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NO.M.2021.08_07

호프스테드 문화 차원 이론을 적용한 한중 모바일 UI 비교 연구 应用霍夫斯泰德文化维度理论的韩中移动UI比较研究 A Comparative Study of Mobile UI in Korea&China Applying Hofstede's Cultural Dimension Theory

  • Name : 최세용 (崔世龙)/CUI SHILONG
  • Info : 석사학위논문/硕士学位论文/Master's thesis/ 2021.08
  • Adviser : 김형우/金亨优/ Kim, Hyung-Woo
192.168.95.172

초록

휴대전화의 보급률이 높아지면서 UI 디자인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UI 디자이너들은 자국의 문화 특성에 맞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지만 문화적 다양성이 제대로 적용된 UI 디자인을 하기는 쉽지 않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호프스테드의 문화 차원이 모바일 UI 디자인의 시각적 특징에 미치는 영향을 Q방법론을 통해 증명하고, 이를 통해 각국의 UI 디자인에 가지고 있는 시각적 특징을 찾아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먼저 비교문화 모델 중 가장 높게 평가받고 있는 호프스테드의 문화이론 모델을 중심으로 문화 변수와 디자인과의 연관성에 관한 문헌 연구를 실시하였고 관련된 선행 연구의 분석을 통해 호프스테드의 문화 변수와 디자인, 특히 UI 디자인과의 연관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방대한 UI 디자인의 시각 요소를 레이아웃과 색으로 구분하고, 레이아웃 요소에는 아이콘, 버튼, 타이포그래피 등 형과 관련된 모든 요소를 포함하고 색과 관련된 모든 요소는 색상에 포함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기존 연구방법론에서 조사자의 주관적 인식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Q 방법론을 활용하여 현재 모바일 UI 디자인에 대한 조사자의 시각적 특징을 다양한 각도로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한국과 중국에 거주하는 UI 디자인 관련 디자이너와 교수들을 대상으로 FGI 인터뷰를 진행해 현재의 한중 UI 디자인의 시각적 특징을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프스테드의 6개 지수에 의거하여 한국과 중국의 문화적인 특징에 대한 문헌 연구를 실시한 결과 남성주의 지수에서 중국은 한국보다 상대적으로 남성주의로 분석되었다. 또한 불확실성 회피 경향은 한국이 중국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4개 지수에서는 높은 권력거리, 낮은 개인주의, 높은 장기지향성, 낮은 방종 성향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한국 모바일 UI 디자인의 특징은 파란색, 규칙적, 여성적, 보수적, 통일적, 소박한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높은 불확실성 회피 문화, 높은 권력 거리 문화, 여성주의 문화, 장기지향문화, 집단주의 문화, 구속문화의 속성을 나타내는 호프스테드의 이론적 속성과 일치한다.
셋째, 중국 모바일 UI 디자인의 특징은 빨간색, 규칙적, 남성적, 보수적, 통일적, 소박한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낮은 불확실성 회피 문화, 높은 권력 거리 문화, 남성주의 문화, 장기지향문화, 집단주의 문화, 구속문화의 속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호프스테드의 이론적 속성과 일치한다.
넷째, 한국과 중국의 모바일 UI 디자인의 시각적 특징을 분석한 결과 호프스테드의 6개 문화 변수 중 남성주의 지수와 불확실성 회피 지수에서 서로 차이를 보인다. 이는 호프스테드의 지수에서 보이는 차이와 일치한다.
본 연구는 호프스테드의 문화적 요소가 UI 디자인의 시각적 특성과 일치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줌으로써 문화적인 특성에 맞는 UI 디자인을 개발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국가나 민족의 문화적 특성이 고려된 UI를 개발하거나 다양한 타겟 사용층의 문화적 특징을 고려한 디자인을 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摘要

随着手机普及率的提高,对UI设计的关注度也越来越高。UI设计师们为了开发符合本国文化特点的智能手机应用软件,正在做出各种努力,但要设计符合文化多样性的UI设计并不容易。在这样的背景下,本研究的目的在于通过Q方法论证明霍夫斯泰德的文化层面对移动UI设计的视觉特征的影响,并以此找出各国UI设计的视觉特征。
本研究首先以比较文化模型中评价最高的霍夫斯泰德文化理论模型为中心,进行了有关文化变数与设计关联性的文献研究,通过相关先行研究的分析,分析了霍夫斯泰德的文化变数与设计,特别是与UI设计的关联性。本研究将庞大的UI设计的视觉要素分为布局和颜色,布局要素包括图标、按钮、字体等与型相关的所有要素,与颜色相关的所有要素都包含在颜色上。
另外,本研究还利用在现有研究方法论中可以客观测定调查者主观认识的Q方法论,从多种角度分析了调查者对目前移动UI设计的视觉特征。研究方法是以居住在韩国和中国的UI设计相关设计师和教授为对象,进行FGI采访,了解了目前韩中UI设计的视觉特征,其结果如下。
第一,根据霍夫斯泰德的6个指数,对韩国和中国的文化特征进行了文献研究,结果显示,在男性主义指数中,中国比韩国相对男性主义。另外,在回避不确定性的倾向方面,韩国比中国高。 其余4个指数中,以高权力距离、低个人主义、高长期指向性、低放纵倾向,没有出现太大差异。
第二,韩国移动UI设计的特征是蓝色、规则、女性、保守、统一、朴素的特征,这与体现高度不确定性回避文化、高权力距离文化、女性主义文化、长期指向文化、集团主义文化、约束文化属性的霍夫斯泰德理论属性一致。
第三,据分析,中国移动UI设计的特征是红色、规则、男性、保守、统一、朴素的特征,体现低不确定性回避文化、高权力距离文化、男性主义文化、长期指向文化、集团主义文化、约束文化的属性,与霍夫斯泰德的理论属性一致。
第四,对韩国和中国的移动UI设计的视觉特征进行分析的结果显示,霍夫斯泰德的6种文化变数中,男性主义指数和回避不确定性指数存在差异。这与霍夫斯泰德指数中显示的差异一致。
该研究通过展示霍夫斯泰德的文化要素与UI设计的视觉特性一致这一点,对开发符合文化特性的UI设计具有重要意义。利用本研究的结果,开发考虑国家和民族文化特性的UI或考虑多种目标使用层文化特征的设计。

Abstract

With the growing popularity of mobile phones, more and more attention has been paid to UI design. UI designers are making various efforts to develop smart phone applications that conform to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ir country, but it is not easy to design UI that conforms to cultural diversity.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influence of Hofstede’s cultural level on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mobile UI design through the Q methodology, thereby finding out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UI design in various countries.
This study first focuses on Hofstede's cultural theory model, which is the most highly evaluated one in the comparative culture model, and carries out literature research on the relevance between cultural variables and design. Through the analysis of relevant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nalyzes the relevance between Hofstede's cultural variables and design, especially and UI design. In this study, the visual elements of huge UI design are divided into layout and color. Layout elements include icons, buttons, fonts and other elements related to shape, and all elements related to color are included in color.
In addition, this study also analyzes the investigators'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mobile UI design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by using the Q methodology which can objectively measure the investigators' subjective knowledge in the existing research methodology. The research takes the UI design-related designers and professors who live in Korea and China as he objects, FGI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UI design in Korea and Chin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Hofstede’s six indexes, a literature study of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 and China has been carried out. The results show that China is more masculine than South Korea in the masculinity index. In addition, South Korea has a higher tendency to avoid uncertainty than China. In the remaining four indexes, there is no big difference in terms of high-power distance, low individualism, high long-term directivity, and low indulgence tendency.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n mobile UI design are blue, rule, feminine, conservativeness, unity, and simplicity. This is consistent with the attributes of Hofstede’s theory that embody highly uncertainty avoidance culture, high-power distance culture, feminist culture, long-term directional culture, collectivism culture, and restraint culture.
Third, according to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China Mobile's UI design are red, regularity, masculine, conservativeness, unity, and simplicity, which is consistent with Hofstede’s theoretical attributes reflecting the low uncertainty avoidance culture, high-power distance culture, masculinity culture, long-term directional culture, collectivism culture, restraint culture.
Fourth,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mobile UI design in Korea and China show that among the six cultural variables of Hofstede,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masculinity index and the uncertainty avoidance index. This is consistent with the difference shown in the Hofstede index.
The research demonstrates that Hofstede’s cultural elements are consistent with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UI design, which is of great significance to the development of UI design that conforms to cultural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UI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ountry and nationality or to develop a design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multiple target usage levels by us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키워드

  • #호프스테드의 문화적 변수
  • # Q 방법론
  • # 모바일 UI 디자인
  • # UI 디자인 시각적 특징
  • # 문화적 차이

  • #霍夫斯泰德的文化变量,Q方法论,移动UI设计,UI设计的视觉特征,文化差异

  • #Hofstede’s cultural variables
  • # Q methodology
  • # mobile UI design
  • # UI design visual characteristics
  • # cultural differences

참고문헌

[Book]

1. Geert Hofstede, Gert Jan Hofstede, Michael Minkov, Cultures and Organizations : Software for the Mind, McGraw-Hill Higher Education, 2010
2. Jordan P.W. [National cultures and design], in: B. T. Konrad Baumann (Ed.), User Interface Design for Electronic Appliances, Taylor & Francis. 2001

[Dissertation]

1. 우근도,「사용자 감성형 GUI 개발을 위한 디자인 모델 구축」, 전북대학교 대학원 디자인제조공학과, 2009
2. 두상우,「스마트폰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GUI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학원, 2012
3. 나수빈,「사용성 향상을 위한 영화관 애플리케이션 GUI 연구」, 석사학위논문, 광운대학교 정보콘텐츠대학원, 2012
4. 김성희,「제품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문화적 요인의 적용에 관한 연구」, 국내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조형대학원, 2001
5. 장진녕,「문화에 대한 인식과 신제품 수용의 관계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경영학과 석사논문, 2010
6. 유배성,「호프스테드(Geert Hofstede)의 문화 변수가 제품 디자인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국내 박사학위논문 中央大學校 大學院, 2016
7. 박선영,「문화적 차이에 의한 모바일 폰 디자인 선호도의 기호학적 분석」, 국내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7
8. 윤시내,「동서양의 문화적 차이에서 본 모바일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GUI 디자인 비교 연구」, 국내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14
9. 예, 「한국과 중국의 모바일 쇼핑 앱 UI 디자인 비교 연구」, 국내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7
10. 김나영, 「UI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에 관한 연구: 국내 뉴스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 중앙대학교, 2014
11. 김민기, 「웹 사이트 UI디자인의 구성 요소를 통한 O4O 플래그십 스토어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20
12. 송재은,「터치스크린기반 모바일 기기의 사용성향상을 위한 GUI 디자인 방향 연구」, 학위논문, 한밭대학교, 2011
13. 김민기, 「웹 사이트 UI디자인의 구성 요소를 통한 O4O 플래그십 스토어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20.
14. 왕평,「문"과 "무": 누가 더 나은가? "레이 김경 교수 "남성 특질론-중국의 사회와 성별」, 칭다오 농업대학 학보사회과학판, 2020

[Academic Journal]

1. VeAdeoye, Blessing, Tomei, Lawrence, Effects of information capitalism and globalisation on teaching and learning, Pennsylvania: Information Science Reference, 2014 p6. ISBN 978-1-4666-6163-9.
2. Annamoradnejad. Issa, Fazli. Mohammad Amin, Habibi. Jafar, Tavakoli. Sadjad, Cross-Cultural Studies Using Social Networks Data, IEEE Transactions on Computational Social Systems, 2019,6 (4): 627–636. doi:10.1109/TCSS.2019.2919666. ISSN 2329-924X
3. Brown, S.R, Q Methodology and qualitative research,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996, pp561–567.
4. Hofstede, Geert, Culture's Consequences: International Differences in Work-Related Values (2nd ed.),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1984, ISBN 0-8039-1444-X
5. Minkov, Michael, What makes us different and similar: A new interpretation of the World Values Survey and other cross-cultural data, Sofia, Bulgaria: Klasika y Stil Publishing House, 2002, ISBN 978-954-327-023-1
6. Hofstede, Geert, Dimensionalizing Cultures: The Hofstede Model in Context, Online Readings in Psychology and Culture, Retrieved 6 September 2015.
7. Hofstede, Geert H. Cultures and Organizations: Software of the Mind (second ed.). New York: McGraw-Hill, 1997, p27.
8. Velo, Veronica, Cross-Cultural Management, New York: Business Expert Press, 2011, ISBN 978-1-60649-350-2.
9. Norman, D. A, Emotion & Design: Attractive things work better, Interactions Magazine, ix (4), 2002, p36-42.
10. 김학주, 김찬우, "에스닉(Ethnic) 레스토랑 이용고객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 분석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9
11. 한세희, "한국인의 문화적 가치 지향성에 내재된 차별”,『사회이론 통권』, Vol. 23, 2003
12. Ann Blandford, Semi-structured qualitative studies, The Encyclopedia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2nd Ed. Interaction Design Foundation. Retrieved 20 April 2014
13. 신동희, "휴머니타스 테크놀로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14. 박광래, "인쇄매체 광고의 주의력 제공을 위한 레이아웃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제3권3호, 2000
15. 재은,“터치스크린기반 모바일 기기의 사용성 향상을 위한 GUI 디자인 방향 연구”학위논문, 한밭대학교, 2011, p11.
16. 난육평, "'형, 색, 운' 논광서 민족문화로 부터의 공공공간 디자인 전승과 혁신”, 『연극의 집』, 2018
17. B. Mckeown and D. Thomas, Q-Methodology, Newbury Park. CA: Sage, 1988.
18. 김흥규, "Q-블럭과 Q-도구의 일치도 연구”, 『주관성 연구』, 2008
19. 김흥규, "Q 방법론: 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20. 저 우우 에양, 이창욱. "어포던스에 근거한 한·중 라디오앱의 UI디자인 비교연구”,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68.- 2019
21. 조경철(Cho Kyoungcheol). "Q방법론을 활용한 중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회과교육』 55.2 2016
22. 이장패, 이효휘, 박창언, "한국 내 중국 유학생의 학습태도 유형 분석 - Q방법론적 접근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6 2017
23. 김대원(Daewon Kim), 김성철(Seongcheol Kim), "Q방법론과 해외 대중문화 소비저항 모형을 중심으로 본 한류의 위기”, 『한국방송학보』 29.2 2015
24. 차수정, "Q방법론을 적용한 임부복 디자인 선호도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43.5 2019
25. 양창훈(Chang-Hoon Yang), 이제영(Jei-Young Lee). "Q방법론을 활용한 공직선거 광고의 주관적 수용인식 유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 2013
26. 홍승혜, 변영시, 이정명, "Q방법론을 적용한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의 이용자 유형 연구 및 모빌리티 서비스 UX 디자인 전략”,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9
27. 주정홍, 이애린, "한중기본색어'홍'백'비교분석”, 『청년문학가』, 2020
28. 류수화,"중국 특색 사회주의와 민주 사회주의의 경제 제도를 비교 분석”, 『간쑤 농업』, 2010

[Website]

1. 소비자 네트워크 행동 보고서, https://socialbeta.com/
2. From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Hofstede%27s_cultural_dimensions_theory
3. 中维尚谷, http://www.bjzzdk.com/article/452.html
4. 搜狐, https://www.sohu.com/a/318177243_719286
5. 360百科, https://baike.so.com/doc/2116317-2239178.html
6. CLEARLY CULTURAL, http://clearlycultura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