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D.2022.02_08

한국적 이미지를 활용한 해체주의 패션디자인 개발 연구   - 조선시대 기와를 중심으로 应用韩国形象的解构主义时装设计开发研究  -以朝鲜时期瓦片为中心- A Study on the Fashion Design Development of Deconstructivism Using the Korean Images - Focused on the Roof Tile of Joseon Dynasty -

  • Name : 이아름/ Lee Ah-Reum
  • Info : 박사학위논문/博士学位论文/Doctor's thesis/ 2022.02
  • Adviser : 노윤선/卢润瑄/Roh Youn-Sun
192.168.95.172

초록

최근 한국에 대한 이미지와 관심도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한국 고유의 것이라는 총체적 이미지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국 전통에 관한 모든 것의 인식이 급증하여 많은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적 이미지는 시대와 사상 그리고 현대화에 따른 새로운 시각적 대상의 미적 관점을 표출하는 도구로 표현된다. 이는 자국의 문화적인 정체성과 고유성을 새롭게 인식하고 사회, 경제, 정치적 요인을 통해 창조된 문화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적 이미지와 조선시대 기와를 활용한 해체주의 패션디자인 작품을 새롭게 재해석하고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기와는 한국 고유의 성격과 특질이 깊게 반영된 건축 요소 중 하나로 해체주의 특성을 가장 근접하게 포괄하는 요소라 할 수 있다. 현존하는 기와의 형태가 조선시대 기와의 명맥을 유지하기에 시대적 범위를 조선시대로 범주화하고 기와의 형태를 분해, 왜곡, 과장, 중첩, 반복, 삭제, 비대칭을 중점으로 모티브를 전개하여 소재를 개발하는 것에 초안을 두었다. 한국적 이미지의 외형적 특성에 내포된 선과 형태 중 전통 복식인 한복의 구성 요소에 개발된 소재를 대입하여 해체주의 표현방식으로 작품을 구현한다.
해체주의는 규칙이나 기존 관념의 형식을 없애며, 구성과 착용 방식을 새롭게 재결합하는 과정에서 차용, 변형, 과장 등 다양한 실험과 다각도의 관점에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예술 사조 개념으로 전통 미학의 범주 안에 머무르는 기존 선행 연구의 한계점을 벗어나 현대 패션의 독창적인 디자인을 개발함으로 한국 패션디자인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한국적 이미지와 조선시대의 기와, 해체주의의 이론적 개념 고찰과 특성을 분리하고 표현 유형을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외 학위논문과 단행본, 학회지 논문, 인터넷 자료 중심으로 문헌을 연구하였다. 현대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한국적 이미지와 해체주의를 활용한 패션의 실증적 작품 사례를 분석하기 위해 한국적 이미지가 세계인들의 시각에서 새롭게 해체되고 재해석되어 패션의 연구 주제로 대두되기 시작한 21세기 이후의 컬렉션을 중심으로 2012년 S/S 컬렉션부터 2021년 F/W 컬렉션까지의 세계 4대 컬렉션인 뉴욕, 파리, 런던, 밀라노와 한국인의 정서와 한국적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경향의 비중이 많은 서울 컬렉션을 포함하여 연구 범위를 기준으로 설정하고 최근 10년으로 수집범위를 지정하고 살펴본다. 이를 종합하여 조선시대 기와를 중심으로 한국적 이미지를 활용한 해체주의 패션디자인 개발을 연구하기 위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적 이미지의 내재적 특성 및 표현 유형을 자연의 조화를 그대로 받아들이고 인간의 인위적인 요소를 배제한 자연미, 고요함과 섬세한 조화인 절제미, 당 시대의 사회성을 대변하는 장식미, 현대적 감각을 지닌 독창적 추상미, 부조화로 익살과 농담 속에서 민족의 고요와 슬픔의 아름다움을 승화한 해학미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한국적 이미지의 시각적 본질에 따른 외형적 특성과 표현 유형은 자연과 어우러짐을 추구한 선과 형태, 자연과 동화된 음양오행 사상을 둔 오방색과 오간색 한국의 정서와 신념을 대변하는 자연 소재인 모시, 삼베, 명주, 무명, 형태적 모양이 아닌 인간의 의식 속에 만들어진 상징성과 이념을 함축한 문양과 장식으로 도출하였다.
둘째, 기와의 개념과 변천에 대해 살펴보고 조선시대 기와의 종류 및 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조선시대 기와를 연구함은 현존하는 기와의 형태와 가장 흡사하며 한국의 단절된 기와의 맥을 이어 재해석하기 위함이다.
셋째, 현대 패션컬렉션에 따른 사례를 분석한 결과 한국적 이미지의 개념을 단순히 한국 전통 복식의 모방이 아니라 전통 복식의 고유한 장식기법과 형태적 요소를 도출하여 서양 패션의 구성에 대입, 융합하는 사례들로 현대적 관점의 측면에서 재해석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넷째, 해체주의의 특성과 표현 유형은 과거와 현시대의 복식 양식을 미래지향적인 느낌과 이중적 개념의 차연, 성의 혼합에 의한 경계를 무너뜨리고 이질적인 상반된 소재의 결합, 의복 형태 개념을 탈피한 상호텍스트성, 형태가 착용 방식에 따라 신체와 외부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는 의미의 불확정성, 무형식의 형태의 새로운 미학을 창조하는 탈현상으로 분류하였다.
다섯째, 현대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해체주의의 특성과 사례를 분석한 결과 기존의 의복 패턴 형태를 파괴하고 의복을 착장 순서와 기능을 탈피하는 표현 방법이 가장 두드러졌으며 새로운 형태가 제시되고 확장함에 해체주의의 독특한 미적가치가 다양해짐을 알 수 있다.
여섯째, 다양한 실험적인 디자인을 시도하기 위해 1차 기와의 모티브를 2D 일러스트레이션을 활용하여 디자인 전개와 소재 개발을 진행 후, 2차 디자인 도식화를 제작한다. 3차 3D 소프트웨어 클로에 가상착의를 기반으로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 후, 4차 작품 8점을 실물로 제작하여 구현함으로써 결론을 도출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현대 패션이 지향하는 문화의 무경계와 절충은 전 세계를 아우르는 독자적 고유의 문화에 대한 정체성으로 한국적 이미지의 현대적 감각을 개발하는 작업이 과거와 현시대의 전환기 속에 재고되어야 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시대 변화에 따른 새로운 트렌드에 부응하는 것으로 조선시대 기와를 중점으로 한국적 이미지를 활용한 해체주의 패션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한국적 이미지가 더욱 부상하고 가속화되어 한국의 문화와 패션에 대한 정체성이 더욱 확고해지길 바라며, 세계 문화를 주도하는 흐름으로 패션디자인에만 국한되지 않고 건축, 회화, 예술 등 모든 분야에서 이 연구를 토대로 다각도의 영향을 발휘하길 바란다.

摘要

随着最近对韩国形象和关注度呈增长趋势以及全球对韩国固有的总体形象关注度的提高,对韩国传统的所有的认识剧增,需要进行更多研究和开发。韩国形象作为表达时代和思想及意识形态和现代化展示的新视觉对象审美观点的工具来体现。它可以是一个国家文化特性和固有属性重新认识,通过社会、经济和政治因素所创造出来的文化。
本研究的目的是应用韩国形象和朝鲜时代的屋顶瓦片重新解释和开发解构主义的时装设计。屋面瓦是最有深度地体现韩国固有的属性和特质的建筑元素之一,可以说是最贴切总括解构主义特点的要素。由于屋瓦的种类保持朝鲜时代的命脉,所以研究的时代范围以朝鲜时代作为范畴,以屋瓦形态分解、扭曲、夸张、复制、重复、消除、不对称等作为重点主题展开,作为开发素材的草案。该作品在韩国形象中包含的线条和形状上的将以韩国传统服饰的韩服构成要素开发元素应用到其中,以解构主义的表现方式展现了作品。
解体主义是消除规则或已有观念的形式,在重新结合构成和穿戴方式的过程中,可以从借用、变形、夸张等多种实验和多角度体现设计的艺术思潮概念,摆脱停留在传统美学范畴内的已有先行研究的局限点,开发现代时尚的独创性设计,要开辟韩国时尚设计的新可能性。
在研究方法上,为考察韩国形象和朝鲜时代的瓦片和解构主义的概念,区分特性和分析类型,主要通过国内外论文、书籍、期刊出版物和互联网数据进行文献研究,为了分析现代时装收藏品中体现的韩国形象和应用解构主义的时装的实证性作品事例,以21世纪以后韩国形象从世界人的视角重新解构并重新诠释,成为时装研究主题的收藏品为中心,从2012年S/S收藏品到2021年F/W收藏品的世界四大收藏品纽约、巴黎、伦敦、米兰和韩国人的情绪和韩国形象为基础,设定了以最近倾向较多的首尔收藏品为标准的研究范围。 综合这些内容,研究以朝鲜时代瓦片为中心,利用韩国形象开发解体主义时尚设计的研究内容如下。
第一,对韩国形象的内在特性及表现类型、自然的和谐本身的接受。分为排除人类人为因素的自然美、安静和细腻相谐调的节制美、代言当代社会性的装饰美、具有现代感的独创抽象美、不协调在幽默和诙谐中升华的民族宁静和悲伤美的诙谐美进行了分析。根据韩国形象的视觉本质的外形特点和表现类型推导出以追求与自然和谐的线条和形态、与自然同化的阴阳五行思想为五方色和五间色、代表韩国情绪和信念的自然素材苎麻布、丝绸、棉布、不是形态上的形状,而是用蕴含着人类意识形成的象征性和理念含蓄的图案和装饰的纹样。
其次,回顾了瓦砖的概念和变迁,考察了朝鲜时代瓦砖的种类和特点。研究朝鲜时代瓦砖的原因是它们与现在存在的瓦砖形态最相似,为了继承韩国中断的瓦砖的脉络进行再诠释。
第三,分析现代时装系列的事例的结果显示,韩国形象的概念不是单纯模仿韩国传统服饰,而是导出传统服饰固有的装饰技法和形态要素,代入西方服装结构和融合的事例,从现代观点角度重新诠释的倾向。
第四,解构主义的特征和表现形式是过去和现代的服饰样式的未来指向的感觉和双重概念的延异(Différance),打破性的以性形成的界限,将异质的相反材料的结合、脱离服装形态概念的相互文本性、形态根据穿戴方式使身体和外部界限模糊的意义的不确定性、创造无形形态新美学的分解来分类。
第五,分析现代时装系列中出现的解体主义特点和事例的结果显示,破坏现有服装图案形态、摆脱着装顺序和功能的表现方法最为突出,而且随着新形态的提出和扩张,解体主义的独特审美价值变得多样化。
第六,为了尝试多种实验性设计,1次,瓦砖的主题应用2D图案进行设计展开和材料开发后,2次,制作设计的图式化。3次,应用以虚拟着装为基础3D软件进行模拟后,4次,将8幅作品制作成实物并体现出来,得出结论。
通过以上研究结果,现代时尚所向往的文化无界限和折衷,是全世界对独立文化的认同感,具有开发韩国形象现代感的工作在过去和现时代的转换期中需要重新考虑的作用。 这是顺应时代变化的新趋势,以朝鲜时代瓦片为重点,开发利用韩国形象的解构主义服装设计具有重要意义。 另外,希望韩国形象进一步崛起和加速,进一步巩固韩国文化和时尚的认同感,希望主导世界文化的潮流不局限于时尚设计,在建筑、绘画、艺术等所有领域以该研究为基础,发挥多方面的影响。

Abstract

With the recent increasing trends on the Korean images as well as interest in the overall images on the Korean unique things globally, many researches and developments are required due to rapid increases on the everything of the Korean traditions. The Korean images are expressed as the tools to demonstrate the aesthetic viewpoints on the new visual objects according to the times, ideology, and modernization. They can be the cultures created by recognition of cultural identity and uniqueness newly, and social, economical, and political factor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reevaluate and develop the fashion designs of deconstructivism using the Korean images and roof tile in the Joseon Dynasty. The roof tile is one of the construction elements deeply applied with the Korean unique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which can show the characteristics of deconstructivism in detail. Since the types of roof tiles maintain the existence of those in the Joseon Dynasty, the study was designed with the scope of the times as Joseon, and the types of roof tiles as disassembly, distortion, exaggeration, duplication, repetition, elimination, and asymmetry, to develop the subjects. The artwork was realized with the expression way of deconstructivism applying the developed subjects among the lines and shapes of appearances in the Korean images to the element of Hanbok, the traditional Korean dress. Deconstructivism is a concept of art movement that can realize the design by multi-dimensional viewpoints as well as multiple experiments such as borrowing, modification, exaggeration, and so on in the process of newly recombination with organization and wearing methods, eliminating the conventional rules or concepts. This study is intended to open the new potential of the Korean fashion design by developing the unique designs of the contemporary fashion beyond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tudies which remained within the boundary of traditional aesthetics.
For the study methods, literature reviews were performed mainly wi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theses, books, journal publications, and internet data to identify the Korean images, roof tiles in the Joseon Dynasty, the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deconstructivism and to analyze the types of their expressions. To analyze the experimental cases of fashion using the Korean images and deconstructivism occurred in the contemporary fashion collections, the study scope was established with the world top 4 collections including New York, Paris, London, and Milan as well as Seoul collection which showed the significant share of Korean emotion and images from S/S in 2021 to F/W in 2021 since the 21st century when the Korean images had been dissembled and reevaluated by the global viewpoint to become the research topics on the fashion. In summary, the study details to develop the deconstructivism fashion design using the Korean images focusing on the roof tiles in the Joseon Dynasty are as follows.
First, intrinsic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types of the Korean images were analyzed classifying by natural beauty that adopted the harmony with nature and eliminated artificial elements; moderated beauty which was the fine harmony with silence; decorative beauty that represented the sociality at that times; unique abstract beauty with modern sense; and humorous beauty that transcended the silence of people and beauty of sadness in the center of humors and jokes with disharmony.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types of the Korean images by the visual nature were deduced as lines and shapes demonstrating the harmony with nature; five colors based on Yin-Yang and Five-Elements that were assimilated by nature; natural materials that represented the Korean emotion and belief including ramie fabric, hemp cloth, silk, and cotton; and the patterns and decorations containing the symbolism and ideology that were made in the consciousness of human-being rather than shapes.
Second, the concepts and changes of roof tiles were reviewed, and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oof tiles in the Joseon Dynasty were investigated. The reasons to study the roof tiles in the Joseon Dynasty were their similarity with the presently existed ones and reevaluation of them by continuing the origin of discontinued Korean roof tiles.
Third, the analysis results of contemporary fashion collection cases revealed that they did not imitate the Korean traditional dress simply with the concept of Korean images but deducted the unique decoration skills and forms of the traditional dress to apply and integrate the organization of the western fashion so as to show the tendency to be reevaluated.
Fourth, with respect to the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types of deconstructivism, the past and modern dressing styles were classified as differences between future-oriented sense and ambivalent concept; combination of heterogeneous materials breaking the boundary of gender mixture; intertext eliminating the concept of dress; uncertainty of meaning to obscure the boundary between the body and the outside depending on the types of wearing; and decomposition to create new aesthetics with a type of non-format.
Fifth, the analysis results on the characteristics of deconstructivism and cases in the contemporary fashion collections showed that types of clothing patterns were devastated and expression ways to break from the wearing order and functions were the most remarkable, and unique aesthetic values of deconstructivism were varied upon suggestion and expansion of new types.
Sixth, to try a variety of experimental designs, 1) design and material developments are performed using 2D illustration with the motive of roof tiles, and 2) design drawing is produced. 3) After simulation based on Cloe Virtual Clothing, a 3D software, 4) conclusions are deducted producing and realizing 8 artworks.
From these study results, non-boundary and compromise of culture that contemporary fashion aim are the identities on the unique culture that cover all over the world, and developments of modern senses with the Korean images play roles to be reconsidered in the transition period of the present era. This meets the new trends according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has the meaning to develop the fashion design of deconstructivism using the Korean images focusing on the roof tiles in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he identity on the Korean culture and fashion is anticipated to be established firmly upon accelerations of the Korean images, moreover, to affect every field such as architecture, painting, fine arts, and so on with the wave to lead the global culture without limiting fashion design based on this study.

키워드

  • #한국적 이미지
  • # 조선시대 기와
  • # 해체주의
  • # 패션디자인
  • # 3D 가상 의상디자인

  • #韩国形象,朝鲜时代的瓦,解构主义,时装设计,3D虚拟服装设计

  • #Korean Image
  • # Roof Tile in the Joseon Dynasty
  • # Deconstructivism
  • # Fashion Design
  • # 3D Virtual Fashion Design

참고문헌

[Book]

1. 가지야 타카시, 가토 리에, 권석영 저, 『야나기 무네요시와 한국』, 소명출판사, 2012
2.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한국 문화유산 산책』, 새문사, 2019
3. 고유섭, 『구수한 큰 맛 우현 고유섭 선생의 한국 미술사 연구, 한국미술의 이해 2』, 다할미디어, 2005
4. 국립대구박물관, 『한국 전통복식 2천년』, 통천문화사, 2002
5. 권영필, 『한국 전통미술의 미학적 과제, 한국 미학 시론』,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97
6. 글림자, 『조선시대 한복 이야기』, 혜지원, 2018
7. 금기숙, 『조선 복식 미술』, 열화당, 1994
8. 금기숙, 김민자, 김영인 등 저, 『현대 패션 110년』, 교문사, 2012
9. 김동욱, 『조선시대 건축의 이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10. 김동욱, 『한국 복식사 연구』, 아세아문화사, 1979
11. 11. 김민자, 『한국적 패션디자인의 제다움 찾기- 전통미와 현대적 활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12. 12. 김성구, 『빛깔있는 책들- 옛기와』, 대원사, 1999
13. 13. 김성구, 『통일신라시대의 와전 연구』, 고고미술, 1984
14. 14. 김영기, 『한국인의 조형 의식』, 창지사, 1993
15. 김영기, 『Native design』, 디자인 네트, 1996
16. 김유식, 『신라 기와 연구』, 민속원, 2014
17. 홍남, 『고유섭과 한국 회화사 연구』, 미술사학 연구, 2005
18. 김홍식, 『조선 궁궐의 막새기와 문양과 장식기와』, 민속원, 2009
19. 민경우, 『디자인의 이해』, 미진사, 1995
20. 박옥련, 『한국 전통 복식 문양사』, 형설출판사, 2000
21. 백종오, 『고구려 기와의 성립과 왕권』, 주류성, 2006
22. 부산박물관, 『지붕에 기품을 더하다』, 부산박물관 491, 201
23. 송광헌, 『한국의 문양 디자인』, 웹스미디어컴퍼니, 2012
24. 심영옥, 『한국 미술사를 보다 2 : 건축사·공예사·한국미』, 리베르스쿨, 2015
25. 유희경, 『한국 복식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2002
26. 윤진영, 『조선 시대의 삶, 풍속화로 만나다』, 다섯수레, 2015
27. 윤진영, 강민기, 황정연, 박정혜 저, 『왕과 국가의 회화』, 돌베개, 2011
28. 윤철규, 『조선 회화를 빛낸 그림들』, 컬처북스, 2015
29. 이광래, 『해체주의란 무엇인가』, 교보문고, 1994
30. 이여성, 『조선 복식고』, 종합출판범우, 2021
31. 이인범, 『조선 예술과 야나기 무네요시』, 시공사, 1999
32. 이일형 저, 『프랑크 게리』, 살림출판사, 2004
33. 임기택, 『해체주의와 건축이론』, Space Time, 2014
34. 장회익, 『이분법을 넘어서: 물리학자 장회익과 철학자 최종덕의 통합적 사유를 향한 대화』, 서울: 한길사, 2007
35. 지상현, 『한중일 미의식』, 아트북스, 2015
36. 채금석, 『현대 복식 미학 : 표현주의에 근거한 양면가치를 중심으로』, 경춘사, 1995
37. 최석조, 『김홍도의 풍속화로 배우는 옛 사람들의 삶』, 아트북스, 2008
38. 최성자, 『한국의 미- 선, 색, 형』, 지식산업사, 1993
39. 최준식, 『한국미, 그 자유분방함의 미학』, 효형출판, 2000
40. 탁석산, 『한국의 정체성』, 서울: 책세상, 2020
41. 표광소, 『활짝 핀 서민문화』, 여원미디어, 2012
42. 한남대학교 중앙박물관, 『기와 그리고 전돌』, 애드웰, 2011
43. 한성백제박물관, 『백제, 누가 언제 세웠나』, 휴먼컬처 아리랑, 2015
44. 황의수, 『빛깔있는 책들- 조선기와』, 대원사, 1999
45. 휴 J. 실버만, 『데리다와 해체주의 철학과 사상』, 현대미학사
46. Jhon. Llewelyn, 『데리다의 해체주의. 서울:문학과 지성사』, 1988
47. Llewelyn, Jhon, 김세중, 서우석(역), 『데리다의 해체주의』,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88

[Dissertation]

1. 강정현, 「한국 선(線)의 이미지를 응용한 장신구 표현」, 건국대학교 대학원 산업디자인과 금속공예 전공 석사학위논문, 1998
2. 금윤진, 「알렉산더 맥퀸(Alexander McQueen)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포스트모던적 아방가르드 성향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예술ㆍ디자인대학원 의상ㆍ섬유디자인학과 의상디자인전공 석사학위논문, 2005
3. 김부선, 「한국 전통 기와를 모티브로 한 도자 조형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도자기 디자인전공 석사학위논문, 2004
4. 김은정, 「현대 패션에 나타난 한국적 디자인 표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의상디자인전공 석사학위논문, 2004
5. 김장현, 「현대 패션에 나타난 환상성의 유형과 미적 특성」, 중앙대학교 대학원 패션디자인학과 패션아트 & 디자인전공 박사학위논문, 2015
6. 김주현, 「존 갈리아노 패션쇼 메이크업에 나타난 해체주의 특성 분석」, 성신여자대학교 뷰티융합대학원 뷰티융합학과 석사학위논문, 2018
7. 김혜정, 「현대 건축의 형태 구성과 해체주의 패션의 특성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가정학과 의상학전공 박사학위논문, 1998
8. 김효진, 「한국과 일본 현대 패션에 표현된 전통 미의식의 비교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박사학위논문, 2009
9. 박인창, 「한국인의 전통문화 환경과 선의 유형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시각문화 콘텐츠디자인 박사학위논문, 2013
10. 서문예진, 「시대별 사회문화 변천에 따른 한국적 패션디자인의 특성과 변화 동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생활디자인학과 석사학위논문, 2017
11. 심수현, 「한국적 전통미를 활용한 패션디자인의 명품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석사학위논문, 2006
12. 오나령, 「한국적 이미지의 현대적 표현을 위한 의상디자인 연구- 한국 고지도(古地圖)를 모티브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석사학위논문, 2001
13. 윤보연, 「현대 패션에 반영된 전통 미의식의 연구- 한국과 일본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석사학위논문, 2002
14. 윤소정, 「해체주의적 복식디자인에 관한 연구- 탈(脫)형식의 코디네이션 이미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장식미술과 석사학위논문, 1996
15. 윤숙영, 「해체주의 탈현상을 응용한 니트웨어 디자인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박사학위논문, 2010
16. 음정선, 「국가 이미지 제고를 위한 한국적 패션디자인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의상학과 박사학위논문, 2011
17. 임광숙, 「해체 디자인의 문화적 상징성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입체디자인전공 석사학위논문, 1998
18. 이경미, 「한국 전통 문양에 나타난 상징성 연구- 꽃문양을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2004
19. 이미란, 「한국적 이미지를 응용한 패션디자인 개발」, 대구가톨릭대학교 패션산업학과 석사학위논문, 2008
20. 이영재, 「1990년대 스트리트 패션에 나타난 해체주의 경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가정학과 의상학전공 박사학위논문, 2000
21. 이은정, 「한국적 패션에 표현된 전통미와 숭고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박사학위논문, 2015

[Academic Journal]

1. 강희경, “한국적 의상디자인에 표현된 자연주의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1998, Vol.38(-)
2. 김용상, “국가 이미지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전통상학연구』, 1999, Vol.13(2)
3. 김유경, “건축적 조형성이 반영된 현대 패션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09, Vol.15(4)
4. 김재원. “현대미술에 영향을 미친 해체주의의 조형적 특성”,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14, Vol.20(1)
5. 김주현, 권미정, 이순자, “현대 복식에 나타난 해체주의적 표현과 그 수용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학회』, 1999, Vol.7(4)
6. 김지연, 전혜정, “복식에 나타난 해체주의 양식연구- 건축과 복식의 비교”, 『한국복식학회』, 1997, Vol.32(-)
7. 김혜정, 임영자, “현대 건축의 형태 구성과 해체주의 패션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1998, Vol.40(-)
8. 박양미, “한국적 모티브를 이용한 제품디자인의 사례와 발전 가능성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2013, Vol.14(5)
9. 박현택, “한국 문양의 디지털 컨텐츠 개발과 활용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통권 제53호, 2003, Vol.16(3)
10. 서경희·추태귀, “현대 패션에 표현된 해체주의의 상호텍스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 2005, Vol.7(4)
11. 심영옥, “한국미의 주요 특징 연구- 최순우의 견해를 중심으로”, 『한국동양예술학회』, 2008, Vol.13(-)
12. 유정미, “타이포그라피의 한국성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1999, Vol.12(1)
13. 유현정, “패션에 나타난 한국미의 조형성과 디자인 요소”,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2010, Vol.12(1)
14. 이규완, “미국, 일본, 스위스, 독일, 프랑스의 국가 이미지와 상품 이미지의 변화에 관한 연구- 1984년과 2001년의 비교”, 『광고학연구』, 2001, Vol.12(4)
15. 이대일, “한국 전통문화 속에 나타난 한국의 미와 그 현대적 가치”, 『태평양 장학 문화 재단 총서 13』, 2004
16. 임헌혁, 최정윤. “해체주의 관점에서 표현된 타이포그래피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고찰”, 『디자인 연구』, 2005, Vol.8(1)
17. 최경옥ㆍ추미경·홍정화, “장 폴 골티에의 작품에 표현된 해체주의 경향– 2001~2006년을 중심으로”, 『복식문화학회』, 2007, Vol.15(2)
18. 18. 최영옥, “장 폴골티에 작품에 나타난 내적 해체 경향”, 『복식문화학회』, 2001, Vol.9(4)
19. 최진희, “해체주의 건축이론과 색채표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1980년대 후반 이후의 건축디자인을 중심으로”,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2008, Vol.22(1)
20. 최해주, “한국 패션에 나타난 한국미의 표현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2013, Vol.63(1)
21. 한충민, “한국의 대외 이미지 현황과 경제적 파급효과”, 『경제연구』, 1994, Vol.15(1)
22. Martin, I. M, & Eroglu, S, Measuring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Country image, 『Journ al of Business Research』 28, 1993
23. Scott, W.A, Psychological and social correlates of international images. In H.C. Kelman (Eds), International Behavior, 『New York: Halt, Reinhart & Winston』, 1966

[Website]

1. Vogue, “2012 S/S 이상봉 Collection”, https://runway.vogue.co.kr/2011/10/21/seoul-collection-2012-ss-lie-sangbong/#0:7
2. Vogue, “2013 F/W 이상봉 Collection”, https://runway.vogue.co.kr/2013/04/02/seoul-collection-2013-fw-lie-sangbong/#0:8
3. Vogue, “2014 S/S 메종마르지엘라 Collection”, https://runway.vogue.co.kr/2014/01/23/haute-couture-2014-ss-maison-martin-margiela/#0:2
4. Vogue, “2015 F/W 드리스반노튼 Collection”, https://runway.vogue.co.kr/2015/03/05/ready-to-wear-2015-fw-dries-van-noten/#0:38
5. 5. Vogue, “2015 S/S 델포조 Collection”, https://runway.vogue.co.kr/2014/09/12/ready-to-wear-2015-ss-delpozo/#0:35
6. Vogue, “2015 S/S 샤넬 Collection”, https://blog.naver.com/costrama/220535393884
7. Vogue, “2015 S/S 샤넬 Collection”, https://blog.naver.com/modern_staff/220351143067
8. Vogue, “2015 S/S 샤넬 Collection”, https://blog.naver.com/owlsl456/221306575360
9. Vogue, “2015 S/S 진태옥 Collection”, https://runway.vogue.co.kr/2014/10/20/seoul-collection-2015-ss-jinteok/#0:39
10. Vogue, “2016 S/S 델포조 Collection”, https://runway.vogue.co.kr/2015/09/17/ready-to-wear-2016-ss-delpozo-collection/#0:21
11. Vogue, “2017 F/W 모스키노 Collection”, https://runway.vogue.co.kr/2017/02/25/fall-2017-moschino/#0:50
12. Vogue, “2017 F/W 무열 Collection”, https://runway.vogue.co.kr/2017/04/02/fall-2017-vlades/#0:2
13. Vogue, “2017 F/W 묵진 Collection”, https://blog.naver.com/wdfcdt/222084822772
14. Vogue, “2017 S/S 모스키노 Collection”, https://runway.vogue.co.kr/2016/09/23/spring-2017-moschino/#0:0
15. Vogue, “2017 S/S 펜디 Collection”, https://runway.vogue.co.kr/2016/09/23/spring-2017-fendi/#0:53
16. Vogue, “2018 F/W 돌체앤가바나 Collection”, https://blog.naver.com/ranran25/221218154536
17. Vogue, “2018 F/W 메종마르지엘라 Collection”, https://runway.vogue.co.kr/2018/07/13/haute-couture-2018-fw-maison-margiela/#0:12
18. Vogue, “2018 F/W 메종마르지엘라 Collection”, https://runway.vogue.co.kr/2018/07/13/haute-couture-2018-fw-maison-margiela/#0:0
19. Vogue, “2018 S/S 릭오웬스 Collection”, https://runway.vogue.co.kr/2017/09/29/spring-2018-rick-owens/#0:36
20. Vogue, “2018 S/S 요지야마모토 Collection”, https://runway.vogue.co.kr/2017/06/27/menswear-spring-2018-yohji-yamamoto/#0:31
21. Vogue, “2019 F/W 민주킴 Collection”, https://blog.naver.com/th_media/221494254945
22. Vogue, “2019 S/S 앤드뮐미스터 Collection”, https://blog.naver.com/owlsl456/221306575360
23. Vogue, “2019 S/S 카르소 Collection”, https://blog.naver.com/th_media/221379095714
24. Vogue, “2019 S/S 톰브라운 Collection”, https://runway.vogue.co.kr/2018/10/11/ready-to-wear-2019-ss-thom-browne/#0:42
25. Vogue, “2020 S/S 뮌 Collection”, https://runway.vogue.co.kr/2019/10/24/spring-2020-ready-to-wear-munn/#0:0
26. Vogue, “2020 F/W 꼼데가르송 Collection”, https://runway.vogue.co.kr/2020/03/10/ready-to-wear-2020-fw-comme-des-garcons-collection/#0:8
27. 27. Vogue, “2020 F/W 메종마르지엘라 Collection”, https://runway.vogue.co.kr/2020/03/10/ready-to-wear-2020-fw-maison-margiela-collection/#0:0
28. 28. Vogue, “2020 F/W 발렌시아가 Collection”, https://runway.vogue.co.kr/2020/03/10/ready-to-wear-2020-fw-balenciaga/#0:32
29. Vogue, “2020 S/S 톰브라운 Collection”, https://runway.vogue.co.kr/2019/09/30/spring-2020-ready-to-wear-thom-browne/#0:33
30. Vogue, “2020 S/S 해일 Collection”, https://blog.naver.com/kbeautynews/221718834355
31. Vogue, “2021 F/W 느와케이니노미야 Collection”, https://runway.vogue.co.kr/2021/08/23/ready-to-wear-2021-fw-noir-kei-ninomiya/#0
32. Vogue, “2021 F/W 리차드말론 Collection”, https://runway.vogue.co.kr/2021/07/29/charlotte-knowles/#0:19
33. Vogue, “2021 S/S 두칸 Collection”, https://blog.naver.com/velvtwhip/222300280903
34. Vogue, “2020 S/S 챈스챈스 Collection”, https://blog.naver.com/th_media/221682076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