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학위논문박사논문(PhD Theses)

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

중국 현대 빌라주택 실내공간의 디자인 특성 및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the Interior Design of Modern Villa Style Houses in China

  • Name : 티엔휘
  • Info :
  • Adviser : 윤지
192.168.95.163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00년 이후 중국 현대 빌라주택 실내공간의 디자인 특성과 더불어, 이에 대한 시기별 및 지역별 변화를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중국에서 경쟁력을 지닌 부동산 업체가 개발 및 건설한 빌라주택을 사례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고 분석을 진행했다. 시간적 범위는 2001년에서 2020년까지이다. 빌라주택 실내공간의 디자인 특성과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2000년 이후 중국 부동산 시장의 발전 과정을 2001-2007년, 2008-2015년, 2016-2020년 총 세 시기로 나누었다. 또한, 빌라주택 실내디자인 특성의 지역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는 중국의 대표적인 세 지역을 선정하였으며 이는 첫째, 수도권 지역, 둘째, 장강 삼각주(長江三角洲) 지역, 셋째, 주강 삼각주(珠江三角洲) 지역이다.
본 연구는 내용분석법(content analysis)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 단계, 내용, 분석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문헌 고찰 부분의 경우 다음의 4가지 내용을 포함하였다. 먼저, 중국 현대 건축과 실내 디자인 방면에서 등장한 서양 건축 및 실내 디자인 양식이다. 주로 각 양식의 배경, 개념, 디자인 특성을 전체적으로 다루었다. 다임으로, 중국 전통 건축과 실내 디자인 양식이다.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의 건축, 실내공간, 가구 등을 중점적으로 다루었으며, 디자인 특성과 관련한 내용을 정리했다. 또한, 중국 근·현대 건축과 실내 디자인 양식이다. 1840-1949년, 1949-1978년 및 1978년 이후의 중국 건축과 실내 디자인 양식의 유형 및 특성을 전체적으로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중국 현대 빌라주택의 현황과 유형이다. 1840년 이후 중국 현대 빌라주택의 발전 과정을 주로 기술하였다.
두 번째, 사례 선정과 분석의 틀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사례들은 모두 중국의 권위 있는 건축 및 실내 디자인 전문집에 실린 것들이었다. 2000년 이후 발행된 <건축 학보(建築學報)>, <인테리어 디자인 및 시공(室內設計與裝修, id+c)>, <중국 인테리어 디자인 연보(中國室內設計年報)>, <중국 인테리어 디자인 연감(中國室內設計年刊)> 등 총 4개의 전문집을 조사한 결과, 250개의 빌라주택 중 최종적으로 32개의 사례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의 틀에 관한 주요 내용에는 평면적 특성, 디자인 특성, 양식 특성 등 세 가지가 포함되었다. 먼저, 평면적 특성에는 층별 평면 배치, LDK 구성 방식, 현관과 거실 연결 방식 등이 해당되었다. 디자인 특성의 경우, 실내건축요소인 천장, 벽, 바닥, 문, 창문 등의 형태, 재료, 색채, 문양 등과 함께, 실내디자인요소 중 하나인 가구의 형태, 재료, 색채, 문양, 양식이 포함되며, 아울러 장식품, 조명 방식, 소파 배치의 유형 등 포함되었다. 본 연구는 특성 분석을 통해 각 사례의 주도적 양식과 보조적 양식이 무엇인지를 판단할 수 있었다.
세 번째, 사례 분석 및 종합 분석을 하였다. 분석의 틀에 따라 앞서 언급한 세 시기를 분석하고, Excel을 사용하여 분석 결과를 통계로 냈다. 이를 통해, 시기별 빌라주택 실내공간의 평면 특성 및 각각의 실내구성요소 특성과 더불어, 각 양식의 전체적인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네 번째, 차이 분석을 하였다. 각 사례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시기와 지역 두 가지 측면에서, 즉 세 시기와 세 지역에 속한 빌라주택을 비교 및 분석했다. 이를 통해, 중국 빌라주택의 디자인 특성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했는지, 그리고 각 지역에 속한 빌라주택의 실내 디자인이 자연 환경과 지역 문화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등에 관한 것을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시기라는 관점에서 봤을 때, 평면적 특성이라는 부분에 있어 중국 빌라주택의 기능은 점차 다양해지고 있으며, 기능 공간의 구획 역시 고정적으로 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중국식 부엌과 서양식 부엌이 모두 설치된 빌라주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지하층은 본래 저장, 세탁 등 기능을 하는 생활 보조적인 공간이었으나, 점차 여가, 휴식, 모임, 소장, 전시 등 복합적인 기능을 하는 공간으로 거듭났다. L(거실) D(식당) K(부엌)가 모두 1층에 존재하는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1층은 핵심적인 생활공간, 2층 및 그 이상의 층은 침실, 지하는 저장, 여가, 전시 등 공간으로 나누어졌다.
디자인 특성의 경우, 천장, 벽, 바닥 등 건축요소의 형태는 모두 직선형이 주를 이루었으며, 간결하다는 특성을 가졌다. 재료의 사용은 복잡함에서 간결함, 단순함 등으로 변화하는 추세이며, 아울러 재료의 품질과 미적 부분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실내공간의 색채 표현은 저명도와 고채도에서, 고명도와 저채도로 변화하는 추세이다. 가구, 장식품, 조명 기기 등을 선택하는 데 있어, 실용성보다는 예술성과 개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나타나기도 했다.
양식에 관한 특성을 살펴보게 되면, 세 시기 모두 모더니즘 양식이 가장 대표적임을 알 수 있다. 특히, 2001-2007년은 실내공간에 중국 전통 양식과 서양 고전 양식이 모두 사용된 가구, 장식품, 조명 기구 등이 비치되어 있었으며, 이는 곧 중국과 서양 양식의 혼합이라는 특성을 구현했다. 2008-2015년의 양식과 표현 기법의 경우 다양성이라는 특성이 돋보였으며, 여기에 신 중국식이 사용되는 비율이 증가하였다. 2016-2020년의 양식과 표현 기법에서는 단순화와 통일감이라는 특성이 돋보였다. 과거 대량의 재료를 통해 양식의 특성을 살려왔던 기법에서 벗어나, 간결하고 추상적 기호를 통해 특정 공간의 분위기를 만들어가기 시작한 것이다. 이와 더불어, 해당 시기에는 아르데코 스타일 역시 많이 사용되었다.
지역이라는 관점에서 봤을 때, 실내 디자인의 특성에 대한 지역적 영향은 주로 거실과 침실의 위치, LDK의 구성 방식, 현관과 거실의 연결 방식 등을 보면 알 수 있다. 또한 다른 자연환경으로 인한 각 지역 빌라주택의 거실과 침실의 창과 문, 발코니의 크기와 유형 등 부분의 차이점에 명확하게 되었다. 그런데 실내공간의 천장, 벽, 바닥, 가구, 장식품 등의 형태, 재료, 색채, 문양 등 방면에서의 차이가 점차 줄어들게 되었다.
양식 특성의 경우, 세 지역 모두 모더니즘 스타일이 대표적이었는데, 수도권 지역에서는 모더니즘과 더불어 신고전주의 역시 상당히 많은 편이었다. 장강 삼각주 지역은 신 중국식 정원이 딸린 빌라가 인기를 끈 덕분에, 신 중국식의 실내 디자인이 비교적 많은 편이었다. 마지막으로, 주강 삼각주 지역은 동남아 지역과 인접한 덕분에, 동남아 스타일의 실내 디자인을 볼 수 있기도 했다.
향후, 경제의 발전과 중국인들의 생활수준 향상, 인구 감소와 같은 요인으로 인해, 빌라주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빌라주택이 보다 친서민적인 주택 유형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빌라주택 단지 개발의 혁신은 물론이고 인테리어 개선이 가장 중요하다. 예를 들어, 다소 작은 공간에 다양하고 정교한 기능을 부여한다던가, 지속가능하고 스마트화된 디자인을 구현하는 것 등이다.
또한, 중국 경제가 안정적인 발전 단계에 접어듦에 따라, 향후 중국 도시에서는 점차 철거, 신축에서 재생, 리모델링 등의 방향으로 건축이 변화할 것이다. 빌라주택 역시 이와 같은 흐름에 포함될 것으로 보이며, 이에 실내공간의 리모델링이 대세로 자리 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현재 빌라주택 인테리어에 대한 연구는 다소 부족한 편이기에, 본 연구가 기존의 빌라주택 실내공간의 리모델링 및 향후의 빌라주택 실내공간의 디자인 등에 참고 자료로 사용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摘要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modern villa style houses' interior spaces in China after the year 2000, considering their temporal and regional variations. The study focuses on villa houses developed and constructed by highly competitive real estate companies in China as the subjects of case analysis, with a time frame limited to the years 2001-2020. To capture the changes i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villa houses' interior spaces, the period from 2001 to 2020 is divided into three stages based o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Chinese real estate market after the year 2000: 2001-2007, 2008-2015, and 2016-2020. In order to comprehend the divergences in interior design characteristics across different regions, this study selects three representative regions in China: the capital region, Yangtze River Delta region, and Pearl River Delta region.
The methodology employed in this study is content analysis. The specific steps, content, and analytical process of the research are outlined as follows.
Firstly, the literature review chapter encompasses four aspects of content: ① Western architectural and interior design styles that have emerged in modern Chinese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A summary is provided regarding the background, concepts,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each style. ② Traditional Chinese architectural and interior design styles, with a focus on the architecture, interior spaces, and furniture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Relevant content related to design characteristics is summarized. ③ Styles of Chinese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eras, aiming to gain an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styl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from 1840-1949, 1949-1978, and post-1978. ④ The current status and types of modern villa houses in China, providing an overview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modern villa houses in China since 1840.
Secondly, the selection of cases and development of the analytical framework are conducted. This study selects villa houses featured in authoritative architectural and interior design publications in China. A survey is conducted on four specialized collections: "Architectural Journal", "Interior Design+Construction", "Chinese Interior Design Yearbook" , and "Chinese Interior Design Annual". Among 250 villa houses cases published after the year 2000, 32 are ultimately selected as the subjects of analysis. The content of the analytical framework primarily includes three aspects: Floor plan characteristics, Design characteristics, and Style characteristics. The floor plan characteristics encompass: Layout arrangement of different levels, Composition of the living, dining, and kitchen areas (LDK), and Connection between the entrance hall and the living room, etc. The design characteristics include: ① Form, materials, colors, patterns of interior architectural elements such as ceilings, walls, floors, doors, windows, etc. ② Form, materials, colors, patterns, styles of furniture as well as the types of decorations, lighting fixtures, and placement of sofas. By analyzing these characteristics, the dominant and supporting styles of each case can be determined.
Thirdly, case analysis and comprehensive analysis are conducted. Based on the analytical framework, the cases from the three periods are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then statistically summarized using Excel. This process aims to gain an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floor plan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interior elements, and the overall style characteristics reflected in villa houses' interior spaces during each period.
Fourthly, a comparative analysis i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each case, a comparative analysis is performed on villa houses distributed across the three periods and three regions, considering both temporal and geographical perspectives. This analysis aims to gain an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changes in interior design characteristics of Chinese villa style houses over time, as well as the differences in interior design presented in villa houses from different regions due to variations in geographical environment, climatic conditions, and regional culture.
From a temporal perspective, in terms of floor plan characteristics, Chinese villa style houses have become increasingly functional, and the division of functional spaces has gradually become more standardized. For example, as time has passed, the number of villas with both Chinese-style and Western-style kitchens has increased. The functions of the basement have evolved from initially serving as storage and utility spaces to becoming multifunctional areas for leisure, entertainment, gatherings, collections, and displays. The proportion of L (living room), D (dining room), K (kitchen) on the first floor has increased over time, with the first floor serving as the core living space, while the upper floors primarily consist of bedrooms. The basement is used for storage and entertainment purposes, achieving a separation between active and quiet spaces.
In terms of design characteristics, architectural elements such as ceilings, walls, and floors predominantly feature linear forms and exhibit a clean and concise aesthetic. There is a trend towards using simpler materials, emphasizing quality and aesthetics. The color schemes of interior spaces show a shift from low brightness and high chromaticity to brightness and low chromaticity. The selection of furniture, decorations, and lighting fixtures has gradually shifted from practicality to artistic and personalized choices.
Regarding style characteristics, the three periods are all representative of the modernism. In the interior spaces of the 2001-2007 period, there is a blend of Chinese traditional style and Western classical style in the furniture, decorations, lighting fixtures displaying a fusion of Chinese and Western elements. The styles and artistic expressions of the 2008-2015 period are diverse, with an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neo-Chinese style. From 2016 to 2020, there is a trend towards simplification and convergence in style and artistic expressions. Departing from the previous approach of using a large number of materials to shape the style, a specific spatial atmosphere is created through simple and abstract cultural symbols. Additionally, the Art Deco style is relatively common during this period.
The influence of regional factors o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design primarily manifests in the positioning of living rooms and bedrooms, the composition of LDK,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entrance hall and living room. Furthermore, the types of windows, doors, and balconies within villa houses vary distinctly across different regional areas due to variations in natural environments. However, the divergences in terms of the form, materials, colors, and patterns of elements such as ceilings, walls, floors, furniture, and decor within interior spaces are relatively limited.
In terms of design styles, the modernist style serves as a representative trend in all three regions. Additionally, the Neoclassical style is also quite prevalent in the capital region. The Yangtze River Delta region exhibits a fondness for courtyard-style villas, which has led to the popularity of the contemporary neo-Chinese style interior design. Moreover, the Pearl River Delta region, due to its proximity to Southeast Asia, has witnessed the emergence of Southeast Asian style.
Looking ahead, with the economic development and improved quality of life, as well as a decrease in population, villa houses are becoming an increasingly favored choice for many households. In order to make villas more accessible as residential options, apart from innovative developments in villa housing communities, optimizing interior space design becomes of paramount importance. This includes considerations of achieving functional diversity and refinement within limited spaces, as well as embodying sustainability and intelligent design principles.
Simultaneously, as China's economy gradually enters a stage of stable growth, the future of urban development in the country is shifting from demolition and new construction towards renovation and revitalization. This holds true for villa houses well, where interior space remodeling and design will be a prevailing trend. However, research in the field of villa interior design is currently lacking.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valuable reference for both present and future villa interior space remodeling and design, given this evolving trend in villa housing.

키워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