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D.2022.08_11

공생형 주거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도심지역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ymbiotic Housing Evaluation Criteria - Focusing on Community Revitalization in Urban Areas -

  • Name : 웨이이린/Wei, Yi-Lin
  • Info : 박사학위논문/Doctor's thesis/ 2022.08
  • Adviser : 홍관선/Hong, Kwan-Seon
192.168.95.160

초록

코로나의 시대적 배경으로 인해 많은 사람이 생활과 이동에 불편을 겪고 있다. 또한 현재의 주거 환경은 도시 용지 부족으로 인한 압박, 인구의 잦은 이동, 생활 수준 향상에 대한 요구로 인해 도시 주거 환경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으며 그중 커뮤니티 주거로 대표되는 도시 주거공간은 일반적으로 도시 전체의 주거 수준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활용된다. 오늘날 커뮤니티의 생활환경은 이웃 사이의 관계, 공간의 배치, 생태환경의 부재, 교통 도로 등의 부분에서 여전히 부족한 부분과 문제점이 존재함으로써 커뮤니티의 활력이 계속해서 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위와 같은 시대적 배경 및 현재 커뮤니티의 환경 문제에 근거해 평가지표를 제시함으로써 기존의 커뮤니티 생활을 변화시키고자 한다. 연구자들은 공유공간의 조성, co-housing 주택의 이용 등의 개선 방법을 제시했지만, 문헌 고찰과 관련 사례연구를 통해 커뮤니티의 활성화 조성은 많지 않고 대부분 일반적인 건설에 의한 커뮤니티 활성화 개선 방안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커뮤니티 활성화 방안에 생물학적 공생의 속성에 관한 내용을 결합해 커뮤니티 내의 물리적 공간, 집단의 관계, 생태환경이 서로 공생할 수 있도록 기존의 기반 위에 커뮤니티를 구현하는 공생형 주거 방식을 통해 전통 도시개발로 회귀하기를 기대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논문은 크게 세 단계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했다.
첫 번째 단계는 이론 고찰의 단계로 먼저 현재의 커뮤니티 발전 현황과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연구의 단계를 명확히 하고 현재 도시의 발전에 커뮤니티 활성화의 필요성을 확인했으며 커뮤니티 활성화 계획요소를 정리했다. 또한 공생과 공생 속성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공동생활 주거 방식에 관한 차별적 분석을 진행했으며 공생 주거의 사례 분석과 공생의 속성 개념을 결합함으로써 공생형 주거의 개념을 제시했다.
두 번째 단계는 계획요소의 정리 단계로 커뮤니티 활성화 계획요소와 공생형 주거계획요소의 연관성 분석을 진행했다. 커뮤니티 활성화의 공동 주거와 관련한 문헌을 통해 공동 주거계획요소의 내용을 추출하고 공생 속성 분석을 결합해 공동 주거 계획요소와 공생의 속성을 연관시킴으로써 공생형 주거 계획요소를 도출했다. 본 연구는 이 두 가지의 내용을 결합하고 각 부분 요소의 내용 분석 및 세부 항목 정리를 통해 물리적 요소, 생태적 요소, 사회적 요소의 세 가지 측면의 커뮤니티 활성화 공생형 주거 계획요소의 내용을 도출했다.
세 번째 단계는 평가지표의 제시 단계로 델파이 전문가 조사와 AHP 계층분석법을 통해 평가지표를 선별하고 분석 검증했다. 설문지 분석을 이용한 중요도 측정을 통해 신뢰도와 타당성을 분석한 후 최종적으로 물리적 요소, 생태적 요소, 사회적 요소에서 25가지의 평가지표 내용을 확정했다. 다음으로 AHP 계층분석법을 통해 전문가 설문조사 평가지표의 결과에 근거해 계층 내 요소 사이의 쌍대비교 가중치를 산출함으로써 평가지표의 우선순위를 부여했다.
평가지표의 가중치 비율 분석 결과 상위 5위의 우선순위를 살펴보면 첫째, 주거지역의 생태적 지속가능성은 커뮤니티의 생태환경 발전을 유지한다. 둘째, 커뮤니티 주민 사이의 친근감을 배양하고 주민의 이웃 관계를 조화롭게 하면 범죄의 발생 확률이 낮아지고 커뮤니티 내 이 억제된다. 주민 사이가 친밀도가 높아지면 공동체 환경의 공생이 보장된다. 셋째, 보도와 차도를 분리하는 도로의 계획은 커뮤니티의 교통안전을 확보해주고 주민과 교통 공간의 안전한 공생을 가능하게 한다. 넷째, 자연환경의 생태적 환경보호는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운 공생을 실현한다. 다섯째, 계층의 혼합으로 다양한 주택을 디자인하고 건설함으로써 주민 사이 친근감 형성을 증진하고 계층적 이웃 관계의 균형 잡힌 공생을 도모한다. 이상의 우선순위 평가지표 내용의 분석을 통해 향후 공생형 주거를 목표로 하는 도시 커뮤니티 활성화 시 커뮤니티의 생태성, 교통의 안전성, 주민들의 이웃 관계를 주요 내용으로 고려함으로써 커뮤니티의 공생형 주거를 극대화하고 공생형 주거의 커뮤니티 활성화 방식을 모색해 향후 커뮤니티 활성화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摘要

Abstract

(Background)According to the current background of the COVID-19, it has brought inconvenience to people's life and travel. At the same time, for today's living environment, the pressure of land use, population mobility and people's demand for living standards are increasing demands on the urban living environment. Among them, urban living space, represented by community living, is often used as a benchmark for judging the overall level of urban living. Today's community living environment is still deficient, and problems such as community neighborhood relations, spatial layout, the absence of ecological environment, and traffic routes still exist, causing a continuous decline in community vitality. (Objective) Based on the above background and the current community environment problems, this study hopes to change the current status of community living by proposing evaluation indicators.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methods proposed by the researchers, including the construction of shared spaces, the use of co-housing residences, etc. However, through the review of literature and relevant cases, it is found that there arenot many community construction that can achieve activation, and most of the mare community activation improvement through general construction. Therefore, the research hopes to return to traditional urban development. Based on the existing community activation scheme, combined with the relevant elements of symbiosis properties, the physical space, people relations and ecological environment within the community are made symbiotic with each other to achieve a symbiotic housing in the community based on the existing foundation.
(Proces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his thesis is broadly divided into 3 stages of research.
The first stage is a theoretical investigation, which identifies the current state of community development and the research stage of community revitalization, determines the necessity of community revitalization for today's urban development and arranges the elements of community revitalization planning. At the same time, the concepts of symbiosis and symbiotic properties are clearly defined. A differentiated analysis of co-housing styles, combined with a case study of relevant co-housing and the concept of the attributes of co-housing presents the content of the concept of co-housing.
The second stage is the collation of planning elements. The community revitalisation planning elements are analysed in relation to the co-housing planning elements. Through the literature related toco-housing of community revitalisation, the contents of the co-housing planning elements are extracted. At the same time, together with the analysis of symbiotic attributes, the common co-housing planning elements are associated with the symbiotic attributes to derive the symbiotic housing planning elements. The research combines these two aspects. Through the analysis of each part of the element content and the collation of specific detailed projects, it obtains the element content of community activated symbiotic housing planning in three aspects: physical elements, ecological elements and social elements.
The third stage is the proposal stage of evaluation indicators. The evaluation indicators were selected and validated by Delphi expert investigation and AHP hierarchical analysis. The questionnaire analysis was used to finally determine the 25 evaluation indicators in thethree aspects of physical, ecological and social elements by measuring the importance and analyzing the reliability and appropriateness. Secondly, the AHP technique was used to calculate the weighting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ert questionnaire to obtain the priority order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Results)From the analysis of the weight ratio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and the priority of the first five, firstly, the sustainability of the ecological development of the living area maintains the development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the community. Secondly, the increase in the closeness of theresidents reduces the chance of crime and guarantees the symbiosis of the community's communal environment. Thirdly, the separation of pedestrian and vehicle roads ensures the traffic safety of the community and realises a safe symbiosis between residents and the traffic space. Fourthly, the natural ecological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ensures the harmonious symbiosis between man and nature. Fifthly, the mix of classes forms a diversity of residential design and construction, promoting a sense of closeness between residents and achieving a balanced symbiosis of class neighbourhood relation. (Conclusion)Through the above analysis of the content of the priority evaluation indicators, in the future construction of urban community activation, with thegoal of symbiotic community living, community ecology, traffic safety and neighbourhood relations of the resident class are considered as the main content of construction to maximise the state of symbiotic community living and to explore the way of community revitalization of symbiotic living for the future improvement of community revitalization.

키워드

  • #커뮤니티 활성화
  • # 공생형 주거
  • # 평가지표


  • #Community Revitalization
  • # Symbiotic Housing
  • # Evaluation Criteria

참고문헌

[Book]

1. 피터 카츠(Peter Katz), 『新城市主义(The New Urbanism)』, 华夏出版社, 2019
2. 김천권, 『현대도시개발』, 서울: 대영문화사, 2017
3. [日]黑川纪章, 覃力(译), 『新共生思想』, 中国建筑工业出版社, 2008
4. Ben Welle, 刘庆楠, 李威, Robin King, Claudia Adriazola-Steil, Claudio Sarmiento, Marta Obelheiro 『设计让城市更安全』, 世界资源研究所(WRI)出版, 2016
5. 장관생(张冠生),『선비의 페이시아오통의 회상 』(《书生去—杂忆费孝通》), 선전보업그룹 출판사(深圳报业集团出版社), 2011.6

[Dissertation]

1. 이상훈, 「신도시주의 시각에서 주거만족도에 대한요인분석 : 송도경제자유구역에 대한 경험적 연구」,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2. 윤정미, 「오픈스페이스가 도시민의 옥외 여가활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3. 송현우, 「커뮤니티공간 활성화를 통한 주거지 재생방안 연구」, 건국대학교 , 석사학위논문, 2017
4. 강희선, 「지역커뮤니티활성화를 위한 공공임대아파트 커뮤니티시설의 계획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5. 오승환, 「커뮤니티활성화요소 분석에 따른 소규모 주민자치 커뮤니티시설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6. 장용일, 「도시재생 사례 분석을 통한 커뮤니티활성화를 위한 정책에 관한 연구」, 협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7. 이하연, 「커뮤니티활성화를 위한 아파트 오픈스페이스 영역성 연구 」,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8. 홍천기, 「고령친화적인 아파트 커뮤니티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9. 정희선, 「커뮤니티활성화를 위한 아파트단지 내 커뮤니티시설 실내디자인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10. 김주석, 「도시설계 관점에서 본 신도시 가로공간에 관한 분석적 연구」, 中央大學校, 박사학위논문, 2005
11. 권영재, 「장소기억기반 공간재생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12. 關迪, 「基於共生理念的公共建築庭院空間一體化設計研究」, 蘇州大學 建築設計及理論 석사학위논문, 2020
13. 黄淳莹, 「共生城市演化機制與建設決策研究」, 華中科技大學 박사학위논문, 2013
14. 서주환, 「공동주택 커뮤니티공간 배치유형별 이용행태 분석 을 통한 커뮤니티활성화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5. 김대윤, 「공공임대주택 커뮤니티활성화를 위한 공유공간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1
16. 정은주, 「공동주택 주동 내 지역주민의 커뮤니티활성화를 위한 공용공간 활용계획」,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7. 박상미, 「집합주택 커뮤니티 공간 활성화를 위한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8. 송현우, 「커뮤니티공간 활성화를 통한 주거지 재생방안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19. 차성미, 「지역 커뮤니티활성화를 위한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 관련 법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0. 임정모, 「아파트 단지 내 커뮤니티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시설의 디자인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1. 이남숙,「주거단지에서 커뮤니티활성화를 위한 공용 공간 배분의 연구」,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석사학위논문, 2006
22. 노대건, 「공동 주거단지의 커뮤니티활성화를 위한 주민공동시설 계획방안에 관한 연구 : 실내 커뮤니티 프로그램 및 해당 공간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3. 두보위, 「주민참여형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선전시(深圳市) 룽강구(龙岗区) 부지(布吉)를 연구대상으로」, 동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1
24. 김주현,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도시마을 공간 디자인 방안 연구」,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25. 김웅, 「델파이기법을 활용한 발달지체아동의 놀이중심 특수체육 프로그램 개발」, 한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1
26. 김영득, 「델파이(Delphi)와 階層化 分析(AHP)技法을 이용한 老人體育 政策 硏究」, 高麗大學校 박사학위논문, 2007
27. 안진성, 「델파이기법(Delphi)과 계층적 의사결정방법(AHP)의 적용을 통한 전통정원의 보존상태 평가지표 개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28. 전진아, 한국와이너리의 관광자원 개발 연구 : 델파이기법과 계층적 의사결정방법(AHP) 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29. 이상선, 먹는 샘물의 평가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 델파이기법(Delphi)과 계층적 의사결정 방법(AHP)적용,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Academic Journal]

1. 서일윤, “뉴어버니즘 고찰을 통한 도시디자인 방향성 연구”, 『한국경영학회』, 2010,Vol.2010 No.08
2. 공준택, 이광영, “뉴어버니즘적 수변 및 워터프론트 지역 및 도시개발의 건축 계획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9,제39권 제1호
3. 이보람, “뉴어버니즘형 조닝의 기성시가지 내 전면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017, Vol.33 No.11
4. 최병두, “신도시주의 또는 새로운 도시화”, 『한국공간환경학회』, 2002, 통권 제17호
5. 이승엽, “신도시주의에 의해 개발된 도시의 공간구조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慶州大學校 論文集』, 2005, Vol.18 No.2
6. 김선일, “신도시주의 운동과 교회의 공동체성 회복에 대한 전망”,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06, Vol.11
7. 박진희,  커즈 포터(Potter, Cuz), “커뮤니티 공간론의 이론적 고찰”,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17, Vol.52 No.5
8. 권혜주, “20세기 프랑스에서 진행된 오픈블록에 관한 담론과 실험”,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2018, Vol.12 No.64 
9. 조주현, “개방과 폐쇄의 관점에서 본 파리의 블록형 도시주거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2010, Vol.8 No.30
10. 진원,  강재철, “청년 임대아파트 공용 공간에 대한 공생(Symbiosis)디자인 적용 연구”,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1, Vol.6 No.1
11. 정성희, 김경희 “다문화공생사회의 전통예술의 역할: 일본 오사카 민족문화패마당을 중심으로”,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2019, Vol.2019 No.1
12. 이성희, 김정곤, “SymbioCity관점에서 본 도시재생의 계획적 특성 고찰”,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7, Vol.8 No.4
13. 이상호, 김찬호, 김형규, 송재민, 우명제, 유정훈, 임윤택, “스마트하고 지속가능한 3기 신도시 공생도시 계획기준”, 『도시정보(Urban Information Service)』, 2020, No.460
14. 김수철, “공생과 타자: 초국가 이주 시대에 도시 공간 이론에 관한 재고찰”, 『문화와 정치』, 2017, Vol.4 No.2
15. 오은환, “지역 포괄 케어에서 지역 공생 사회로의 전환”, 『地域發展硏究』, 2017, Vol.26, No.2
16. 김경희, “일본 다문화공생 이념의 논리와 상생으로의 전환”, 『일본학연구』, 2020, Vol.61 
17. 김경희, “자연과의 공생을 통한 인문 공간 구상”, 『한국헤세학회』, 2013, Vol.30 
18. 조이브, 강순주, 이경훈, “공동주택 커뮤니티활성화를 위한 참여 주체의 역할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15, Vol.31 No.10
19. 장용일, 김창성, “독일의 도시재생 사례 분석을 통한 커뮤니티활성화 정책 고찰”,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6, Vol.16 No.2
20. 정아름, 이석현, “커뮤니티활성화가 주거지의 범죄 예방에 미치는 영향”, 『디자인학연구』, 2017, Vol.30 No.4
21. 서수미, “지역커뮤니티활성화를 위한 공공안전시설의 디자인 특성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2019, Vol.14 No.1
22. 오승환, 주범, “커뮤니티활성화요소 분석에 따른 소규모 청소년 커뮤니티시설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2018, Vol.16 No.1 
23. 강정모, 함선미, “한국형 공생발전과 정신자본: 홍익인간사상”, 『한국제도경제학회』, 2012, 제6권 제2호
24. 黑川纪章. “共生城市”, 『建筑学报』, 2001, Vol.7 No2.
25. 于萍, 陈效逑, “瑞典共生城理念及其在住区规划与建设中的实践“, 『建筑科学』,2011, Vol.3
26. 이성희, 김정곤, “SymbioCity관점에서 본 도시재생의 계획적 특성 고찰: 스웨덴과 독일 사례를 중심으로”, 2017, Vol.8 No.4
27. 김다희, “집합주거 내 커뮤니티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2012, Vol.7 No.3
28. 이지미,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인프라로서의 커뮤니티 공간 시설 복합화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2021, Vol.16 No.3
29. 이수진, “일본 분양 주거단지의 커뮤니티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2021, Vol.32 No.1
30. 김형언, 이동훈, 손동욱, “공동주택 외부공간과 커뮤니티 활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2014, Vol.15 No.1
31. 황연숙, “고령친화 환경조성을 위한 공동주택 단지 내 커뮤니티시설의 공간특성 및 노인의이용현황”, 『디자인융복합학회』, 2012, Vol.11 No.5
32. Carpio Pinedo, José.  La manzana abierta de Portzamparc como tipología para el paisaje urbano contemporáneo. 『Planur-e』,  2014.
33. Peter H. Thrall1, Michael E. Hochberg, Jeremy J. Burdon and James D. Bever,Coevolution of symbiotic mutualistsand parasites in a community context,『TRENDS in Ecology and Evolution』, Vol.22 No.3
34. Liu Pingfeng, Zhang Wang, The Symbiotic Evolution Mechanism of Innovation Ecosystem, 『China Science and Technology Forum』, 2020, Vol.2

[Website]

1. 新城市主义宪章,https://www.cnu.org/sites/default/files/charter_chinese.pdf
2. 신도시주의 위키백과, https://zh.wikipedia.org/wiki/
3. 联合国人居署,《2016世界城市状况报告》,
https://www.un.org/sustainabledevelopment/zh/2016/05/
4. 중국 도시주거 지역계획설계기준(城市居住区规划设计标准), GB50180-2018,
https://www.soujianzhu.cn/NormAndRules/NormContent.aspx?id=362#4
5. 중국 신화망 (中国新华网), “20年间全球城市人均绿地空间面积扩大7成”,
http://www.xinhuanet.com/2020-12/05/c_1126825463.htm
6. TED, “The 15-minute city”,
https://www.ted.com/talks/carlos_moreno_the_15_minute_city/transcript
7. 东方早报, 金桥, “上海五个大型居住社区调查报告”,
http://www.china.com.cn/opinion/think/2015-04/15/content_35325797.htm
8. United Nations Human Settlements Programme, “The World Cities Report 2016”, https://www.un.org/sustainabledevelopment/, 2016
9. The times of india, “Coronavirus recovery plan: What is ‘15-minute city’ concept?” https://timesofindia.indiatimes.com/india/coronavirus-recovery-plan-what-is-15-minute-city-concept/articleshow/76991001.cms, 2021.5
10. Suproot the Guardian, “Paris mayor unveils '15-minute city' plan in re-election campaign”, https://www.theguardian.com/world/2020/feb/07/paris-mayor-unveils-15-minute-city-plan-in-re-election-campaign, 2021.3.
11. Agricultural Media, “A Visit to the co-living Community in Ann Arbor, Michigan, USA”, https://www.agriharvest.tw/archives/16108, 2018.7
12. SPSS 데이터 분석 플랫폼, https://spssau.com/index.html
13. PlaceTech, “Co-living: What does it mean for the UK rental market?”, https://placetech.net/zh-TW/strategy/, 201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