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1. 컨테이너 운송과 사용이 늘면서 매년 부분 파손으로 폐기 되거나 또는 제한되는 컨테이너 물량이 늘어나면서 본체 구조가 양호한 컨테이너를 컨테이너 주택으로 재활용하고 있다. 친환경 건축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창도하는 배경에 컨테이너 재 주택은 지속 가능한 주택으로 자리 잡고 있다. 컨테이너 주택은 공간 기능의 수요, 환경 쾌적성 및 주택 에너지의 활용 등 면에서 일반 주택의 공통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특수성으로는 건축 낭비가 적고 건설원가가 낮으며 운송과 시공에 편리하고 빠른 장점이 있는 반면에 공간 사이즈, 보온 단열 기능도 제한적이라는 한계도 있다. 그린 건축의 관점에서 컨테이너 주택의 발전 추이와 시장전망을 살펴보고 컨테이너 주택의 모듈화 디자인을 연구하고 컨테이너 주택의 실내설계를 최적화하며 에너지 효용성에 초점을 맞춰 친환경 컨테이너 주택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2. 연구 과정은 다음과 같다.
3. 우선, 이론적 고찰을 통해 컨테이너의 정의, 구성, 유형을 파악하고 컨테이너 건축의 일반적인 개념과 국내외 주거용 컨테이너 건축에 관한 법규와 현황에 대해 알아보았다.
4. 그 다음으로, 선행논문 연구를 통해 컨테이너 주택디자인 특징을 공간구성과 디자인 요소로 나눠 분석의 틀을 설정했다. 컨테이너의 배치와 평면의 구성을 공간구성의 분석대상으로 하고 각 공간의 형태, 색채와 재료, 에너지 효용성을 디자인 요소 기준으로 분석 틀을 정리하였다.
5. 셋째, 컨테이너 주택 관련 논문 및 서적에 나타난 컨테이너 주택 우수 사례 가운데서 10개의 컨테이너 주택사례가 선정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얻은 사례분석 틀을 이용하여 우수하다고 평가되는 컨테이너 주택의 공간구성 및 디자인 요소를 분석하고 선정된 10개 컨테이너 주택의 공간구성 및 디자인 특성의 공통점을 추출하고 생태적 측면에서 에너지 효율을 반영하여 컨테이너 주택 다자인에서 고려해야 할 부분을 제시하였다.
6. 국내 컨테이너 주택은 대부분 임시주택으로 환경이 열악해 연구와 개발이 미흡하다. 컨테이너 관련 논문이 많이 나왔지만 주택 분야의 컨테이너 분석에는 한계가 있었다. 컨테이너 주택 산업체인은 이미 형성되어 있지만 심도 있는 이론적 연구가 부족하다. 건축가의 참여가 저조하고 건축학 전공 차원의 관심도 부족하다. 따라서 컨테이너 주택에 필요한 컨테이너 조립방식, 공간 형태와 배치, 색채와 재료, 에너지 효율성 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수 컨테이너 주택사례를 분석하고, 그 조합방식과 내부 디자인 등을 종합하여 컨테이너 조합방식, 공간 형태와 배치, 색채와 재료, 에너지 효율 등 네 가지 면에서 공통점을 총합하여 추후 참고 자료로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컨테이너 건축 이론의 발전과 실천에 참고할 만한 가치를 제공하고 앞으로 컨테이너 주택디자인에 활용되는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摘要
随着集装箱运输和使用量的增加,每年因部分破损而被废弃或被限制的集装箱数量增加,主体结构良好的集装箱被再利用为集装箱住宅。在倡导环保建筑和可持续发展的背景下,集装箱再住宅成为了可持续住宅。集装箱住宅在空间功能的需求、环境舒适性及住宅能源的活用等方面具有普通住宅的共同性,但特殊性具有建筑浪费少、建设成本低、运输和施工方便快捷等优点,相反空间尺寸、保温隔热功能也有局限性。从绿色建筑的角度观察集装箱住宅的发展趋势和市场前景,研究集装箱住宅的模块化设计,优化集装箱住宅的室内设计,以能源效用性为焦点,提供环保集装箱住宅的理论依据。
研究过程如下。
首先,通过理论考察掌握了集装箱的定义、构成、类型,了解了集装箱建筑的一般概念和国内外居住用集装箱建筑的相关法规和现状。
其次,通过先行论文研究,将集装箱住宅设计特征分为空间构成和设计要素,设定了分析框架。 集装箱的布局和平面的构成以空间构成的分析对象,以设计要素为标准整理了各空间的形态、色彩和材料、能源效用性的分析框架。
第三,集装箱住宅相关论文及书籍中出现的集装箱住宅优秀事例中,有10个集装箱住宅事例被选定。利用通过先行研究获得的事例分析框架,分析被评为优秀的集装箱住宅的空间构成及设计要素,提取被选定的10个集装箱住宅的空间构成及设计特性的共同点,从生态方面反映能源效率,提出了集装箱住宅多边需要考虑的部分。
国内集装箱住宅大部分是临时住宅,环境恶劣,研究和开发不足。 虽然出现了很多有关集装箱的论文,但是住宅领域的集装箱分析存在局限性。 集装箱住宅产业链已经形成,但缺乏深入的理论研究。 建筑师的参与度低,建筑学专业层面的关注度也不足。 因此,有必要研究集装箱住宅所需的集装箱组装方式、空间形态和布局、色彩和材料、能源效率等。
本研究的目的是分析优秀的集装箱住宅事例,综合其组合方式和内部设计等,综合集装箱组合方式、空间形态和布局、色彩和材料、能源效率等4个方面的共同点,为后续研究提供参考资料。因此,希望能为集装箱建筑理论的发展和实践提供参考价值,并成为今后集装箱住宅设计中应用的资料。
Abstract
As container transportation and use increase, containers with good body structure are being recycled into container houses as the volume of containers that are discarded or restricted due to partial damage every year increases. In the background of creating eco-friendly architectur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container housing has become a sustainable housing. Container houses have commonality in terms of demand for spatial functions, environmental comfort, and utilization of housing energy, while they have low construction costs, convenient and fast advantages for transportation and construction, and limited space size and thermal insul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green architecture, it examines the development trend and market prospects of container housing, studies the modular design of container housing, optimizes the interior design of container housing, and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for eco-friendly container housing.
The research process is as follows.
First,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e definition, composition, and type of containers were identified, and the general concept of container construction and the laws and status of residential container construction at home and abroad were investigated.
Next, through previous paper studies, the framework of analysis was established by dividing the characteristics of container housing design into spatial composition and design elements. The arrangement of containers and the composition of the plane were analyzed for the spatial composition, and the analysis frame was organized based on the design elements of each space's shape, color, material, and energy utility.
Third, 10 container housing cases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best container housing cases shown in container housing-related papers and books. Using the case analysis framework obtained through previous studies, the spatial composition and design elements of container houses evaluated as excellent were analyzed, the commonalities of the spatial composition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10 container houses selected were extracted, and energy efficiency was reflected.
Most container houses in Korea are temporary houses,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insufficient due to their poor environment. There were many papers on containers, but there was a limit to container analysis in the housing sector. Container housing industry chains have already been formed, but in-depth theoretical studies are lacking. The participation of architects is low and interest in architecture majors is insuffici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container assembly method, space shape and arrangement, color and material, and energy efficiency required for container hou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xcellent container housing cases, synthesize the combination method and internal design, combine the commonalities in four aspects: container combination method, space shape and arrangement, color and material, and energy efficiency, and provide them as reference later.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provide reference value for the development and practice of container construction theory and will be used for container housing design in the future.
키워드
- #컨테이너 주택
- # 공간구성
- # 디자인 특성
- #集装箱住宅,空间构成,设计特性
- #Container house
- # space composition
- # design characteristics
참고문헌
[Book]
1. Paul Swyere, Intermodal Shipping Container Small Stoll Buildings, Paul Sawyers, 2008
2. Slawik, H.,Bergmann, J., Buchmeier. M., & Tinney, S., CONTAINER ATLAS. Gestalten. 2010
3. Ross Gilbert, Movable Architecture 2, 광서사범대학 출판사, 2018
4. 추덕지, 왕탁남, 왕뢰(邹德志, 王卓男, 王磊), NTAINER ARCHITECTURE DESIGN, 장쑤 과학기술 출판사, 2018,
5. Aidan Hart,Movable Architecture 1, 광서 사범대학 출판사, 2016
6. Jure Kotnik, NEW CONTAINER ARCHITECTURE, 장쑤 과학기술 출판사, 2013
7. Cornelia Doeeies, Sarah zahradnik,Container and Demo Architectural Design Manual, 광서사범대학 출판사, 2019
8. M.Buchmeier, H. Slawik, S. Tinney, J. Bergmann, Dontainer Atlas, Gestalten 출판사, 2020
[Dissertation]
1.김진엽, 「컨테이너를 활용한 모듈러 건축의 유형 분석연구」, 건국대학교 건축학과 박사학위 논문, 2014
2.장여정(张汝婷) , 「컨테이너 건축사례 분석연구」, 시안 건축과기대학 석사학위눈문, 2017
3.김진엽, 컨테이너를 활용한 모듈러 건축의 유형 분석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4.양희정, 컨테이너 건축에서 나타난 공간구축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5.임홍석, 「현대 컨테이너 건축에 나타난 '플랫폼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6.이광옥, 「컨테이너 하우스의 내외장애 사용 경향에 관한 연구」, 한양여자대학교, 연구논문, 2003
7.정유리, 「컨테이너를 활용한 복합시설의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송강군(宋劲军), 「컨테이너 활동 주택디자인에 관한 연구」, 화남 이공대학교 건축 및 토목공학원석사학위눈문, 2012
9.갈청루(葛菁璐), 「컨테이너 리모델링 주택디자인에 관한 연구」, 쑤저우 대학교 디자인학원 석사학위눈문, 2015
10. 자오펑(赵鹏), 「컨테이너 건축의 실용적 디자인 및 건조 연구」, 호남대학교 건축학원 석사학위눈문, 2011
11.궈쉐팅(郭雪婷), 「컨테이너 리모델링 건축 디자인 연구-주거의 기능성을 중심으로」, 남경공업대학 건축디자인학원 석사학위눈문, 2013, pp. 75
12.이빙(李冰), 「컨테이너 주택의 배치디자인에 관한 연구」, 베이징 건축 대학교 건축대학원 석사학위눈문, 2013
13. 갈청루(葛菁璐), 「컨테이너 리모델링 주택디자인에 관한 연구」, 쑤저우 대학교 디자인학원 석사학위눈문, 2015
14. 손청공(孙青功), 「컨테이너 주택의 건축공간구조와 배치에 관한 연구」, 칭다오 이공대학 산업디자인 공정학원 석사학위눈문, 2016
15. 방진진(方珍珍), 「녹색 이념에 따른 컨테이너 주택의 리모델링 디자인에 관한 연구」, 쑤저우 대학교 건축학원 석사학위눈문, 2016
16. 위차오쉐(于乔雪), 「폐컨테이너의 건축설계 중 재활용 연구」, 장안대학 석사학위눈문, 2016
17. 마수항(马守恒), 곽효옥(郭晓玉), 장위칭(张宇晴), 「모듈러 건축의 컨테이너 주택에 관한 연구」, 랴오닝 공업대학 예술 디자인 및 건축학원 석사학위눈문, 2018
18. 노장풍(路长风), 「관광리조트에 컨테이너 건축의 활용」, 2018, 시안과기대학교 석사학위눈문
[Academic Journal]
1. 길빛나, 김미경, "국내 거주용 컨테이너 건축물의 구축현황과 활성화 방안",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16, Vol.25(6)
2. 유해연, 박연정, 조종주, "해외 컨테이너 하우징의 계획 특성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014, Vol.30(1)
3. 조태흠, 진경일, “가변적 평면이 가능한 컨테이너 모듈형 조립식 공동주택의 건축계획”,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2017, Vol.17(4)
[Website]
1. 국가법령정보센터, “컨테이너 관리에 관한 고시”,www.law.go.kr
2. ECOCONTAINERHOME, “일반적인 20' ISO 선적 컨테이너의 축음계 분해도”, ecocontainer hom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