한 지역의 특별한 성격을 뜻한다. 이는 자연환경의 차이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적 환경의 차이에 의하여 나타나는 지역적 특성으로서 각 지역마다 특유한 모습으로 나타나는 지역의 종합적인 개성이다. 지역의 독특한 문화는 유형 및 무형의 문화를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면 길거리와 건축 양식 등은 유형의 문화이며, 사람들의 생활 관습, 민간 신앙, 가치관 등은 무형의 문화이다. 중국의 층황신양(城隍信仰, 성황신앙)은 이러한 무형의 지역문화와 유형의 지역문화를 모두 가지고 있는 지역문화이다.
층황션(城隍神, 성황신)은 중국의 종교문화에서 보편적으로 숭배하는 주요 신 중의 하나로, 중국의 민간신앙이나 도교에서 마을의 수호신으로 신봉한다. 성황신은 마을을 수호하고 권선징악을 관장하며 그 지역 사람들의 생사(生死)와 화복(禍福)을 주관한다. 중국 고대에 층황먀오(城隍廟, 성황묘)는 제사 기능을 담당하는 공간적 기능과 세속성을 가진 공공건축물로서 여러 도시에 존재하였는데, 넓은 중국대륙의 각 지역마다 성황묘도 짙은 지역색을 띠고 있다. 중국 시안(西安, 서안)의 창안왕취(長安王曲, 장안왕곡)성황묘는 한나라의 대장군을 성황신으로 모시고 있는데, 성황신이 태어난 날 제사를 지내고, 시안의 지역적 특색을 지닌 음악인 시안구유에(西安鼓樂, 서안고악)를 연주한다. 또한 상하이 현성황묘에서는 초우션시(酬神戯, 수신시)라는 상하이의 지역적 특색을 지닌 극을 통해 성황신의 탄신일을 축하하는 등 각 지역마다 성황신에 대한 제사 활동은 독특한 지역적 특색을 가지고 있다.
정저우시(鄭州市, 정주)는 허난성(河南省, 허남성)의 성도이자 전국의 중요한 교통요지로 징광시안(京廣綫, 경광선)과 롱하이시안(隴海綫, 롱해선)의 철도가 이곳에서 합류한다. 이러한 교통의 편리함 덕분에 정저우시의 경제는 신속하게 발전했다. 또한 정저우는 2016년 중국 국무원이 발표한 중부지역 궐기 촉진계획에서 중국 국가중심도시로 선정되었으며, 2017년 허난성 관광발전 총체계획에 의하면 정저우시의 국가 중심도시 건설을 통해 창의적인 상품을 적극적으로 개발하여 정저우를 중국 중부의 관광도시 이미지로 만들겠다고 발표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의 정저우 주성황묘에 대한 연구를 통해 독특한 지역의 문화를 살펴보고, 현대 도시 이미지를 건설하는데 유익한 참고 자료와 모범 사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시를 상징하는 성황묘를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해석하는 문화상품을 개발함으로서 정저우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에게 도시의 지역성을 어필할 수 있도록 한다.
문화상품은 지역의 문화적 수준을 나타내는 하나의 척도로서 구전을 통해 지역을 알리는 홍보의 메신저 역할을 하며, 볼거리와 즐길거리를 제공하여 관광객의 만족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특히 중국 지역문화 중에 대표적인 성황묘를 중심으로 정저우시의 역사와 문화적 요소를 담아내고, 확고한 지역 아이덴티티를 가지며, 이를 관광객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문화상품을 제작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을 적용하여 현장답사, 심층 인터뷰 및 분석을 실시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성황묘의 문화상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흐름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1장 서론은 연구의 배경 및 목적과 방법을 서술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을 상징하는 성황묘를 통해 정저우시의 문화를 현대적으로 해석하는 그래픽 이미지를 개발함으로서 정저우시를 방문하는 관광객뿐만 아니라 정저우시민들에게도 정저우시 만의 아이덴티티를 어필할 수 있는 문화상품을 개발하고자 한다.
제2장은 자료조사를 통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지역성, 문화상품, 디자인 씽킹과 성황묘에 대한 기본적인 상황을 고찰하였다. 지역성은 한 지역의 특별한 성격으로, 자연환경과 인문환경이 상호작용하여 나타나는 그 지역만의 특징을 말한다. 즉 그 지역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정체성이라 할 수 있다. 차이성과 동태성은 지역문화가 가지고 있는 두 가지 뚜렷한 특징인데 시간적, 공간적 차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문화상품은 문화콘텐츠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문화상품의 개념은 크게 일반적 의미와 정책적 의미로 나뉜다. 일반적 의미로는 문화의 영역이 경제적 영역과 결합함으로써 산업적 생산 및 소비의 대상물로 나타나게 되는 것으로, 문화산업의 모든 결과물을 뜻한다. 성황은 수천 년 동안 중국뿐만 아니라 한국의 민족 신앙체계를 형성해 왔으며, 지금도 일상생활 속에서 보편적으로 전승되고 있는 신앙형식이다. 성황묘의 이론적 조사는 성황묘의 유래, 발전과 현대 성황묘의 기능을 살펴보고 성황묘에 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성황묘가 지역성, 민속성, 종교성 3가지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제3장은 선정된 지역과 성황묘의 문화상품 실태를 조사하여 지역 특징과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본 장에서는 중국 성황묘는 네 가지 계급에 따라 시안 도성황묘(西安都城隍廟), 루져오 부성황묘(廬州府城隍廟), 정저우 주성황묘(鄭州城隍廟), 상하이 현성황묘(上海縣城隍廟)를 선정하여 현황조사를 실시하였다. 네 가지 계급에 따라 구분한 중국의 성황묘를 각각의 도시 개요, 지역 상징물, 지역문화, 성황문화의 네 가지 측면에서 지역문화와 성황문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시안의 도성황묘는 산시성(陝西省, 섬서성) 시안에 위치하여 지역문화를 관중문화라고 하는데, 그 특징은 고정성이다. 시안의 도성황묘에서는 성황신에게 제사를 지낼 때 다른 성황묘와는 달리 시안지방 특유의 음악인 시안고악을 연주한다. 안후이성(安徽省, 안휘성) 루저우 부성황묘는 허페이시에 위치하여 중국 남방문화와 북방문화의 교착점으로서 늠름한 중원문화와 영리한 강남문화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다. 루저우 부성황묘는 성황신에게 제사를 지낼 때 지방극인 황매시(黃梅戲, 황매휘) 등을 공연한다. 허난성 정저우의 주성황묘는 정저우시에 위치하여 지역문화를 중원문화라고 하는데, 중원문화는 중국문화의 원천이자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정저우의 성황문화는 주성황묘에서 춘절마다 각 지방의 민간놀이와 지방극을 공연한다. 상하이의 현성황묘는 상하이시에 위치하여 지역문화를 하파이(海派, 해파)문화라고 하는데, 하파이문화는 다양한 사회 계층, 다양한 직업을 갖고 있는 상하이 시민들이 만들어낸 상호 교류 및 모방의 생활 방식을 특징으로 한다. 상하이의 성황문화는 상하이 지방의 특유의 지방극을 공연하면서 성황신에게 제사를 지낸다.
시안의 도성황묘에서 개발한 문화상품은 중국의 디자인회사인 치당운화(啓唐文化, 계당문화)와 합작한 설날 선물세트를 출시한다. 설날선물 세트 중 게임을 통해 문화상식을 소개하는 상품이 있는데, 중국의 민속문화에만 집중하여 두성황모문화와 지역의 특색을 지닌 민속문화는 소개되지 않았다. 루저우의 부성황묘에서는 문화상품을 전문으로 하는 아틀리에 찡위화팡(玉京華房, 옥경화방)을 설립하였는데, 이곳에서 판매하는 문화상품은 모두 수작업으로 제작한 것으로 단일 상품으로서의 품질은 우수하지만 제작 수량이 제한적이다. 정저우 주성황묘에서 판매하는 문화상품은 기복용품과 장식품의 두 가지가 있는데, 제품군이 너무 단조롭고 지역문화와 도교문화의 특성이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성황묘에서 복을 빌때 쓰는 기복패에는 공자의 이미지를 연출하였다. 상하이 현성황묘의 문화상품은 도교의 문화적 특성이 부족하며, 일본 신사에서 판매되는 부적(御守, 오마모리)까지 판매하고 있다.
제4장은 장은 정저우 주성황묘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과정이다. 춘절에 성황묘에 가서 복을 비는 행위는 중국인들의 오래된 풍속이므로 이러한 배경 하에서 정저우 주성황묘 문화상품의 테마를 춘절 선물로 정하였다. 이어서 소비자의 니즈를 알기 위해 정저우 주성황묘를 찾은 방문객 15명과 담당자 1명에게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인터뷰한 내용을 4w1h 프레임으로 정리하여 소비자 니즈를 분석하였는데, 정저우 주성황묘에서 판매하는 문화상품의 문제점은 다양성 부족, 낮은 심미성, 낮은 품질, 성황문화의 표현 부재, 지역적 희소성 부재 등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디자인 컨셉을 정저우 지역문화, 성황신앙, 성황묘의 세 가지로 추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통합적 사고를 보다 명확히 표현하기 위해 스토리텔링 기법을 이용하고 테스트 사고를 추가해 이미지를 반영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정저우 주성황묘 성황신의 민담 중에 제일 대표적인 지신지유주(紀信救主, 지신이 주군을 구한다)를 선정하여 그래픽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지신지유주의 발단, 전개, 위기, 절정, 결말 단계의 내용을 이용하여 정저우 주성황묘 문화상품 그래픽 요소를 총 5가지로 나누었다. 첫 번째는 유방의 한나라와 항우의 초나라 간의 전쟁이야기인 추한정바(楚漢爭霸, 초한쟁패), 두 번째는 항우의 군세가 유방이 있는 싱양성을 포위하는 장면인 쿤싱양(困滎陽, 곤싱양), 세 번째 쯘웨류방(真僞劉邦, 진위유방)은 유방이 신하 중 유방과 제일 닮은 지신을 설득하는 장면, 네 번째는 가짜 유방임을 알아챈 항우가 지신을 불태우는 장면인 호샤지신(火燒紀信, 불타는 지신), 다섯 번째는 지신을 기념하기 위해 성황묘를 세워 정저우시의 성황신으로 모시는 장면인 정저우층황(鄭州城隍, 정저우성황)이다. 여기서 네가지의 그래픽 디자인을 활용하였는데, 첫 번째는 성황신 조각상을 원형으로 만든 그래픽 디자인이고, 두 번째는 성황묘 문화를 정저우의 랜드마크인 27기념탑과 지역문화의 상징물인 황허의 그래픽 이미지와 융합한 디자인이다. 세 번째는 정교하고 견고하기로 유명한 정저우 주성황묘의 건축물이 중원문화의 스타일을 잘 표현하고 있기 때문에 성황묘 건물을 이용하여 지역적 특징과 성황묘를 표현한 패턴디자인이다. 네 번째는 지신지유주의 등장인물인 지신, 항우, 유방과 스토리의 발생지인 정저우의 지도를 가지고 디자인을 진행하였다. 각 장면의 디자인과 색채는 허난성의 쭈샨쯘(朱仙鎮, 주선진) 지역에서 개발한 전통 연화를 참고해 응용하였다. 설날에는 가족 또는 친구 간에 서로 선물을 주고받는 풍습이 있기 때문에 정저우 주성황묘 문화상품 디자인의 테마는 "정저우 주성황묘 설날 선물”으로 선정하였고 앞서 제작한 그래픽 디자인을 이용하여 방문객들이 부담 없이 구매할 수 있는 문화상품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정저우 주성황묘 문화상품이 정저우의 지역특징과 성황묘 문화를 잘 표현하는지에 대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문화상품의 긍정적인 부분은 정저우 주성황묘에 방문 여부와 상관없이 문화상품이 정저우시 랜드마크와 허난성 연화의 색채, 이야기 등을 통해 지역적 특성을 명확히 보여주었다고 하였다. 부족한 점은 지역문화를 강조한 반면 성황묘의 도교문화와 성황문화에 관련된 표현이 많이 부족하였다고 하였다. 따라서 향후에는 역사적인 배경이나 스토리에 대한 설명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마지막 제5장은 결론으로써 앞서 제시한 연구의 최종적 결과를 종합하였고, 연구의 결론과 기대효과를 서술하였다. 본 연구는 선정된 성황묘에 대한 현장조사를 다 진행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정저우 주성황묘에 한정된 현장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프로토타입으로 개발된 문화상품에 대한 점검 인터뷰는 인터넷을 통해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정저우시의 고유한 지역성과 독특한 성황묘 문화를 표현하는 문화상품의 디자인 개발을 통하여 정저우 지역 관광산업의 질적 개선과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
연구 결과로 제안된 문화상품은 정저우 상업의 선전 및 홍보 자료 등에 널리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정저우와 성황묘를 방문하는 많은 관광객들은 본 연구에서 제안한 성황묘 문화상품을 사용함으로써 중국의 중원지역 문화를 체험하고 경험할 수 있는 계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을 통해 정저우 지역문화 홍보와 성황문화의 활성화 및 현대 도시 이미지 건설에 유익한 참고 자료와 모범 사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에서 중국 지명 및 인물명은 "중국어 발음(한자, 한국독음)”으로 쓰기로 하였다.

摘要

地域性的意义是指一个地区的特殊性格。这是自然环境差异以及社会、文化环境差异造成的地区特征,也是各地区特有的综合性个性。地区的独特文化包括有形和无形文化。例如街道和建筑样式等是类型的文化,人们的生活习惯、民间信仰、价值观等是无形的文化。中国的城隍信仰是兼具这种无形地域文化和有形地域文化的区域文化。
城隍神是中国宗教文化中普遍崇拜的主要神之一,由中国的民间信仰或道教奉为村落的守护神。城隍爷守护村庄,掌管惩恶扬善,主管当地人民的生死和祸福。中国古代城隍庙是具有祭祀功能的空间功能和世俗性的公共建筑,存在于多个城市,在广阔的中国大陆各地城隍庙也呈现出浓厚的地域色彩。 中国西安的长安王曲城隍庙供奉着汉朝的大将军为城隍神,城隍神出生当天举行祭祀,演奏具有西安地区特色的音乐西安鼓乐。另外,在上海城隍庙,通过名为"酬神戏"的上海地区特色的剧目来庆祝城隍庙诞生日等,各地区对城隍神的祭祀活动都具有独特的地区特色。
郑州市是河南省的省会城市,也是全国的重要交通要地,京广线和陇海线的铁路在此汇合。得益于这种交通便利,郑州市的经济得到了迅速发展。郑州在2016年中国国务院公布的中部地区崛起促进计划中被选为中国国家中心城市,2017年河南省旅游发展总体规划中提出,通过建设郑州市的国家中心城市,积极开发创意性商品,将郑州打造成中国中部旅游城市形象。因此,通过本论文对郑州城隍庙的研究,可以了解独特地区的文化,为建设现代城市形象提供有益的参考资料和范例。另外,开发以现代设计诠释象征城市的城隍庙的文化商品,让来郑州旅游的游客感受到城市的地域性。
文化商品作为体现地区文化水平的尺度之一,可以宣传地区,又可以起到提供看点和乐趣,提高游客满意度的作用。 特别是以中国地域文化中代表性的城隍庙为中心,包含了郑州市的历史和文化要素,具有坚定的地域特色,制作能够吸引游客的文化商品的目的。因此,将采用Design Thinking,进行现场勘察、深层采访及分析,了解问题所在,并以此为基础提出城隍庙的文化商品。 本研究以下列内容进行了研究。
第一章是论叙述了研究的背景、目的和方法。本研究将通过象征地区的城隍庙开发以现代方式诠释郑州市文化的图像,不仅对访问郑州市的游客,对郑州市市民也将开发能够体现郑州市特色的文化商品。
第2章是通过资料调查,考察了理论背景,并考察了地域性、文化商品、设计指南和城隍庙的基本情况。地域性是一个地区的特殊性格,是指自然环境和人文环境相互作用而出现的那个地区的独特特征。可以说这是该地区独有的整体性。差异性和动态性是地域文化具有的两大鲜明特征,从时间、空间的角度可以区分开来。文化商品在文化产品中起着重要的作用,文化商品概念大体上分为一般意义和政策意义。一般意义上,文化领域与经济领域相结合,成为产业生产及消费的对象,意味着文化产业的所有成果。盛况城隍神是数千年来不仅在中国,还形成韩国的民族信仰体系,至今在日常生活中仍普遍传承的信仰形式。城隍庙的理论调查考察了城隍庙的由来、发展和现代城隍庙的功能,通过对城隍庙的相关先行研究发现,城隍庙具有地域性、民俗性、宗教性三大特点。
第三是对被选定的地区和城隍庙的文化商品实态进行调查,掌握地区特征和问题点。本章根据中国城隍庙的四种等级,选定西安都城隍庙、庐州府城隍庙、郑州城隍庙、上海县城隍庙进行现状调查。 根据四种不同阶级区分的中国城隍庙从各个城市概要、地区象征物、地区文化、城隍文化四个方面来看待地区文化和城隍文化。西安的都城隍庙位于陕西省西安市,地域文化被称为观众文化,其特点是固定的。在西安的都城隍庙,祭祀城隍神时与其他城隍庙不同,演奏西安地方特有的音乐"西安古乐"。安徽省庐州府城隍庙位于合肥市,是中国南方文化与北方文化的交汇点,兼具雄伟的中原文化和聪明的江南文化特征。庐州府城隍庙在祭祀城隍神时,将上演地方戏黄梅戏等。河南省郑州的城隍庙位于郑州市,地域文化称为中原文化,中原文化可以说是中国文化的源泉和核心。郑州的城隍文化在周城隍庙每逢春节都会上演各地民间游戏和地方戏。上海城隍庙位于上海市,地域文化被称为海派文化,海派文化的特征是,拥有多种社会阶层、多种职业的上海市民创造的相互交流及模仿的生活方式。上海的盛况文化在演出上海地方特有的地方剧的同时,也向城隍神祭祀。
西安的都城隍庙开发的文化商品将推出与中国设计公司启唐文化合作的春节礼物套装。 春节礼物套装中有通过游戏介绍文化常识的商品,但只集中介绍中国的民俗文化,没有介绍城隍文化和具有地区特色的民俗文化。庐州府城隍庙专门设立了专门经营文化商品的京玉华房,这里销售的文化商品都是手工制作的,虽然作为单一商品质量优秀,但制作数量有限。 郑州城隍庙出售的文化商品有祈福用品和装饰品两种,产品群过于单调,没有地域文化和道教文化的特性。 另外,在城隍庙祈福时使用的祈福牌也体现了孔子的形象。上海城隍庙文化商品缺乏道教的文化特性,甚至销售日本神社销售的御守。
第4章是郑州城隍庙文化商品设计开发过程。春节到城隍庙祈福是中国人的古老风俗,因此在此背景下,郑州城隍庙文化商品的主题定为春节礼物。为了了解消费者的需求,对郑州城隍庙的15名访客和1名负责人进行了深度采访。接着将采访内容整理成4w1h框架,分析了消费者的需求,确认了郑州城隍庙销售的文化商品存在多样性不足、审美性低、品质低、城隍文化表现不充分、地区稀缺性不强等问题。 因此,设计理念从郑州地区文化、城隍信仰、城隍庙三方面提取,以此为基础,为了更明确地表达综合性思考,利用故事的手法,选定了郑州城隍庙城隍神的民间故事中最具代表性的纪信救主,进行设计。
利用故事情节的发端、展开、危机、高潮、结尾阶段的内容,将郑州城隍庙文化商品图形要素共分为5个部分。第一个是刘邦的汉朝和项羽的故事,楚汉争霸;第二个是项羽的军势包围有刘邦的荥阳城的场面,困荥阳;第三个是刘邦说服大臣中与刘邦最相像的纪信的场景,真假刘邦; 在这里活用四种图形设计,第一种是以城隍庙雕像为基础的的图案设计,第二种是将城隍庙文化与郑州地标27纪念塔和地区文化象征物黄河的图形形象融合在一起的设计。第三种是郑州城隍庙的建筑,以精巧坚固著称,很好地表现了中原文化的风格,所以利用城隍庙建筑来表现地区特征和城隍庙的图案设计。 第四种是利用纪信救主的登场人物纪信、项羽、刘邦和故事发生地郑州的地图进行设计。各场面的设计和色彩都参照河南省朱仙镇地区开发的传统年画加以应用。
春节期间,由于家人或朋友之间有互相赠送礼物的习俗,郑州城隍庙文化商品设计主题被评选为"郑州城隍庙春节礼物",利用之前制作的图案设计,制作出让访客无负担购买的文化商品。采访了郑州城隍庙文化商品是否很好地表现郑州的地域特点和城隍庙文化。结果显示,与是否访问郑州城隍庙无关,本文化商品通过郑州市地标和河南省年画的色彩、故事等,明确地展现了地区特点。不足之处在于强调地域文化,而对于城隍庙的道教文化和城隍文化的表达却十分不足。因此,今后有必要改善对历史背景和故事的说明。
最后的第五章以结论总结了前面提出的研究的最终结果,叙述了研究的结论和预期效果。本研究很难对被选定的城隍庙进行现场调查。因此,对郑州城隍庙进行了有限的现场调查和采访,对开发成原型的文化产品的检查采访通过网络进行。本研究通过开发体现郑州市固有的地区性和独特的城隍庙文化的文化商品,可以改善郑州地区旅游产业的质量并谋求发展。
研究结果提议的文化商品可以广泛运用于郑州商业的宣传和宣传资料等。来访问郑州和城隍庙的许多游客,通过使用本研究中提议的城隍庙文化商品,可以体验和体验中国的中原地区文化。 通过本论文,有望为郑州地区文化宣传和文化活性化、现代城市形象建设提供有益的参考资料和范例。

Abstract

Locality, in a dictionary sense, refers to the special character of a region and is a comprehensive personality of a region that appears to be unique to each region as a characteristic of the region, as well as the difference in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as well as the natural environment. The unique local culture includes both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es. For example, street and architectural styles are tangible, and people's lifestyle, folk beliefs, and values are intangible. It is culture of city god which has both intangible local culture and local culture in China's local culture.
City God is one of the important deities universally revered in Chinese religious culture, and adherents the god of Chinese folk religion and Taoism as the guardian deity of the village. City God protects the village, oversees the rights and punishment, and organizes the life and death of a local people and the welfare of the people. According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wide China, the City God Temple has a deep regional characteristic in each city. the Changan City God Temple in Xi'an Province, China, will hold a memorial service on the day of the birth of the Great Han Dynasty, and perform Xi'an Goak, which h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Xi'an region. Meanwhile, at City God Temple Shrine in Shanghai, a unique play in Shanghai called Chowushan drama celebrates the day of the birth of the City God. Among them, Zhengzhou City, where Zhengzhou City God Temple is located, was selected as the National Central City in 2016. Since then, the Zhengzhou municipal government has made plans to create a modern cultural landmark that highlights Zhengzhou's city image by using the ancient Zhengzhou City God Temple. Research will be carried out against this background.
The city of Zhengzhou also joins the JingGuang Line and the LongHai Line here as a sacred island in Henan Province and an important transportation hub across the country. This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brought rapid development of Zhengzhou city economy. In addition, Zhengzhou was selected as China's national center city in the Central Region's Rally Promotion Plan announced by the State Council of China in 2016. According to the General Plan for Tourism Development in Henan Province in 2017, it was announced that by actively developing creative products through the construction of a national central city in Zhengzhou City, it would make Zhengzhou an image of a tourist city in central China. Thus, through the study of Zhengzhou City God Temple in this paper, one can look at the culture and local culture of the city, and provide useful reference materials and best practices in building the image of modern city. Therefore, by using City God Temple, which symbolizes the city, to develop cultural products that interpret the culture of Zhengzhou as a modern design, we are going to produce cultural products that can be used to draw tourists visiting Zhengzhou.
Cultural products are a measure of the cultural level of the region, serving as a messenger of publicity to promote the region through oral traditions, and to enhance the satisfaction of tourists by providing attractions and entertainment. In particular, it aims to capture the history and cultural elements of Zhengzhou City, have a firm local identity, and produce cultural products that can appeal to tourists, especially among Chinese local cultures. Therefore, we wanted to apply design thinking to conduct on-site surveys, in-depth interviews and analyses to identify the problems and cultural products of City God Temple based on them.
The structure of this paper is as follows.
Chapter 1 Introduction describes the background, purpose and method of the study. Chapter 2 examin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data surveys and the basic situation of regionality cultural products, design thinking, and sexuality. Locality is a special characteristic of a region, and it is a characteristic of the region that is caused by the interaction of the natural and human environments. In other words, it is a unique identity unique to the region. Difference and dynamics are two distinct characteristics of local culture and can be divided into temporal and spatial dimensions. Cultural products play an important role in cultural contents, and the concept of cultural products is largely divided into general meaning and policy meaning. In the general sense, the domain of culture appears as the object of industrial production and consumption by combining it with the economic domain, which means all the outcomes of the culture industry. China City God Temple is derived from the belief of the City God . City God has been forming a national belief system in Korea as well as in China for thousands of years, and it is still a form of faith that is commonly transmitted in everyday life.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the City God Temple was studied by looking at the origin, development, and function of modern City God Temple, and through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City God Temple, it found three characteristics: locality, folklore, and religion.
Chapter 3 identifie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by examining the selected regions and the status of cultural products in City God Temple. In this chapter, China City God Temple is divided into four ranks: Xian City God Temple, Luzhou City God Temple, Zhengzhou City God Temple, and Shanghai City God Temple Was selected and a current status surve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City God Temple, we looked at the local culture and City God culture in four aspects: city overview, local symbols, local culture, and sanctification culture. Xian City God Temple issued a New Year Day gift set, of which, through games, introduced cultural common sense. In Luzhou City God Temple, the atelier specializing in cultural products was established and sold, and all the cultural products sold were made by hand. The quality of a single product is high, but the quantity produced is small. There are two kinds of cultural products sold in Zhengzhou City God Temple. The product line is too single, showing no regional or Taoist culture. And Confucius image of Confucianism appeared in the relief plaques used in the relief at City God Temple. The cultural products that are sold in Shanghai City God Temple can be broadly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accessories, decorative items, religious items, clothing, and daily items. The cultural products of the City God Temple in Shanghai lack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aoism, and there are also Omamoris sold at Japanese shrines.
Chapter 4 is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cultural product design of the Zhengzhou City God Temple. It is an old custom for Chinese people to go to City God Temple on New Year Day and pray for blessings. Against this background, the theme of the Zhengzhou City God Temple Cultural Products was set as a New Year gift. Therefore, in order to grasp the needs of consumers,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5 visitors and 1 person in charge of the Zhengzhou City God Temple.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organized in 4w1h frames and analyzed for consumer needs are as follows. Local personality must be melted. You should be able to feel the culture of the Zhongyuan region where the second Zhengzhou is located. Accordingly, the design concept was drawn into three areas: Zhengzhou local culture, City God faith, and City God Temple.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express the integrated thinking, the image was reflected by adding a test thinking using a storytelling technique. Therefore, it was designed by selecting the most representative "JiXin saved LiuBang" among the folktales of Zhengzhou City God Temple. "JiXin saved LiuBang" is a story of a subordinate, JiXin, who died as a XiangYu and escaped LiuBang to escape LiuBang, who was in an emergency in the fight between XiangYu and LiuBang.
The first of the graphic elements is the ugly war plaque, which is the story of the war between the Han Dynasty and the Chu Dynasty. The second is a scene in which XiangYu's army surrounds XingYang City with breasts. The third scene is when LiuBang persuades JiXin, who resembles LiuBang the most among his subjects. The fourth is the burning JiXin, a scene where XiangYu notices that he is a fake LiuBang, burning the JiXin. Fifth, the scene of the City God Temple of the zhengzhou was erected to commemorate the JiXin. The design and color of each scene was applied with reference to the traditional paintings from ZhuXianZhen of Henan Province. On the New Year's Day, there is a custom to send and receive gifts between family and friends, so the theme of the cultural product design of Zhengzhou City God Temple was selected as "Zhengzhou City God Temple New Year's Gift" and visitors can it using the graphic design created earlier.
The lastly produced Zhengzhou City God Temple cultural products were interviewed about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Zhengzhou and whether it expresses the culture of the City God Temple well. As a result, the positive part of this cultural product clearly showed local characteristics through the color, story of Zhengzhou city landmarks and Henan Province soft flowers,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y visited City God Temple in Zhengzhou. While emphasizing local culture, it was said that there was a lack of expression related to Taoist culture and City God culture in City God Temple. There is a need to improve descriptions of historical backgrounds and stories in the future.
The last chapter summed up the final results of the research presented earlier as a conclusion, and described the conclusions and expected effects of the study. This study is difficult to carry out on-site surveys of selected City God Temple. Therefore, limited field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at City God Temple in Zhengzhou, and inspection interviews on cultural products developed as prototypes were conducted through the Internet. This research can promote the qualitative improvement and growth of the tourism industry in Zhengzhou area through the development of design of cultural products expressing the unique locality and unique City God Temple culture of Zhengzhou city. The cultural products propos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will be widely utilized in the propaganda and promotional materials of Zhengzhou commerce. It is also expected to help build up the city image of Zhengzhou City by highlighting the characteristics of Zhongyuan area, and provide useful reference materials and best practices for the promotion of Zhengzhou local culture and the revitalization of City God culture.

키워드

  • # 지역성 # 중국 성황묘 # 정저우 주성황묘 # 문화상품

  • # 地域性 # 中国城隍庙 # 郑州城隍庙 # 文化商品

  • # Locality # China's City God Temple # Zhengzhou City God Temple # Cultural Products

참고문헌

[Book]

1. 왕샹오루(王曉如), 『西安非物质文化遗产研究(시안 무형문화유산에 관한 연구)』, 中國社會科學出版社(중국사회과학출판사), 2015
2. 문화관광부, 『자료로 보는 문화상품』, 문화관광부, 2002
3. 산업자원부, 『전통 소재에 의한 한국 문화 상품의 특성화 연구』,산업자원부, 2000
4. 두안링평(段凌平), 『민남민간묘의원류(閩南民間神明廟宇源流)』, 九州出版社(구주출판사), 2012
5. 송수란(宋秀蘭), 『민숙문화의 성지 정저우 성황묘(民俗文化聖地,鄭州城隍廟)』, 중주고적출판사(中州古籍出版社), 2005
6. 전관수, 『한시어사전』, 국학자료원, 2002
7. 송호열,『세계지명 유래 사전』, 성지문화사, 2006
8. 전명윤, 김영남,『중국 100배 즐기기』, 알에이치코리아(RHK), 2010
9. 영상중국 편집부(影像中國 編輯部), 『영황중국 렌드마크 달력2018(影像中國地標日曆2018)』, 동방출판사(東方出版中心), 2017
10. 김윤희,『상하이 놀라운 번영을 이끄는 중국의 심장 : 살림지식총서』, 살림출판사, 2008
11. 배성환, 『처음부터 디시 배우는 서비스 디자인 씽킹』, 한빛미디어, 2017

[Dissertation]

1. 평치안(彭倩), 「益阳城隍庙奉道特供荼包装设计(익양 성황묘의 차 포장디자인)」, 中南林業科技大學(중남임업과학기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2. 량운평(梁潤萍),「尋走于現代的傳統: 城隍信仰的世俗生活(현대의 전통을 찾아라: 성황 신앙의 세속적 생활)」, 青海民族研究(청해민족연구), 2014
3. 박지민, 「지역성을 기반으로 한 관관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국민대학교, 2011
4. 진희경, 「전통소재를 이용한 상품디자인 전략요소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5. 이우휘, 「한국 전통문화 고찰을 통한 문화상품 개발 방향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6. 황지현, 「지역재생 프로젝트 개선을 위한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 활용에 관한 연구 공공미술 벽화사업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7. 한지영, 「신제품 개발을 위한 효율적 분석 단계의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8. 하오잔하이(郝建海), 「허비 성황묘 거리의 리모델링과 갱신전략에 관한 연구(合肥城隍廟街區改造與更新策略研究)」, 허비공업대학교(合肥工業大學), 석사학위논문, 2017
9. 저우뤼야(周睿雅), 「시각적 기호의 정저우 도시이미지 적용에 관한 연구(視覺符號在鄭州城市形象應用研究)」, 정저우 대학교(鄭州大學), 석사학위논문, 2016,
10. 동치안(董箐), 「지역문화를 기반으로한 상하이역사문화의 공공시설 디자인 연구(基於地域文化認同上海歷史文化風貌區的公共設施設計研究)」, 동화대학교(東華大學), 석사학위논문, 2017
11. 박윤제. 「색조화장품 패키지 디자인이 소비자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홍익대학교, 2019
12. 김자성,「PR수행과정에 비춰본 스토리텔링 마케팅의 성공요인 분석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3. 주수경,「지역관광명소를 스토리텔링 한문화관광용 주얼리 상품 개발에 관한연구 : 제주도를 사례로」, 동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Academic Journal]

1. 량운평(梁潤萍), "尋走于現代的傳統: 城隍信仰的世俗生活(현대의 전통을 찾아라: 성황 신앙의 세속적 생활)”, 『青海民族研究(청해민족연구)』, 2014
2. 박정숙, "중국 성황묘의 현대적 계승 양상과 그 의의”, 『중국어문학논문집』,2012, 제73호
3. 박진희, "중국권역별성별기초자료”,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
4. 우동주, "부산 지역성의 존재”, 『건축문화』, 1998
5. 김하나, "박연선 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배색에 관한 연구-19세기 비단조각보를 중심으로”, 『한국색채학회논문집 』, 2008
6. 최갑순, "中國 城隍 信仰, 건축역사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제7권, 1997
7. 쉬샤오나(徐曉娜), "성황묘: 중국 고대 도시의 상징(城隍廟:中國古代城市的標志)”,『당대여행(當代旅游)』, 2017
8. 徐永大, "韓國과 中國의 城隍信仰 比較”, 『중국사연구』, 2001
9. 양춘징(楊春景), 판양(范楊), "성황묘와 성황문화(城隍廟與城隍文化)”,『찬화(參花)』, 2013
10. 정석길, 차성욱, "디자인 씽킹 방법론 융합 유아용 칫솔 제품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2019
11. 김정아, 오인균, "디자인 씽킹을 활용한 디자인 프로세스 방법론 연구”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2016
12. 푸공젠, 펀래우, 리즈신(傅功振, 樊列武, 李之馨), "시안성황신앙에서 신앙문화의 가치와 의의를 살펴본다(從西安城隍信仰看信仰文化的價值與意義)”, 『민산문화(民間文化)』, 2012
13. 왕동매(王冬梅), "루저우문화가 허페이도시권 이미지 디자인의 연구(廬州文化在合肥都市圈形象設計中的研究)”, 『츠평학원학보(赤峰學院學報)』, 2018
14. 장리, 류치앙(張麗, 劉強), "의식융합, 기능다원 및 공간전환 : 허페이 성황신앙의 변천(儀式融合, 功能多元與空間轉換:合肥城隍信仰的變遷)”, 『이춘학원학보(宜春學院學報)』, 2018
15. 쉬운핑, 지안리(徐文平, 建利), "이양병의 진운성황묘 서비와 서예(李陽冰的缙云城隍庙碑及其书法艺术)”, 『리쉬사범전문학교 학보(麗水師範專科學校學報)』, 2004

[Website]

1. 경북일보, "중국과 신라의 도교 유적과 기록”, http://www.kyongbuk.co.kr
2. 매일두조,"성황묘 행사는 지방문화를 보여주는 창구다”https://kknews.cc/culture/y5bvgek
3. thinking lab, "디자인 씽킹”https://tkl.imweb.me
4. "중국 도교 협회(中國道教協會)홈페이지” http://www.taoist.org.cn/loadData.do
5. "두산백과, 시안”http://www.doopedia.co.kr
6. "시안시 홈페이지”, http://kr.xa.gov.cn/
7. "유네스코와 유산 시안 구유에”, https://heritage.unesco.or.kr
8. "두산백과, 허페이”http://www.doopedia.co.kr
9. "정저우시 홈페이지” http://www.zhengzhou.gov.cn/html/www/view2
10. "두산백과, 상하이”, http://www.doopedia.co.kr
11. "동방명주탑 Oriental Pearl TV Tower”, http://www.sigongsa.com
12. "두산백과, 와이탄(外灘, 외탄), 外滩”, http://www.doopedia.co.kr
13. "카이펑 온라인 박물관(開封在綫博物館)”, http://www.kfsbwg.com/html/2019/xnzt_0219/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