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학위논문석사논문(MA Theses)

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M.2022.02_02

도시공원 사인디자인 평가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부산 키스와이어센터를 중심으로 - 关于城市公园标识设计评价及满意度的研究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Satisfaction of Urban Park Sign System

  • Name : 허효림(许晓琳)/XU XIAOLIN
  • Info : 석사학위논문/硕士学位论文/Master's thesis/ 2022.02
  • Adviser : 윤지영/尹智映/Yoon Jiyoung
192.168.95.172

초록

본 연구는 도시공원의 사인디자인을 연구 대상으로 하며, 이에 대한 특성을 평가하여 전체성과 만족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문헌조사를 통해 사인디자인의 개념, 기능, 구성요소 분석 및 공공공간의 개념, 구성요소, 유형 등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연구를 진행했다. 또한 사인디자인과 관련된 논문에 대한 선행연구를 진행하여 공공공간의 문화적 속성, 즉 통일성, 가독성, 연속성, 심미성, 단순성, 지역성의 6가지 평가요소를 선별했다.
둘째, 자료 수집을 통해 한중 양국의 대표적인 도시공간의 사례 6곳을 선정한 뒤, 각 도시 공간 사례의 사인디자인 구성요소와 평가요소를 구체적으로 분석했다. 또한 모든 구역의 사인디자인 현황과 특징을 정리하는 한편 사인디자인이 전체 공간에서 나타내는 형태와 영향에 대한 분석을 진행했다. 요약하자면 사인디자인은 도시 경관의 일부이지 단순히 감상하기 위한 예술 창작품이 아니다. 그리하여 사인디자인은 구성과 공예 디자인의 측면에서 보다 체계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사인디자인은 모든 공간에 각기 다른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야 한다. 북경 798예술구, 북경 올림픽공원, 상해 서가회공원의 사인디자인은 건축 환경과 전반적으로 일치하는 색상, 재질, 형식의 활용과 건축 환경의 일치 및 조화를 강조했다. 상해 M50창의원, 송산문화창의원, 선유도공원의 사인디자인은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하며, 건축물의 특성과 현재의 운영방식을 결합하여 현대화와 플랫폼화된 독특한 특징을 지닌다.
셋째, 6개 도시공간의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인디자인의 평가 시스템을 도출하고, 부산시의 가장 대표적인 부산시민공원의 사인디자인 평가 시스템을 활용하여 구체적인 분석을 진행했다. 부산시민공원에 대한 사인디자인은 부산시민공원의 전체적인 사인디자인, 부산시민공원의 5가지 주제의 사인디자인, 부산시민공원 건축물의 사인디자인의 3가지로 분류된다. 따라서 통일성, 가독성, 연속성, 심미성, 단순성, 지역성의 6가지 평가요소를 통해 부산시민공원의 3가지 측면을 구체적으로 분석했다.
넷째, 부산시민 및 외국인 방문객을 주요 설문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모든 평가요소에 대한 내용을 열거한 뒤 부산시민공원의 통일성, 가독성, 연속성, 심미성, 단순성, 지역성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 및 만족도를 조사했다. 설문조사의 결과는 SPSS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를 통해 종합 분석을 하여 부산시민공원 사인디자인의 6가지 평가요소와 전체성의 상관성을 살펴봤다. 이러한 통일성, 가독성, 연속성, 심미성, 단순성, 지역성의 6가지 항목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는 공간 속 사인디자인의 전체성에 대한 연구의 객관성을 부여한다. 평가 결과를 보게 되면 현재 부산시민공원의 사인디자인은 지역성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었으며, 심미성, 가독성의 점수도 비교적 낮았다. 반면 방문객의 경우 부산시민공원의 사인디자인은 통일성, 연속성, 단순성의 만족도 점수가 높았다. 또한 전반적으로 부산시민공원의 사인디자인의 이미지에 대한 만족도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보자면 도시 공간의 사인디자인은 문화적 특징과 역사적 의미를 지니며, 도시공원을 디자인할 때는 사인디자인을 통합하여 사인디자인 간의 연계를 강화하고, 공간을 충분히 반영해야 한다. 또한 건축이나 공간디자인의 경우 반드시 역사성과 전체성을 직접적으로 구현해야 하지만, 디자인의 경우에는 기능적인 측면과 미관적인 측면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摘要

本研究以城市公园的标识设计为研究对象,其目的在于评价其特性,研究整体性和满意度之间的相关关系。
第一,通过文献调查,对标识设计的概念、功能、构成要素分析及公共空间的概念、构成要素、类型等进行了全面的理解和研究。另外,对标识设计相关的论文进行了先行研究,筛选出公共空间的文化属性,即统一性、可读性、连续性、审美性、单纯性、地区性的6个评价要素。
第二,通过收集资料,选定了韩中两国的6个代表性城市空间事例后,具体分析了各城市空间事例的标识设计构成要素和评价要素。另外,在整理所有区域的标识设计现状和特征的同时,对标识在整个空间中体现的形态和影响进行了分析。简而言之,标识设计是城市景观的一部分,并不是单纯为了欣赏而创作的艺术作品。因此,标识设计必须在构成和工艺设计方面更加系统地进行,标识设计必须在所有空间中以不同的形态存在。北京798艺术区、北京奥林匹克公园、上海徐家汇公园的标识设计强调了与建筑环境整体一致的颜色、材质、形式的应用与建筑环境的一致及协调。上海M50创医院、松山文化创医院、仙游岛公园的标识设计以传达信息为目的,结合了建筑物的特点和现在的运营方式,具有现代化和平台化的独特特征。
第三,通过对6个城市空间事例的分析,推导出了标识设计的评价系统,并利用釜山市最具代表性的釜山市民公园的标识设计评价系统进行了具体分析。对釜山市民公园的标识设计分为釜山市民公园的整体标识设计、釜山市民公园的5个主题的标识设计、釜山市民公园建筑物的标识设计三种。因此,通过统一性、可读性、连续性、审美性、单纯性、地区性的6个评价要素,具体分析了釜山市民公园的3个方面。
第四,以釜山市民及外国游客为主要问卷调查对象,列举了所有评价要素的内容后,对釜山市民公园的统一性、可读性、连续性、审美性、单纯性、地区性的整体评价及满意度进行了调查。 问卷调查结果通过SPSS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进行了综合分析,观察了釜山市民公园标识设计的6种评价要素和整体性的相关性。 对这种统一性、可读性、连续性、审美性、简单性、地区性6个项目的整体评价赋予了空间中标识设计的整体性研究的客观性。 从评价结果来看,目前釜山市民公园的标识设计没有充分发挥地区性,审美性、可读性的分数也相对较低。 相反,访客在釜山市民公园的标识设计方面,统一性、连续性、单纯性的满意度分数较高。 另外,总体来看,对釜山市民公园标识设计形象的满意度分数较高。
综合来看,城市空间的标识设计具有文化特征和历史意义,在设计城市公园时,应整合标识设计,加强标识设计之间的联系,充分反映空间。 另外,在建筑或空间设计方面,必须直接体现历史性和整体性,但在设计方面,必须优先考虑功能方面和美观方面。

Abstract

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causal design of urban parks and to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totality and satisfaction by evaluating their characteristics.
Firs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overall understanding and study of the concept, function, component analysis of private design and the concept, component, and type of public space were conducted. In addition, prior research on papers related to private design was conducted to select six evaluation factors: cultural attributes of public space: unity, readability, continuity, aesthetics, simplicity, and locality.
Second, after selecting six representative urban space cases from both Korea and China through data collection, the private design components and evaluation elements of each urban space case were analyzed in detail. In addition, while organizing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sign design in all areas,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shape and impact of sign design in the entire space. In summary, autograph design is part of the urban landscape, not simply an art creation for appreciation. Thus, signature design should proceed more systematically in terms of composition and craft design, and signature design should exist in different forms in all spaces. The signature designs of Beijing 798 Art District, Beijing Olympic Park, and Shanghai Seogahoe Park emphasized the use of colors, materials, and forms that generally match the architectural environment and the harmony of the architectural environment. The signature design of Shanghai M50 Changwon, Songsan Culture Changwon, and Seonyudo Park is for the purpose of delivering information, and has a unique characteristic of modernization and platformization by comb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and the current operation method.
Thir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ases of six urban spaces, a sign design evaluation system was derived, and a detailed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ign design evaluation system of Busan City's most representative Busan Citizen Park. Sign design for Busan Citizen Park i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overall sign design of Busan Citizen Park, sign design with five themes of Busan Citizen Park, and sign design of Busan Citizen Park building. Therefore, three aspects of Busan Citizen Park were analyzed in detail through six evaluation factors: unity, readability, continuity, aesthetics, simplicity, and locality.
Fourth, a survey of Busan citizens and foreign visitors was conducted to list all evaluation factors, and the overall evaluation and satisfaction of Busan Citizen Park's unity, readability, continuity, aesthetics, simplicity, and locality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comprehensively analyzed through SPSS P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ix evaluation factors and totality of Busan Citizen Park's signature design. The overall evaluation of these six items of unity, readability, continuity, aesthetics, simplicity, and locality gives the objectivity of the study on the totality of sine design in space. Looking at the evaluation results, the current Busan Citizen Park's signature design was not properly utilizing its locality, and the scores of aesthetics and readability were relatively low.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visitors, Busan Citizen Park's signature design had high satisfaction scores for unity, continuity, and simplicity. In addition, overall,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score for the image of Busan Citizen Park's signature design was high.
Overall, the sign design of urban space has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significance, and when designing an urban park, the connection between sign designs should be strengthened and the space should be sufficiently reflect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architecture or spatial design, historicity and totality must be directly implemented, but in the case of design, functional and aesthetic aspects must be considered first.

키워드

  • #공시공원
  • # 공공시설물
  • # 사인디자인

  • #城市公园,公共设施物,标识设计

  • #Idle industrial facilities
  • # Complex cultural space
  • # Sustainability
  • # Service design
  • # Urban regeneration

참고문헌

[Book]

1.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 공공디자인 진흥 종합계획 2018-2022
2. 이태용, 「거제시 공공시설물디자인 가이드라인 및 표준디자인」, 한국디자인진흥원, 2015
3.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제2조 및 제15조

[Dissertation]

1. 뤼훙, 「도시공원 유람활동 과 공간관계에 관한 연구」, 산둥농업대학 박사학위논문 2013
2. 홍하림, 「공공시설물 디자인을 위한 숨김의 모듈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3. 유혜진, 「도시이미지의 정체성확립을 위한사인디자인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4. 김용운, 「도시민의 공원이용행태가 공원만족도 및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5. 황재웅, 「도시공원의 이산화탄소저감 효용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6. 허기남, 「도시공원 이용자의 만족도 분석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7. 주설희, 「도시환경 이미지개선을 위한 공공시설물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8. 조호정, 「공공시설물과 유니버설 디자인 요소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9. 권성은, 「공공시설물의 효율적 배치 및 디자인 방향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10. 李连珠, 「사인환경에서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성 연구」,东亚大学 석사학위논문, 2001
11. 장징위, 「산업유산 공간의 사인디자인 평가 및 정체성 연구」, 동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12. 이정훈, 「공간정보의 효율적 인지를 위한 시각정보 디자인시스템의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3. 백진경, 「공공건물 사인디자인 문자정보에 대한 사용자 지각효과분석」,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17. 14. Katherine M. Selfridge. "Graphic Design of Building Sign Systems, Information Design", 「John Wiley and Son Ltd.」, 1984
15. 延正秀, 「공공건물 사인디자인의 기능 및 심미성 평가에 관한연구」, 忠南大學校 석사학위논문, 2013
16. 양쩐, 「공공디자인에 있어서 사인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동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7. 최성식, 「도시환경디자인을 위한 사인디자인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18. 강소은, 「공간정보 디자인에서의 박물관 브랜드 이미지 표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9. 연정수, 「공공건물 사인디자인의 기능 및 심미성 평가에 관한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20. 이정현, 「정보 시각화의 그래픽 요소를 통한 테마파크 사인디자인 디자인 사례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21. 유혜진, 「도시이미지의 정체성확립을 위한사인디자인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눈문, 2010
22. 왕협, 「공공디자인에 있어서 사인디자인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3. 孙春燕, 「标识设计的形式美评价与特征识别研究」, 南京理工大学 硕士学位论文, 2014
24. 朱琼芬, 「江南水乡景观标识设计的地域文化性研究」, 东华大学 硕士学位论文, 2009
25. 김병기, 「지속가능한 주민참여형 예술 창작 공간연구-부산시민공원 문화예술촌을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26. 호설자, 「문화예술딘지를 통한 도시재생 전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27. 이암우, 「도시공원 사인스시템 디자인에 관한 연구」, 동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28. 안미선, 「환경재생도시 공원의 생태관광지로서의 활용방안」,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9. 이다혜, 「상업유산으로서 폐정수장의 공원화 활용방안예 관한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30. 梁强, 「文化产业园区发展研究」, 广西大学 硕士学位论文, 2015
31. 马承艳, 「工业遗产再利用的景观文化重建」, 西安建筑大学 硕士学位论文, 2009
32. 马俊, 「上海市当代城市公园游憩行为特征初步研究」, 上海交通大学 硕士学位论文, 2008
33. 喻研, 「城市更新背景下的工业遗产保护与更新研究」, 华中科技大学 硕士学位论文, 2016
34. 王龑, 「基于活跃度的台湾文化创意产业园发展研究」, 华南理工大学 硕士学位论文, 2017

[Academic Journal]

1.최성호,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 구성체계 및 특성 비교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Vol. 16, 2010

[Report]

1. 田中直人,岩田三千子, "サイン環境のコニバ-サルデザイン", 『學藝出版社』, 1999
2. Danial N. Robinson, The Most Wanted Particle, Time January, 1993, Vol.62

[Website]

1.百度百科https://baike.baidu.com/item/
2. http://www.citizenpark.or.kr/, 2018.05.11
3. http://citizenpark.busan.go.kr
4. https.//spssa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