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학위논문석사논문(MA Theses)

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M.2022.08_04

2D 애니메이션의 프레임 변형 연구– 본인작품〈Shadow〉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rame Deformation of 2D Animation - Focus on my works -

  • Name : 스류/Shi, Liu
  • Info : 석사학위논문/Master's thesis/ 2022.08
  • Adviser : 김동현/Kim Dong-Hyun
192.168.95.160

초록

프레임은 이미지의 가장 기본적인 시각이자 이미지의 가장 중요한 표현 형식이다. 프레임은 어떤 사물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관중에게 새롭고 집중적인 시각 공간을 줄 수 있다. 프레임 변형의 응용은 애니메이션 창작에서 비교적 흔히 볼 수 있는 방식이자 현재 연구에서 쉽게 소홀하기 쉬운 문제이다. 그러나 프레임의 응용은 종종 더욱 풍부하고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 프레임의 시각 언어는 시각 인상을 통해 정보를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동시에 화면의 구도를 통해 배경과 캐릭터를 융합하여 성공적으로 공간을 구축하고, 특정한 수사 기능을 실현함으로써 애니메이션에서 숨겨진 내용의 전달을 추진한다. 본 논문은 프레임 관련 내용과 프레임이 변형된 작품의 응용 현황과 표현 수법을 분석하는 것을 통해 작가의 애니메이션 작품 를 창작하는 과정의 실제 상황과 결합하고 프레임 변형의 여러 표현 방법들을 정리하고 귀납한다.
본 논문은 다섯 부분으로 나뉜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정했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문헌과 자료를 수집해 이론을 정리하고 애니메이션 자체의 표현, 구도의 구성요소 및 프레임의 이론을 통해 구도 속 프레임의 변형 및 표현에 관해 탐구를 진행했다. 세 번째 부분에서는 기존의 애니메이션의 프레임 변형에 관한 정리와 분석을 진행했다. 네 번째 부분에서는 애니메이션 〈shadow〉의 제작과정과 이론적 내용이 결합 되는 부분으로 신체, 소도구, 대도구, 명암대비를 이용한 프레임 변형을 표현했다. 다섯 번째 부분에서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요약하고 기대효과를 서술했다. 또한 〈shadow〉를 통해 신체, 소도구, 대도구, 명암대비를 이용한 프레임 변형을 표현함으로써 직관적인 메시지의 전달, 화면 자체의 강조, 관객의 시선 유도를 할 수 있다는 분석을 제시했다. 프레임 변형은 의식적인 창작으로, 창작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많은 의도를 담고 있으므로 지극히 개인적인 창작이다. 미래의 애니메이션에는 더욱 다양한 프레임 변형 표현 기법을 적용해 애니메이션 스타일의 혁신과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 중국 지명 및 인물명은‘중국어 발음(한자)’으로 작성됐다.

摘要

Abstract

Frame is the most basic visual boundary and also the most important manifestation of an image. It can attach a new connotation to things and provide a new and focused visual space to the audience. The application of frame deformation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re common methods in animation but is a topic that is easily overlooked in current research. However, the application of frame has often presented rich forms. The visual language of frame is able to convey information on an intuitive basis through visual impressions, and meanwhile, the composition can successfully integrate the background and characters into a created space, thus facilitating the transmission of the hidden content in animation by empowering a certain rhetorical function. This research reviews the literature of frame and some animation works related to deformation and analyzes the actual creation process of Shadow, an animated work created by the author to summarize the diverse application and manifestation of frame deformation.
This research is divided into five parts. Part one is about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is research. Part two is the literature review of the animation's own performance, the elements of composition, and the theory of frame and discusses frame deformation and its expressions in composition. In the third part, the frame deformation in existing animation is analyzed and expounded, and in the fourth part, the case of Shadow is discussed to prove the point of view of this research by combining theory and practice. Eventually, this research concludes in the fifth par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nd presents the expected effect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Shadow, it is concluded that the frame deformation demonstrated by elements including body, small and large props, and light and dark contrast can reveal information intuitively and highlight the main body of an image to guide the audience's sight. Frame deformation, as a creation technique with consciousness, contains various intentions that the creator manages to express, so it can portray the personal style of a creator. It is believed that frame deformation will be used more in future animations to contribute to the innovation and advancement of animation.

* In this study, Chinese place names and person names were decided to be written in "Chinese pronunciation (Chinese characters)".

키워드

  • #애니메이션
  • # 구도
  • # 프레임 형태
  • # 프레임 변형


  • #animation
  • # composition
  • # frame deformation
  • # frame form

참고문헌

[Book]

1. 갈덕,『영화 촬영 예술개론』, 중국영화출판사, 1995
2. 블레인 브라운 구재모 역,『시네마토그래피, 촬영의 모든 것』,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3. 유리 로토만, 유리 치비얀. 이현숙 역,『스크린과의 대화』, 우물이 있는 집, 2010
4. 자크 오몽, 오정민 역,『이마주』,동문선, 2006
5. 허버트 제틀, 박덕춘 역,『영상 제작의 미학적 원리와 방법』,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6. 루이스 자네티야(路易斯·賈內梯),『영화를 알아본다(認識電影)』 북경연합출판사(北京聯合出版社),2018
7. 리 R. 포브크(Lee R.Bobker),『영화의 원소(電影的元素)』, 중국영화출판사(中國電影出版社),1986
8. 순립군(孫立軍), 장닝(張寧),『세계애니메이션예술사(世界動畫藝術史)』, 베이징 해양출판사(海洋出版社), 2007
9. 주건(朱劍),『중국 애니메이션 예술 연구(中國動畫藝術研究)』, 동남대학교 출판사(東南大學出版社), 2012

[Dissertation]

1. 천징탁,「시각 사고 이론에 기초한 애니메이션 장면 디자인 연구」, 서복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2016
2. 판궈치(潘國琪),「영상예술에서의 소품 및 기호기능 연구(影視藝術中的道具及其符號功能研究)」, 상해사범대학(上海師範大學), 석사학위 논문, 2021

[Academic Journal]

1. 김동현,“영화 프레임 경계선의 분할과 형태변형”,『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회』, 제60호, 2017
2. 박기령,“일본의 인디펜던트 애니메이션 작가 야마무라 코지의 작품 분석”,『만화애니메이 션 연구』, 2010, Vol.14(2)
3. 백승균,“애니메이션 소도구의 기능에 관한 소고1”,『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5, Vol.8
4. 이강석,“제한된 공간에서의 서스펜스 표현방식에 관한 연구”,『한국 콘텐츠 학회논문지』, 2016, Vol.16
5. 종원파,“애니메이션의 경계”,『애니메이션 연구』, 2018, Vol.5(3)
6. 탕극병,“프레임의‘창문’은유와 그 인식론적 의미”,『학습과 탐구』, 2018, Vol.40(7)
7. 고정(高晶),“애니메이션 속 도구 디자인의 파악(動畫中道具設計的把握)”,『영화평가(電影評價)』,2012, Vol.8(5)
8. 오건유(PATRICK RHINE),“몸은 도구다(身體是道具) 행동예술가 장원(張元)”,『The World of Chinese』, 2014, Vol.3
9. 왕해룡(王海龍),“영화의 화면과 구도를 맛본다(品味電影的畫面色彩與構圖)”,『영화문학(電影文學)』, 2009, Vol.16(11)

[Website]

1. 바이두,ʺ영화노하우ʺ, https://baijiahao.baidu.com/s?id=1678732714700042581&wfr=spider&for=pc
2. 바이두 백과,ʺ시각 잔류ʺ, https://baike.baidu.com/item/视觉暂留
3. 바이두,ʺ영상 미술 도구의 예술적 특성ʺ, https://max.book118.com/html/2016/1215/72625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