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D.2022.08_06

문화적 기억의 관점에서 바라본 영웅 이미지의 구축 및 표징 체계에 관한 연구 - ‘나타’ ‘손오공’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Sign System of Hero Image from the Point of View of Cultural Memory - Focus on the Animation of 'Nata' and 'SunWukong' -

  • Name : 순위진/Sun, Yu-Jun
  • Info : 박사학위논문/Doctor's thesis/ 2022.08
  • Adviser : 이동훈/Lee, Dong-Hun
192.168.95.160

초록

본 논문은 ‘현상을 통해 본질을 보는’ 해석학 연구 형식을 통해 영상 속에 나타난 손오공의 영웅적 모습을 분석함으로써 아스만(Jan Assmann)의 문화 기억이론을 틀로 영웅의 이미지와 영상적 측면, 기억의 측면, 문화적 측면, 사회적 측면의 연결을 시도해보았다. 또한 문화적 표징의 세 가지 요소를 결합한 사례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영상 세계 영웅 이미지의 문화 속 ‘응집적 구조’에서의 ‘정형적’ 텍스트의 작용과 가치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주요 부분은 세 가지 부분으로 나뉜다. 첫 번째 부분은 ‘문화 기억’, ‘영상 매체’, ‘신화’의 기초이론에 대한 조사와 정리를 진행하고 서로 다른 시기의 문화 언어 환경적 상황과 사회 환경에 따른 《서유기》와 ‘손오공 이미지’에 대한 문헌조사를 실시한다. 그 발전 과정을 큰 단계로 구분해 기억, 문화, 사회 사이의 연결성 및 존재의 공통성을 찾아내 본 논문의 핵심 연구 대상인 영상에서 ‘영웅의 이미지’를 끌어낸다. 이것은 ‘문화 기억의 사슬’로 구축의 시작 부분이자 창조적 연구 시각이기도 하다.
두 번째 부분은 중국의 ‘영웅’에 대한 개념 형성과 발전 및 변화에 관한 조사를 실행하고 신 중국 건국(1949) 이후 영상에서의 '영웅의 이미지'를 분석해 발전 및 변화의 원인을 찾아 단계별 특징을 정리함으로써 영상 속 영웅의 이미 구축의 토대를 쌓는다. 그 후 ‘문화적 기억’이론의 특징과 영웅의 이미지의 특성을 융합해 문화적 기억의 범위 하에서 영웅의 매개체화 구성의 특징을 도출했다. 이 부분은 ‘문화기억의 사슬’이 연결되는 부분으로 영웅의 이미지를 사회적 기억과 문화적 기억을 연결시켜 일종의 ‘응집적 구조’를 이룬다.
세 번째 부분에서는 문화적 표징의 세 가지 요소에 따라 영화 속 손오공의 신화 속 영웅 이미지를 분석한다. 이것은 본 논문의 연구주제에 관한 논증일 뿐만 아니라 영웅 이미지의 문화 속 ‘응집적 구조’에서의 ‘정형적’ 텍스트의 작용과 가치를 보여준다.
영상 속의 영웅 이미지는 전통적인 자기 집단중심의 기억 구축 방식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보다 넓은 범위에서 글로벌 시대의 대문화 기억권을 만든 것이다. 덕분에 텍스트의 추상 및 사실적 사물 간의 지칭 관계가 타파되었으며, 일정 정도에 있어 문화 전달체로서의 텍스트로 인해 만들어진 소통의 거리감이 해소되었다. (예: 타 국가 및 민족 간의 소통, 연령대 별 소통, 다문화소통) 이는 다양한 문화적 서사를 직관(심층) 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영웅 덕분에 역사와 기억이 구축한 영상의 방식은 가능성을 얻었으며, 집단 기억의 공동 구축, 공유, 상호 작용, 소통, 다양한 지역, 다문화, 심지어는 신분을 뛰어넘는(교양의 유무와 학력 차이를 가진 일반 대중) 등의 특징을 강화할 수 있었다. 여기서 더욱 중요한 부분은 집단 기억의 개방성이 강화되었다는 것이다.

摘要

Abstract

This article takes "cultural memory" as the research framework, and focuses on the"hero" images of SunWukong and Nezha in the "movie circle" in the mythical novel "Journey to the West", and answers all the questions raised above. The main part of this research is mainly divided into three levels. The first level is to investigate and sort out the basic theories of 'cultural memory', 'video media', and 'mythology', and then to develop documents on the cultural context and social environment of the different periods in which "Journey to the West" and the "image of Monkey King" were located. Investigate, divide their development process into major stages, find out their connections with memory, culture, and society as well as their common relationships, and lead to the 'hero image' in the image of the core research object of this paper. This is the "cultural memory chain", the beginning of the construction, and an innovation in the research perspective.
The second level first investigates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hero' in China, and then analyzes and categorizes the 'hero image' in images after the foundin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1949), and finds out the reasons for its development and changes. characteristics, which lays the found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the hero image in the image. Finally, combining the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cultural memory" with the characteristics of hero images, the media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of heroes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memory are deduced. This part is the connecting part of the "cultural memory chain", which connects the hero image with social memory and cultural memory to form a "cohesive structure".
The third level mainly analyzes the heroic images of SunWukong and NeZha in the film according to the three elements of cultural representation, which is not only a demonstration of the research theme of this paper, but also to present the heroic image as a 'cohesive structure' in the culture. The role and value of stereotypes' texts.
Through the research form of "seeing the big from the small", through the analysis of the heroic images of SunWukong and Nezha in the images, this paper tries to use the cultural memory theory of Yang Assman as the frame work to analyze the hero image and the image level, the memory level, the The link between the cultural level and the social level, combined with the three elements of cultural representation, conduct a case analysis to present the role and value of the hero image in the video world as a 'stereotype' text in the 'cohesive structure' of culture.
The hero image in the video has changed the traditional way of memory construction centered on the self-ethnic group, and constructed a "big cultural memory circle" in the era of globalization from a wide area. It eliminates the refer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abstraction of words and the facts and images, and to a certain extent eliminates the many communication distances formed by words as a cultural carrier. It depends on the audience's intuitive(deep)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narrative. Heroes make possible the way of images constructed by history and memory, which enhances the co-construction, sharing, interaction, communication, cross-regional, cross-cultural, and even cross-identity(cultural and non-cultural) of collective memory. the general public), and more importantly, it enhances the openness of collective memory.

키워드

  • #문화적 기억
  • # 영웅 이미지
  • # 영상 표징
  • # 손오공
  • # 나타


  • #Cultural memory
  • # Hero image
  • # Visual sign
  • # SunWukong
  • # NeZha

참고문헌

[Book]

1. 곽건농, 『홍색왕사: 1966—1976년의 중국 영화』, 베이징 대해출판사, 2001
2. 관홍(關鸿), 차오진웨이(曹劲维),『신과 인간: 세계 문학의 영웅적 이미지』, 상하이 쉬엘린 출판사, 1986
3. 로버트 A. 시걸(Segal, R. A.), 『신화란 무엇인가(Myth)』, 북경 외국어 교육 및 연구 출판사(北京外語教學與研究出版社)
4. 롤랑 바르트, 『신화론(Mythologies)』, 상해 인민 출판사 적도(上海人民出版社出版的图), 2009
5. 리자오양, 『중국 애니메이션의 민족성에 관한 연구一一전통 문화의 표현 기교의 시각을 기반으로』, 중국 매스미디어 대학화판, 2011
6. 리헝지, 양웬잉, 『외국영화이론문선』, 생활•독서•신지식 길련 서점, 2006
7. 마셜 매클루언, 『미디어의 이해 : 인간의 확장(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하도관(何道寬) 번역, 북경 상무 출판사(北京商務出版社), 2000
8. 마우로 카르보네(Mauro Carbone),『이미지의 육신: 회화와 영화 사이(La chair des images. Merleau-Ponty entrepeinture et cinéma)』, 화동사범대학출판사(華東師範大學出版社), 2016
9. 모리스 알박스,『집단 기억론』,상해인민출판사(上海人民出版社), 2002
10. 모리스 알박스, 필연(毕然), 곽금화(郭金华) 번역,『집단 기억론』,상해인민출판사(上海人民出版社), 2002
11. 미란다 브루스 미트포트(MirandaBruce-Mitford), 필립 윌킨슨(PhilipWilksinson), 주계람(周繼嵐) 번역, 『기호와 상징(符號與象徵)』,삼연서점출판(三聯書店出版), 2014
12. 『삼략·중략』, 『중국병서집성』 제1권, 해방군출판사, 요심서사, 1987
13. 사뮤엘 헌팅턴, 『문명의 충돌과 세계 질석의 재건』, 신화출판사, 1998
14. 샌더스 퍼스(Charles Sanders Peirce),『퍼스 논문집』,사회과학문헌출판사,2006
15. 소붕(邵鹏), 『매개 기억 이론: 인간의 모든 기억 연구의 핵심과 유대』, 절강대학교 출판사, 2016
16. 스튜어트 홀(Stuart Hall), 『문화적 재현과 의미를 나타내는 실천행위』, 상무인서관, 2013
17. 신풍, 유용평 편역, 『한시외전선택』, 서목문헌출판사, 1986
18. 알라이다 아스만, 판루 역,『기억의 공간: 문화적 기억의 형식과 변천』, 북경대학교 출판사, 2019
19. 얀 아스만,『문화적 기억: 초기 고급 문화 중의 문자, 기억, 정치적 신분』, 북경대학교 출판사, 2015
20. 얀 아스만, 『문화적 기억 이론에 관하여(關於文化記憶理論)』, 절강 대학 출판사(浙江大学出版社), 2014
21. 얀 아스만, 도동풍(陶東風),『집단 기억과 문화적 신분(集體記憶與文化身份)』, 북경(北京): 사회과학 문헌 출판사(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11
22. 얀 아스만, 황아평(黃亞平) 번역,『종교와 문화적 기억(Religionand Cultural Memory)』, 상무인서관(商務印書館), 2018
23. 양계초, 『국가사상변천이동론』, 운남 교육출판사, 2001
24. 양샤오린(楊曉林), 『애니메이션의 대가 미야자키 하야오』, 푸단 대학 출판사, 2013
25. 에른스트 카시러, 이소병(李小兵) 번역, 『기호, 신화, 문화』, 동방출판사(東方出版社),1988
26. 오승은,『서유기』, 상해고적출판사, 제86회
27. 오승은(吳承恩), 『서유기(西遊記)』, 인민문학출판사(人民文學出版社), 2021
28. 왕자펑, 조화동, 『미국의 역사 및 문화』, 저장대학교 출판사, 2005
29. 유음백, 『유음백이 서유기를 말하다』, 중화서국, 2005, 제1판
30. 『육도·용도·선장, <중국병서집성>』, 제1권, 해방군출판사, 요심서사, 1987
31. 원가(袁珂), 『중국 신화사(中國神話史)』, 상해문예출판사(上海文艺出版社), 1988
32. 이덕순(李德順), 『가치론』, 중국 인민대학교 출판사, 2007
33. 이반 스트렌스키(IvanStrenski), 『20세기 신화 이론(FourTheories of Myth in Twentieth-Century History)』, 북경삼련서점(北京三聯書店), 2012
34. 이빈(李彬), 기호투시: 내용을 전파하는 실체 검역,『상해 복단대학교 출판사』, 2003
35. 임경,『서유기 만화』, 칭화대출반사, 2006
36. 외른 뤼젠(Jörn Rüsen), 기갑복(綦甲福), 래형(来炯) 번역, 『역사적 사고의 새로운 경로(歷史思考的新途径)>』, 상해 인민 출판사(上海人民出版社), 2005
37. 장소우(蔣紹愚),『한역불전어법연구논집(漢譯佛典語法研究論集) 』, 상무인서관(商務印書館), 2013
38. 장 클로드 코케(Jean-Claude Coquet),『말의 기호학(話語符號學)』, 왕동량(王東亮) 번역, 북경대학출판사(北京大學出版社),1997
39. 저가우(宁稼雨), 『만신의 부활: 중국 신화 문학의 환위(诸神的复活:中國神話的文学移位)』, 2020
40. 정병림(鄭炳林), 돈준엽(敦俊葉), 『둔황과 실크로드 석굴 예술 총서(敦煌與絲綢之路石窟藝術叢書) - 둔황 막고굴 454굴 연구(敦煌莫高窟454窟研究)』, 간수교육출판사(甘肅教育出版社), 2016
41. 진건헌(陳建宪), 『신과 영웅: 중국 고대 신화의 주제(神祇与英雄:中國古代神話的母题)>』, 북경 삼련 서점, 1994
42. 진균(陳均),『서유기잡극평주본(西遊記雜劇評註本)』, 귀주교육출판사(貴州教育出版社), 2018
43. 크리스티앙 메츠(ChristianMetz) 외/ 오경(吳瓊) 엮음, 『상상적 기표: 영화·정신분석·기호학(視的快感: 電影文本的精神分析)』,중국 인민대학출판사(中國人民大學出版社),2005
44. 칼라일(卡莱尔),『영웅과 영웅 숭배』,칼라일 강연집[M]. 상해: 상해 삼련 서점, 1988
45. 『탕용동전집』제4권, 하북 인민출판사, 2000
46. 폴 코너튼, 납일벽역과(纳日碧力戈) 번역, 『사회는 어떻게 기억하는가』, 상해 인민 출판사(上海人民出版社), 2000
47. 풍아림(冯亞琳), 『독어 문학의 문화적 기억과 민족적 가치관(德語文學中的文化記憶與民族價值觀)』, 북경(北京):, 중국 사회 과학 출판사(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13
48. 풍아림(冯亞琳), <독(德)> Erll, A. , 여전령(余传玲) 등 번역, 『문화적 기억 이론 독본(文化記憶理論讀本)』, 북경 대학 출판사(北京大学出版社), 2012
49. 호장린(胡壯麟), 『언어·기호·교육(語言·符號·教育)』,상무인서관(商務印書館),2015
50. Assmann Jan , Das kulturelle Gedächtnis :Schrift, Erinnerung undpolitische Identität in frühenHochkulturen, PC. H. Beck, 1992
51. ASTRID ERLL, ANSGAR NÜNNING, 『문화 연구 입문서』, 리하, 이공충 옮김, 난징대학 출판사, 2020
52. E. B. White, A Companion to Cultural Memory Studies,난징 대학 출판부,2021
53. Maurice Halbwachs, On Collectiive Memory, 상하이 인민출판사, 2002
54. M. Curtis, Threeαgainst the Third Republic( Princeton,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59)
55. Susanne K. Langer, Problems of art, 1983

[Dissertation]

1. 상룡봉(相龍烽), 「당대 서양 신화 이론 연구(當代西方神話理論研究)」, 흑룡강 대학 박사학위논문, 2018
2. 순위진(孫玉軍), 『21세기 중국 영웅의 문화적 함의에 담긴 손오공 캐릭터의 변화 분석』,동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3. 장신(张欣),「미디어와 문화적 기억의 이론 연구」, 중국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4. 장함울(張菡蔚),「문화 기억 시야를 바탕으로 진행된 나타 애니메이션 이미지 연구(文化記憶視野下哪吒動畫形象研究)」, 곡부사범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1
5. 초옥(焦玉),「문화적 기억 이론을 바탕으로 알아본 손오공의 영웅적 이미지 고전화 과정 및 원인(文化記憶理論下孫悟空英雄形象的經典化過程和原因)」, 길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Academic Journal]

1. 강징(康澄), “문화 기호학속의 ‘상징’”, 『외국문학』, 2018, No.1
2. 강징(康澄), “문화적 기억의 기호학 해석”, 『외국문학』, 2018, No.4
3. 강징(康澄), “상징과 문화적 기억(象徵與文化記憶)”,『외국문학』,2008, No.1
4. 난개인(欒開印), “Stuart Hall의 ‘문화 순환’이론 시스템의 해석”,『예술백가』,2017
5. 난랍성, “이의역지: <서유기>에 반영된 유교, 도교, 불교에 대한 억측과 서적 집필 과정”, 『강회논단』, 2005, No.3
6. 도동풍(陶東風), 주헌(周憲) (역), “얀 아스만 <집단 기억과 문화 신분>”, 『문화 연구』, 2011
7. 도우(陶宇), “시공의 경상: 사회적 기억의 이론 체계와 연구 추진(時空的鏡像: 社會記憶的理論譜系與研究推進)”, 『장춘 공업 대학 학보(사회과학판)(長春工業大學學報报[社會科學版])』, 2012
8. 류혜매(劉慧梅), 요원원(姚源源) , “장소와 정체성(場域與認同): 최근 20년 동안의 중국 문화적 기억 연구 총론(我国近二十年文化记忆研究综述)”, 『절대학보(浙大学报)』, 2017
9. 류혜매(劉慧梅),하징(何竞), “문화적 기억과 응집적 구조의 서사구조”, 『광서민족대학교 학보』, 2021, No.2, Vol.47
10. 서위동(徐偉東), “신의 타락과 영웅의 부재(神的墮落與英雄的缺失) - 엽조언(葉兆言) <후예(後羿)>의 인물 이미지 해석(人物形象解讀)”, 『제노 학술지(齊魯學刊)』, 2019, No4
11. 션뤼(沈綠), “주선율 영화의 미디어 효과가 이상적이지 못한 이유에 대한 분석——50, 60년대의 국산 영화에 대한 이야기”, 『뉴스 지식』,2005
12. 소붕(邵鹏), “미디어 기억과 개인 기억의 구축 및 게임(媒介記憶與个人記憶的建構和博弈)”, 『당대전파(當代傳播』, 2012
13. 손덕충(孫德忠), “사회적 기억 문제 연구 전개 중시(重視展開社會記憶問題研究)”, 『철학동태(哲學動態)』, 2003
14. 순위진, 이동훈, “21세기 중국 영웅 애니메이션의 ‘표징’시스템 연구 -<나타지마동강세>(哪咤之魔童轉世)의 사례를 중심으로”,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2021
15. 악청, “<서유기> 속 불교 현상에 대한 시론”, 『당산학원학보』, 2009, Vol.22, No.4
16. 얀 아스만, “기록된 사회와 기록되지 않은 사회에서 기억의 기록과 발달”, 『중국 해양대학교 저널』, 2004
17. 얀 아스만, “문화적 기억 이론의 형성과 구축”,『광명일보』, 2016
18. 얀 아스만, “문화적 기억이란 무엇인가?”, 진국전(陈國戰) 번역, 『국외이론동태(國外理論動態)』, 2016
19. 양과추(杨戈枢), “기억, 영상, 영화의 상호작용 – 인용문을 잘 활용하는 몇몇 감독을 중심으로”, 『세계영화』, 2008
20. 양천천(楊倩倩), “신들의 전쟁(Immortals)>속 영웅 이미지의 세속화[<驚天戰神>中英雄形象的世俗化”, 『청년문학가(青年文學家)』, 2018, No.29
21. 양효림(楊曉林), “중국 신선을 소재로 한 팬픽 애니메이션의 발전 - 신 국조 언어 환경 하의 초 판타지 애니메이션 영화의 변화 전략(中國神仙題材“同人動畫”之演進——兼論新國潮語境下超級奇幻動畫電影改編策略)“, 『전영신작(電影新作)』,2022, No.2
22. 여홍병(余紅兵), “문화기억의 기호 메커니즘 심론”, 『외국문학』,2020
23. 왕밀(王蜜), “문화적 기억: 흥기 논리, 기본 차원과 매체 제약”, 『해외 동태 이론』, 2016
24. 왕위(王苇), “신화 은유와 문화적 기억: 드래블의 <일곱 자매>의 문화 기호학 해독”,『강서 사범대학교 학보』, 2019, No.5, Vol.45
25. 왕위평(王偉平), “다큐멘터리 영화의 문화적 기억의 기능”, 『뉴스전선』, 2010
26. 원강(袁強), “미디어 환경학의 관점에서 본 고대 그리스 영웅의 이미지 변화(媒介環境學視野下的古希臘英雄形象異變) - 고대 그리스 신화부터 고대 그리스 영웅 소재의 영화까지(從古希臘神話到古希臘英雄題材電影)”, 『천부신론(天府新論)』, 2020, No.6
27. 위효홍(魏曉虹), 저무우(邸無雨), “전통 명절의 지방 의식의 표현과 사회문화 기능의 강화 -남현 상명향의 원소절 용등 문화를 중심으로”, 『진중대학교 학보』, 2021, No.2, Vol.38
28. 이언휘(李彦辉), 주횡(朱竑), “국외 인문지리학에 관한 기억 연구의 발전과 시사점”, 『인문지리』, 2012, No.1, p.12
29. 이연(李娟), “영상 매체 서사 속의 민족적 집단 기억 구성 - 난징 대학살을 소재로 한 영화 4편을 중심으로(影像媒介敘事中的民族集體記憶建構——以四部“南京大屠殺”題材的電影為例)”, 『중주 학술지(中州學刊)』, 2013, No.9
30. 이연(李娟), “중국 영화의 문화적 기억 고찰 – 국제영화제 수상작을 중심으로”, 『중원문화연구』, 2014, No.2
31. 저우자니, 황민식, 이현석, “손오공 캐릭터 디자인 변용에 드러난 사회 문화적 함의-중국 손오공 애니메이션 14편을 중심으로”,『디지털디자인학연구』, 2016, Vol.16,No.4
32. 조영(刁穎), “2015년에 개봉된 신화 장르 애니메이션 속, 영웅 이미지의 심미적 변환(2015 年來神話類動畫中英雄形象的審美轉向”, 『電影文學』, 2021, No.15
33. 조유(赵瑜), 범정함(范静涵), 노스탤지아 영화중 집단 기억의 구현화 구성, 당대 영화, 2019
34. 조정용(赵静蓉), “문화적 기억과 기호 서사”, 『기남학보』, 2013
35. 진고붕(陳高朋), “고전 그리스 상징적 기호의 경기 문화적 기억(古典希臘象徵性符號的競技文化記憶)”, 『우한체육학원학보(武漢體育學院學报)』, 2018
36. 추소웅, “인류의 초자아 의식의 집중적 구현--<서유기>의 손오공 이미지를 논하다”, 『학술교류』, 2003, No.6
37. 취춘잉, 장웨이쥔, “전복부터 중건에 이르기까지: <대화서유>에 대한 <서유강마편>의 반전 증거의 핵심 가치에 대한 주제”, 『상해대학교학보(사회과학판)』, 2013
38. 포사장(鲍士将), “문화적 기억, 응집성 구조, 영상의 상호 문화 구조”, 『문화연구』, 2019
39. 현연(贤娟), 왕정봉(王正峰), “<꽃은 번성하고 잎은 무성하다(花繁叶茂)>: 신시대 귀주 정신의 문화적 기억(新時代貴州精神的文化記憶)”, 『중국 광파 전시 학술지(中國廣播電視學刊)』, 2021
40. 황호우(黄皓宇), “기억의식의 시각에서 민간문화의 크로스미디어 전승 -민족영화 <대하창>의 사례를 중심으로”, 『예술연구』, 2001
41. Bortree, D. S., “Presentation of self onthe web: an ethnographic study of teenage girls”, 『Education Communication &Information』,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