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미래디자인연구소 주메뉴
전체메뉴
라연재 2024-08-30 16:54
Abstract
Background This paper is to delve into how Busan food can be utilized by addressing the aspects and culinary practices of Korean food since the new wave of Hallyu (shin-Hallyu). While media and governmental attention centers on the emergence and underlying factors contributing to Korean cuisine's ascent into the global gastronom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hybridization. This phenomenon is exemplified by the practice of 'reinterpretation,' which considers both producers' and consumers' preferences and aesthetics.
Methods For literature review, this paper will examine data sourced from the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aT). This data will provide insights into the emergence of global Korean cuisine. Also, the case study will explore various restaurants and food products as primary sources. It will encompass an analysis of the diverse food offerings in real restaurants, the interior decor of these establishments, and a detailed examination of the narratives accompanying products on retail shelves. This multifaceted approach aims to illuminate the hybridization and reinterpretation processes within Korean food as it integrates into the global foodscapes.
Results The existing food system predominantly involved first-generation Korean Americans serving both as producers and consumers. However, a new trend since the 2010s has emerged, with non-Koreans now actively participating as consumers and producers. The nostalgic appeal for homeland representation has faded, replaced by a stronger inclination to mainstream gastronomic norms. Nevertheless, individual efforts persist to redefine the concepts of 'Korean' and 'traditional,' either aligning with or challenging mainstream gastronomic discourse.
Conclusion Conclusion The naming of Korean food, which is the national food, or local/regional is an inevitable product of nationalism, but it is also fostering homogenization. In this context, producers aiming to commercialize national or regional dish reinterpret them through the lenses of individual or group aesthetics, catering to their target audience's preferences. It becomes crucial to discern between foods favored in mainstream gastronomy, and those potentially overlooked, recognizing that sustainable gastronomy hinges upon individual aesthetic perceptions.
Keywords Korean food, K-food, Busan food, Re-interpretation, Hybridization, Aesthetics, Gastronomy
초록
연구배경 본 논문은 신한류로 명명되는 2010년대 중후반 이후의 한국음식의 양상과 재현을 다루어 부산음식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 고찰한다. 미디어와 정부는 한국음식이 글로벌 음식의 주류로 부상하는 현상과 원인에 주력하지만, 이 논문에서는 생산자, 소비자의 성향이나 미학을 고려하여 발생하는 “재해석”이라는 실천행위로 드러나는 혼종화의 영향을 살피고자 한다. 특히, 도시의 음식문화라는 지점에서 광범위한 사례를 보여주는 부산음식에 천착하여 이를 살핀다.
연구방법 문헌연구와 사례연구(case study)를 중점적으로 한다. 문헌연구로는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서 발간한 자료를 살핀다. 사례연구로는 음식점과 식품을 조망한다. 그리고 실제 음식점에서 판매하는 음식의 종류와 매장의 꾸밈새 등을 살피고, 매대에 진열되어 판매되는 상품이 지향하는 내러티브를 분석한다.
연구결과 1세대 한국계 미국인이 생산자로 나선 기존의 식품체계는 같은 1세대 한국계 미국인이 중심이 되는 한인타운을 소비자의 대상으로 삼았으나, 2010년대부터의 신한류는 비한국계 미국인이 본격적인 소비자와 생산자의 대상으로 부상했다. 과거에 재현된 고국의 노스탤지어는 희미해지고, 주류의 미식 담론을 따르려는 경향이 강해졌다. 그러나 다시 주류의 미식 담론에 맞춰, 혹은 이에 반하여 ‘한국적인 것’과 ‘옛것’을 재해석하려는 개인의 시도는 계속된다.
결론 국가음식인 한국음식이나 향토음식이나 지역음식 중 하나인 부산음식의 명명은 필연적인 내셔널리즘의 산물임에도, 동질화를 불러일으키는 계기로도 작용했다. 이 가운데, 국가음식이나 지역음식을 상품화하려는 의도를 담은 생산자는 타겟층인 소비자의 취향을 고려하여 개인이나 집단의 미학을 담아 재해석한다. 지금 시점에서는 가장 많이 판매되고 주류 미식의 이미지에 상응하는 음식과 지속해서 남겨야 할 음식을 구분할 필요가 있으며, 지속가능한 미식이 개인의 미학적 인식에 달려있다는 점을 체감해야 할 것이다.
주제어 한국음식, K푸드, 부산음식, 재해석, 혼종화, 재해석, 미학, 미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