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D.2020.02_07

도시재생사업에서 커뮤니티 디자인의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 연구 - 중국 징더전 시 도계천을 중심으로 - 城市再生事业中社区设计的评价指标的开发与适用研究 - 以中国景德镇市陶溪川为例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valuation index of Community Design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 - Focused on Taoxichuan in Jingdezhen -

  • Name : 张景瑜ㅣZHANG JINGYU
  • Info : 박사학위논문ㅣ博士学位论文ㅣDoctor's thesisㅣ2020.02
  • Adviser : 윤지영ㅣ尹智映ㅣYoon, Ji-Young
192.168.95.161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사업에서 커뮤니티 디자인의 평가지표를 위한 분석 및 개발한 후, 징더전 시 도계천을 에 대한 집중 연구를 통해 도계천의 재생사업과 커뮤니티 디자인에 대한 인식 및 평가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도시재생의 관련 개념, 정책 변천과 발전 동향에 대한 고찰을 통해 현재 도시재생의 발전과 커뮤니티 디자인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본 연구에 도시재생사업의 기본 방향과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디자인의 일치성을 명확히 하였다.
둘째, 커뮤니티 및 커뮤니티 디자인 기존의 관련 이론적 고찰하고, 일본, 미국, 영국, 한국 등 여러 국가의 대표적인 커뮤니티 디자인에 관련 연구자나 관련 기관을 기준으로 참여성, 지역성, 환경성, 지속성, 사회성,다양성, 협동성, 정체성 7가지 핵심요소를 정리하였다. 또한, 선행논문 연구에서 2010년 이후의 커뮤니티 디자인에 관한 우수 논문 15편을 선정해 분석 및 검토하며, 현재 커뮤니티 디자인에 관한 연구동향 파악하고 경제성,다양성, 접근성 3가지 핵심요소를 추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종합 정리하여 커뮤니티 디자인의 참여성, 지역성, 환경성, 지속성, 사회성,협동성, 정체성,경제성,다양성, 접근성 10가지 평가지표를 도출하고 재정의 진행하였다.
셋째, 도출한 커뮤니티 디자인 평가지표를 통해 2000년 이후의 재생된 한국의 영도 깡깡이마을(2015), 마포 문화비축기지(2017), 전주 팔복예술공장(2018)과 일본의 뱅크아트 1929(2004), 코가네쵸(2008), 후카야 시네마(2010) 6개 대표적인 커뮤니티 디자인 사례의 도시재생사업의 추진 배경, 사업 구성과 운영 효과를 분석한 후 커뮤니티 디자인 구체적인 29개 평가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였다.
넷째, 중국에의 대표적인 도시재생 사례인 징더전 시 도계천을 중심으로 커뮤니티 디자인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계천의 재생과 커뮤니티 디자인은 민간 파트너 조직을 주체로 하고 징더전의 특정 장소의 도자기 문화 고유성과 전체성을 핵심으로 지역 활성화를 위한 “문화 융합” 전략을 취하고 있다. 도계천은 지역 도자기 문화와 현대예술의 결합을 통해 지역 내부의 자본투자를 실현시키고 지역 고용관계를 만들어내면서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있으며, 지역정체성 혹은 애향심 확보를 통한 지역사회 통합을 이루어가고 있다.
다섯째,도계천의 재생사업과 커뮤니티 디자인에 대한 인식 및 평가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제3장에서 도출한 10가지 평가지표별로 29개 평가 체크리스트를 기준으로 도계천을 위한 설문조사 항목을 작성하였다. 연구자의 조사와 더불어, 지역주민(공무원, 예술가, 상인, 일반주민)을 대상으로‘도계천 도시재생사업에서 커뮤니티 디자인에 대한 인식 및 평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설문조사 데이터에 대하여 SPSSAU. V20.0, ANOVA(Analysis of Variance)과 차이검증(t-test) 등을 실시하였다. 종합적인 평가와 지역주민 간의 차이 비교 등을 진행하여, 도계천 재생사업과 커뮤니티 디자인에 대한 인식 및 평가의 정량적 결과를 도출하였다.
전체적으로 각 그룹간의 통계결과를 비교해 보면, 도계천의 재생사업과 커뮤니티 디자인 평가지표 중 지수가 4.00을 초과한 요소는 공무원은 지역성(4.23),다양성(4.02)으로 일반주민은 다양성(4.11), 지속성(4.05)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공무원 차원에서는 도계천의 재생과 문화산업의 운영은 지역의 역사적 문화적 특성을 충분히 구현하고 폐기 산업공간의 다양한 기능과 콘텐츠를 제공하였다. 또 일반 주민 차원에서는 도계천이 주변 주민 생활에 다양한 실내외 문화공간을 제공하고 있으며, 정기적인 개최하는 장터와 전시, 강좌 등 지역 주민의 문화적 의식을 강화시켜 왔다. 그러나 평가지표 중 지수가 낮은 것을 살펴보면, 상인은 참여성(3.19)이며, 그 다음은 협동성(3.26), 사회성(3.34)으로, 예술가는 협동성(3.33), 참여성(3.35), 접근성(3.37), 상인은 접근성(3.41) 전체 인식도(3.46), 공무원은 사회성(3.47) 등 순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상인과 예술가가 도계천 문화사업의 참여주체 중 하나로 지금까지 활발한 문화행사에 적극적인 참여하지 않았고, 합동성 지수도 낮다는 것을 보면, 이는 상인과 예술가가 예술문화 활동에 있어 다른 참여주체와의 협력을 강화해야함을 의미한다.
유의수준 p < 0.05에서 볼 때, 지역주민(공무원, 예술가, 상인, 일반주민) 그룹 간 참여성, 사회성, 협동성, 접근성에서 유의적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평가에 차이가 존재하는 이유는 참여성, 협동성, 접근성 지표에서 예술가와 상인들은 도계천 문화사업 운영에서 지속적인 참여자와 문화자원 제공자로서, 평가지표 및 각 평가 체크리스트를 더 정확히 인지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사회성 지표에서는 공무원과 상인이 문화산업 현장의 직접적인 이해관계자로서 ‘도계천 예술문화 플랫폼 구축’및‘교육 및 교류의 활성화’와 같은 사회성 평가에 대한 문제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최종적으로, 2000년대 이후 도시재생사업의 전략은 점차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 이미지를 제고하고, 이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여 왔다. 그러나 그 대부분은 관 중심의 하드웨어 구축을 통한 홍보성 행정에 주력하였고, 지역발전과 직접적인 이해관계를 맺고 있는 지역 커뮤니티의 적극적인 참여가 이루어지지 못한 결과 많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제는 지역단체를 중심으로 주민, 정부, 상인의 상호협력 하에, 지역이 가진 문화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의 문화적 가치를 새롭게 부여하고 발전방향을 정해 지역 주민들이 지역사회의 통치자이자 지속적인 창조자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평가지표는 현재 진행중이거나 앞으로 진행될 커뮤니티 디자인의 평가 시 유효한 자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커뮤니티 디자인 관련 정책 제시의 가이드라인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摘要

本研究基于城市再生事业中社区设计的评价指标进行分析和开发后,以中国景德镇陶溪川为中心进行研究,并对其再生事业和社区设计的认识及评价进行问卷调查。 
第一,通过对城市再生的相关概念、政策变迁和发展动向的考察,把握当前城市再生的发展和社区设计的关系,明确了城市再生的基本方向和可持续发展社区设计的一致性。 
第二,考察了社区及社区设计现有相关理论,以日本、美国、英国、韩国等多个国家的代表性社区设计相关的研究者或相关机构为基准,整理了参与性、地域性、环境性、持续性、社会性、多样性、协同性、整体性7个核心要素。 然后,在先行论文研究中,选定了15篇关于2010年以后社区设计的优秀论文进行分析和研讨,掌握现在社区设计的研究动向,增加了经济性、多样性、接近性 3个核心要素。 最后,综合整理出社区设计的参与性、地域性、环境性、持续性、社会性、协同性、整体性、经济性、多样性、接近性10项评价指标并进行重新定义。
第三,通过导出的社区设计评价指标,对2000年以后再生的韩国影岛流氓村(2015年)、麻浦文化储备基地(2017年)、全州八福艺术工厂(2018年)、日本的bank art 1929(2004年)、黄金町(2008年)、深谷电影社区(2010年)6个代表性社区设计事例的城市再生事业组织背景、事业构成和运营效果进行分析后,制定了社区设计具体的29个评估清单。
第四,中国的代表性城市再生事例景德镇市陶溪川为中心,对社区设计进行了具体分析。 道溪川的再生和社区设计以民间合作伙伴组织为主体,以景德殿特定场所的陶瓷文化固有性和整体性为核心,为活跃地区而采取"文化融合"战略。陶溪川通过地区陶瓷文化和现代艺术的结合,实现地区内部的资本投资,并创造地区雇佣关系,活跃地区经济,通过确保地区认同性或爱乡心,实现地区社会统合。
第五,对陶溪川再生事业和社区设计的认识及评价进行了问卷调查。通过第3章导出的10项评价指标和29项评价清单为准,为陶溪川制定了问卷调查项目。然后,以地区居民(公务员、艺术家、商人、普通居民)为对象进行了"陶溪川城市再生事业对社区设计的认识及评价问卷调查",对问卷调查数据进行了SPSSAU.V20.0、ANOVA(Analysis of Variance)和差异验证(t-test)等。通过综合评价和地区居民之间的差异性比较等,得出对陶溪川再生事业和社区设计的认识及评价的定量结果。
从整体来看,陶溪川再生事业和社区设计评价指标中指数超过4.00的主要因素是公务员的地域性(4.23)、多样性(4.02),一般居民是多样性(4.11)和持续性(4.05)。从公务员的角度来看,陶溪川的再生和文化产业的运营充分体现了地区的历史文化特性,提供了废弃产业空间的多种功能和内容。 另外,从普通居民的角度来看,陶溪川为周边居民生活提供了多样的室内外文化空间,并加强了定期举办的集市、展览、讲座等地区居民的文化意识。 但是,从评价指标中指数较低的情况来看,商人的参与性(3.19); 其次是协同性(3.26)和社会性(3.34);艺术家是协同性(3.33);参与性(3.35);接近性(3.37);商人的接近性(3.41);整体认识度(3.46);公务员是社会性(3.47)等。商人和艺术家作为陶溪川文化事业的参与主体之一,至今没有积极参与活跃的文化活动,协同性指数也很低,这说明商人和艺术家在艺术文化活动方面需要加强与其他参与主体的合作。
从显著性差p<0.05>中可以看出,地区居民(公务员、艺术家、商人、普通居民)群体的参与性、社会性、协同性、接近性存在差异。评价存在差异的原因可能是,在参与性、协同性、接近性指标方面,艺术家和商人作为道溪川文化事业运营中持续的参与者和文化资源提供者,能够更准确地认知评价指标及各评价清单。在社会性指标方面,公务员和商人作为文化产业现场的直接利益关系者,对"陶溪川艺术文化平台构建"及"教育及交流的活性化"等社会性评价问题的认识更高。最终,2000年代以后,城市再生事业的战略是逐渐提高地区形象,以促进地区经济发展,并创造互动效果及展开了多种活动。但其中大部分通过构筑以官为中心的硬件来致力于宣传性行政,与地区发展有着直接利益关系的地区社区没能积极参与,结果暴露出很多问题。 现在应该以地区团体为中心,在居民、政府、商人的相互合作下,利用地区拥有的文化资源,重新赋予地区文化价值,制定发展方向,使地区居民成为地区社会的统治者和持续的创造者。本研究中导出的评价指标在目前进行中或今后进行的社区设计评价时,可以作为有效资料使用,也可以作为社区设计相关政策提示的指导方针。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valuation index of community design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to conduct specific analysis and evaluation with Taoxichuan in Jingdezhen city as the object.
Firstly,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related concepts, policy changes and development trends of urban regeneration, to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regeneration and community design, so as to clarify the basic direction of urban regeneration in this study and the consistency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community design.
Secondly, through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the representative community and community design research field scholars and institutions in Japan,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South Korea, etc., seven core elements are sorted out: participation, regionality, environment, sustainability, sociality, diversity, synergy, and identity. At the same time, fifteen excellent published papers related to community design after 2010 are selected for analysis and retrieval, we understand the current research trends of community design and increase the three core elements of economics, diversity, and accessibility. In the end, we obtain ten evaluation indexs of participation, regionality, environment, sustainability, sociality, diversity, synergy, identity, economics, diversity, and accessibility.
Thirdly, based on the 10 evaluation indexs obtained, we have made 29 specific evaluation checklist after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business organization background, industrial composition and operation results of six representative community design cases, including South Korea's KangKangee Village, Oil Tank Culture Park, Factory of Contemporary Arts in Palbok and Japan's bankart1929, Koganecho and Fukayacinema, which were regenerated after 2000.
Fourthly, taking Taoxichuan, Jingdezhen, a representative case of urban regeneration in China as the center for example, we make a concrete analysis of its community design. Taoxichuan's regeneration and community design are centered on non-governmental partner organizations, taking the inherent and integrated nature of Jingdedian ceramic culture as the core, and adopting a "cultural integration" strategy to promote regional activity. In addition, through the combination of regional ceramic culture and modern art, the regional internal capital investment is realized, the regional employment relationship is established, the regional economy is activated, and the regional social integration is realized by ensuring the regional identity and love for the country.
Fifthly, through the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investigation of Taoxichuan's regeneration cause and community design, 10 evaluation indexs and 29 evaluation checklist obtained in the third chapter are used as the benchmark to formulate the evaluation project applicable to Taoxichuan. Taking the local residents (civil servants, artists, businessmen and ordinary residents) as the objects of investiga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on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of urban regeneration and community design in Taoxichuan".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nalyzed by spssau, V20.0, ANOVA (analysis of variance) and t-test, and compared with the differences of cognition among the residents in the area, so as to get the quantitative evaluation results of the regeneration cause and community design in Taoxichua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overall comparison among the residents in Taoxichuan, the factors that exceed the 4.00 in Taoxichuan's regeneration business and community design evaluation indexs are: the regionality of civil servants(4.23), diversity (4.02), and diversity of general ordinary residents(4.11), sustainability(4.05). From the perspective of civil servants, the regeneration of Taoxichuan and the operation of cultural industry fully reflect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endow the abandoned industrial space with various functions and contents. In addition, at the level of ordinary residents, Taoxichuan provides rich and colorful indoor and outdoor cultural space for the surrounding residents. Regular fairs, exhibitions, lectures, etc. strengthen the cultural awareness of community residents. However, the lower index of observation and evaluation indicators are: merchant participation(3.19), followed by synergy(3.26), sociality(3.34), artist synergy(3.33), participation(3.35), and accessibility(3.37). At the same time, the synergy indicator is also low, which shows that businessmen and artists should strengthen cooperation with other participants in art and cultural activities.
It can be seen from the significance criterion p<0.05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articipation, sociality, synergy, and accessibility among the local residents(civil servants, artists, businessmen, ordinary residents). The reason for the differences in the evaluation may be that artists and businessmen, as continuous participants and cultural resource providers in the operation of Taoxichuan cultural industry, have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and various evaluation projects in terms of participation, coordination and proximity. Among the social indicators, civil servants and businessmen have a higher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of "the construction of Taoxichuan art and culture platform" and "the activation of education and communication" as the direct stakeholders of the cultural industry.
Finally, since 2000, urban regeneration has gradually adopted strategies of improving the regional image, carring out diverse activities, and creating synergies for the purpose of regional economic activation. However, at present, most of the cultural industries are still committed to the construction of government centered hardware facilities to achieve administrative publicity. The community subjects with direct interest relationship with regional development have not established a clear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thus exposing many problems. At present, with regional groups as the center, and with the mutual cooperation of residents, government, experts and businessmen, the inherent cultural resources of the region are used to reendow the community with cultural value, so as to establish the overall development direction, and make the local residents become the managers and continuous creators of the community, which is the closest way to urban regeneration. The evaluation indexs obtain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effective information for the ongoing or upcoming evaluation of community design, and can also be used as guidelines for community design related policies.

키워드

  • # 도시재생사업 # 커뮤니티 디자인 # 평가지표 # 평가 체크리스트 개발 # 적용 연구

  • # 城市再生事业 # 社区设计 # 评价指标 # 评价清单开发 # 适用研究

  • # Urban Regeneration Project # Community Design # Evaluation index # Evaluation checklist # Applicable research

참고문헌

[Book]

1. 정지웅, 이성우, 정득진, 박대식 편저,『Communities』, 경문사, 1985
2. 사토마사루, 『커뮤니티 디자인』, 서울 디자인로커스, 2005 사토마사루, 김명환 역,『커뮤니티 디자인 어떻게 할 것인가』, 서울 디자인로커스, 2005
3. 小泉秀樹, 『多世代共創 コミュニテイ 形成に向けた 空間戦略』, 計画行政, 계화행정, 2011
4. 닉 웨이츠, 『커뮤니티 플래닝 핸드북』, 미세움, 2008
5. 윤지영, 오재환, 『커뮤니티디자인을 통한 마을문화 활성화 방안』, 부산발전연구원, 2013
6. 박순철, 김병오, 『팔복예술공장 장소의 발견 - 아카이브 기억의 콜라보레이션』, 전북대학교 무형문화연구소, 2016
7. 장택원,『세상에서 가장 쉬운 사회조사방법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8. 吴明隆,问卷统计分析实务 - SPSS操作和应用,重庆大学出版社(第十二次印刷),2018

[Dissertation]

1. 이윤재, 라도삼, 「커뮤니티뮤지엄의 거버넌스 전략연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 구본섭, 「도시재생을 위한 산업유산 활용방향에 관한 연구 : 폐철도부지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산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3. 李昌求, 「도시재생계획의 지속가능성 사전평가 방법의 적용에 관한 연구」, 仁荷大學校 박사학위논문, 2013
4. 여문정, 「근대산업유산에 기반한 도시재생사례의 장소성 평가 연구」, 동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5. 류동길, 「주민참여를 통한 항만형 도시재생사업의 활성화 방안」,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6. 김형성, 「도시재생사업에서 사회적기업의 역할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안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7. 최성환,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철도패선부지의 활용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19
8. 장헌일, 「커뮤니티 행정을 위한 주민자치센터 운영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9. 장헌일, 「커뮤니티 행정을 위한 주민자치센터 운영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10. 신선화, 「마을만들기의 주민주체와 공동체 활동에 관한 연구: 부산시 사례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디자인학박사학위논문, 2017
11. 이윤혜, 「폐산업시설 활용 문화예술공간의 민간자율 운영체계를 위한 정책연구:유럽사례를 바탕으로 한 전략적 운영방안과 연관하여」,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2. 김담비, 「서울시창작공간 프로그램 개선방안 연구 : 문화예술창조도시 요코하마 사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Academic Journal]

1. 최병두, "공동체 이론의 전개과정과 도시 공동체운동”, 『한국도시연구소』, 2000
2. 안성호, 곽현근, "충청남도 주민자치 기반조성을 위한 동네거버넌스 실천모형과 전략”,『충남발전연구원』, 2013
3. 이일희,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한국도시설계학회』, 2011
4. 박남희, "문화공간과 도심재생 그리고 커뮤니티와의 상생”,『창원아트센터 포럼』, 2011
5. 김학균, 김정곤, "집합주거 단지내의 커뮤니티 형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한국주거학회지』, 2011, Vol.12(2)
6. 김연금, 이영범, "커뮤니티 디자인의 전개와 논의의 특징”,『한국조경학회』, 2012, Vol.40(3)
7. 이석현·최진해. "참여주체에 따른 마을 만들기성과에 관한 연구”, 『대학건축학회』, 2014. Vol.29(9)
8. 김현정, 노이경, 황연숙, “전시공간으로 활용된 유휴시설의 재생디자인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7, Vol.20(5)
9. 강맹훈, 송혜승, "도시재생사업 평가요소에 대한 주민-전문가 간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서울시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을 대상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2017, Vol.18(3)
10. 박소연, 이경훈, “구도심 내 근대산업유산의 재생을 통한 문화클러스터 조성에 관한 연구”,『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5, Vol.24(6)
11. Brown, F.G, The Unpredictability of Predictability, Journal of Educational Measurement, 1991, Vol.13(2)
12. 박동호, "일본 커뮤니티 시네마를 활용한 도시재생 사례 연구 - 후카야 시네마(深谷シネマ)를 중심으로 -”,『예술경영연구』, 2019, Vol.49
13. 袁玥, 『景德镇陶溪川的文化空间再造机理研究』, 创意与设计,2017, ISSN.1674-4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