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D.2022.02_05

제품 사용자 경험 요소와 지속적 사용 의도와의 연관성 激发负面情绪的产品设计因素的研究 -女性消费者在线评论的数据挖掘-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PUX Factors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 Name : 장지파 (張繼發)/ZHANG JIFA
  • Info : 박사학위논문/博士学位论文/Doctor's thesis/ 2022.02
  • Adviser : 고정욱/高正旭/ Go, Jung-Wook
192.168.95.172

초록

경험경제 시대에 제품의 핵심 가치는 단순한 기능과 조형에서 제품 사용자 경험(PUX)으로 옮겨갔다. 제품의 경험 만족도는 지속사용성을 높여 기업 제품의 시장경쟁력 향상에 영향을 준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PUX와 제품의 지속사용성 사이의 관련성에 대한 분석과 검토가 여전히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제품 사용 경험을 향상하기 위한 핵심 PUX 요소 도출하여 구체적인 PUX 요소 향상 방향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 제 Ⅲ장은 실증연구 1과 실증연구 2를 진행하였다.
실증연구 1은 일상생활 편의 제품인 전동칫솔의 PUX와 지속적 사용 의도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PUX 요소, 경험 만족도 변화와 지속적 사용 의도 간의 연관 경로를 설정하고 조사와 분석, 검증을 진행하였다. 연구 과정은 1)“제품 특징 및 시장 현황 조사”, 2)“사용자 조사와 PUX요소 도출”, 3)“설문 조사 및 경로 분석 방법을 이용한 PUX 요소-지속적 사용 의도의 연관성 분석”, 4)“분석 결과 도출” 4단계로 구성된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토대로 제품 지속사용성에 포함된 “현 보유 제품의 지속사용성”, “동일 모델의 지속사용성”과 “동종 제품의 지속사용성”은 각각 PUX 요소 집단 “만족성, 효율성과 사용 편의성”, “만족성, 브랜드 신뢰성, 구매 경제성과 사용 경제성”과 “효율성, 조작 간편성, 안전성, 브랜드 신뢰성”에 직접적 영향을 받고, 경험 만족도 변화를 통해서 PUX 요소 “만족성, 기능성, 보관성, 위생 유지성, 구매 경제성과 사용 경제성”에 간접적 영향을 받는다는 것은 알게 되었다. 이에 실증연구 1은 지속적 사용 의도에 직접적 영향을 줄 수 있는 7개 PUX 요소(만족성, 효율성, 사용 편의성, 브랜드 신뢰성, 경제성, 조작 간편성, 안전성)를 핵심 PUX 요소로 도출하였다.
경험경제 시대에 제품의 핵심 가치는 단순한 기능과 조형에서 제품 사용자 경험(PUX)으로 옮겨갔다. 제품의 경험 만족도는 지속사용성을 높여 기업 제품의 시장경쟁력 향상에 영향을 준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PUX와 제품의 지속사용성 사이의 관련성에 대한 분석과 검토가 여전히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제품 사용 경험을 향상하기 위한 핵심 PUX 요소 도출하여 구체적인 PUX 요소 향상 방향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 제 Ⅲ장은 실증연구 1과 실증연구 2를 진행하였다.
실증연구 1은 일상생활 편의 제품인 전동칫솔의 PUX와 지속적 사용 의도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PUX 요소, 경험 만족도 변화와 지속적 사용 의도 간의 연관 경로를 설정하고 조사와 분석, 검증을 진행하였다. 연구 과정은 1)“제품 특징 및 시장 현황 조사”, 2)“사용자 조사와 PUX요소 도출”, 3)“설문 조사 및 경로 분석 방법을 이용한 PUX 요소-지속적 사용 의도의 연관성 분석”, 4)“분석 결과 도출” 4단계로 구성된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토대로 제품 지속사용성에 포함된 “현 보유 제품의 지속사용성”, “동일 모델의 지속사용성”과 “동종 제품의 지속사용성”은 각각 PUX 요소 집단 “만족성, 효율성과 사용 편의성”, “만족성, 브랜드 신뢰성, 구매 경제성과 사용 경제성”과 “효율성, 조작 간편성, 안전성, 브랜드 신뢰성”에 직접적 영향을 받고, 경험 만족도 변화를 통해서 PUX 요소 “만족성, 기능성, 보관성, 위생 유지성, 구매 경제성과 사용 경제성”에 간접적 영향을 받는다는 것은 알게 되었다. 이에 실증연구 1은 지속적 사용 의도에 직접적 영향을 줄 수 있는 7개 PUX 요소(만족성, 효율성, 사용 편의성, 브랜드 신뢰성, 경제성, 조작 간편성, 안전성)를 핵심 PUX 요소로 도출하였다.
실증연구 2는 PUX 요소와 지속적 사용 의도 간의 연관성이 유형별 제품에서 나타내는 차별성을 통찰하기 위해 3가지 유형의 무선이어폰을 연구대상 제품으로 한다. 연구과정은 1)“무선이어폰의 시장 현황 조사”, 2)“사용자 조사 및 PUX 요소 도출”, 3)“PUX 요소와 지속적 사용 의도의 연관성 분석”, 4)“분석 결과 도출 및 경험 디자인 방향성 제시” 4단계로 이루어졌다. 이 런 연구 과정을 통해 무선이어폰의 유형에 따라 제품 지속사용성에 영향을 주는 핵심 PUX 요소군집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증연구 1의 추진 연구로 실증연구 2에서 사용자의 지속적 사용 의도에 직접적 영향을 줄 수 있는 6개 PUX 요소(조형성, 제어성, 쾌적성, 편의성, 기능성, 효율성)를 핵심 PUX 요소로 도출하였다.
제 Ⅳ장은 연구의 차별성을 부각하기 위해 실증연구 1과 2 도출한 핵심 PUX 요소와 관련 세부 항목에 기초하여 Focus Group Discussion을 통해 9개 PUX 요소 그룹과 27개의 구체적인 핵심 PUX 요소를 귀결하였다. 2차로 도출된 27개의 구체적인 핵심 PUX 요소는 “① 디자인 완성도 및 정교성과 ② 시각적 매력성, ③ 디자인 단순성, ④ 자아표현 충족성, ⑤ 촉각적 체험의 쾌적성, ⑥ 청각적 체험의 쾌적성, ⑦ 안정성 체험의 쾌적성, ⑧ 조작 인터페이스의 이해 용이성, ⑨ 조작 절차 및 구조의 타당성, ⑩ 사인 표시 및 피드백 정보의 즉시인지성, ⑪ 조작 방식의 타당성, ⑫ 제품 인체공학적 요소의 타당성, ⑬ 제품 수납의 용이성, ⑭ 제품 휴대 편의성, ⑮ 제품 충전 방식의 편의성, ⑯ 제품 기능 유형의 충분성, ⑰ 기능 조절의 합목적성, ⑱ 사용 환경의 적합성, ⑲ 기능 실현의 기술성, ⑳ 제품 형태 구조상의 사용 효율성, ㉑ 제품 인터랙션상의 사용 효율성, ㉒ 제품 재질과 구조상의 사용 안전성, ㉓ 제품 작동상의 사용 안전성, ㉔ 브랜드 평판의 우수성, ㉕ 제품 제조사의 전문성, ㉖ 구매 경제성, ㉗ 사용 경제성”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PUX 요소 그룹의 개념적 범위와 장기적 사용자 경험 흐름도 중의 분포 특징을 설명하였다. 핵심 PUX 요소의 정의와 설명을 바탕으로 제 Ⅳ장 2.3절은 제품의 지속사용성을 향상하기 위한 핵심 PUX 요소와 관련된 디자인⦁개발 방향 40개를 제시하였다. 제 Ⅳ장 2.4절에는 전문가 평가 조사 결과를 보면 핵심 PUX 요소와 관련된 디자인⦁개발 방향이 제품 지속사용성 향상에 중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연구 대상 제품에 따라 핵심 PUX 요소와 관련된 디자인⦁개발 방향의 중용도 우선순위도 정리하였다. 최종 연구 결과의 가치 확장과 효율적인 제품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를 위해 핵심 PUX 요소와 관련 디자인⦁개발 방향을 제품 기획 단계에 적용하는 것을 제언하여 제품 기획 단계의 리서치 항목과 구체적인 조사내용 체크리스트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제품의 사용자 경험과 지속사용성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연관성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도출한 핵심 PUX 요소와 그에 관련된 디자인⦁개발 방향은 기업 제품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연구 마지막 부분에 제시한 구체적인 조사내용 체크리스트도 향후 다른 제품의 지속사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품 기획 단계과 디자인 프로세스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별 제품에서 나타내는 차별성을 통찰하기 위해 3가지 유형의 무선이어폰을 연구대상 제품으로 한다. 연구과정은 1)“무선이어폰의 시장 현황 조사”, 2)“사용자 조사 및 PUX 요소 도출”, 3)“PUX 요소와 지속적 사용 의도의 연관성 분석”, 4)“분석 결과 도출 및 경험 디자인 방향성 제시” 4단계로 이루어졌다. 이 런 연구 과정을 통해 무선이어폰의 유형에 따라 제품 지속사용성에 영향을 주는 핵심 PUX 요소군집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증연구 1의 추진 연구로 실증연구 2에서 사용자의 지속적 사용 의도에 직접적 영향을 줄 수 있는 6개 PUX 요소(조형성, 제어성, 쾌적성, 편의성, 기능성, 효율성)를 핵심 PUX 요소로 도출하였다.
제 Ⅳ장은 연구의 차별성을 부각하기 위해 실증연구 1과 2 도출한 핵심 PUX 요소와 관련 세부 항목에 기초하여 Focus Group Discussion을 통해 9개 PUX 요소 그룹과 27개의 구체적인 핵심 PUX 요소를 귀결하였다. 2차로 도출된 27개의 구체적인 핵심 PUX 요소는 “① 디자인 완성도 및 정교성과 ② 시각적 매력성, ③ 디자인 단순성, ④ 자아표현 충족성, ⑤ 촉각적 체험의 쾌적성, ⑥ 청각적 체험의 쾌적성, ⑦ 안정성 체험의 쾌적성, ⑧ 조작 인터페이스의 이해 용이성, ⑨ 조작 절차 및 구조의 타당성, ⑩ 사인 표시 및 피드백 정보의 즉시인지성, ⑪ 조작 방식의 타당성, ⑫ 제품 인체공학적 요소의 타당성, ⑬ 제품 수납의 용이성, ⑭ 제품 휴대 편의성, ⑮ 제품 충전 방식의 편의성, ⑯ 제품 기능 유형의 충분성, ⑰ 기능 조절의 합목적성, ⑱ 사용 환경의 적합성, ⑲ 기능 실현의 기술성, ⑳ 제품 형태 구조상의 사용 효율성, ㉑ 제품 인터랙션상의 사용 효율성, ㉒ 제품 재질과 구조상의 사용 안전성, ㉓ 제품 작동상의 사용 안전성, ㉔ 브랜드 평판의 우수성, ㉕ 제품 제조사의 전문성, ㉖ 구매 경제성, ㉗ 사용 경제성”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PUX 요소 그룹의 개념적 범위와 장기적 사용자 경험 흐름도 중의 분포 특징을 설명하였다. 핵심 PUX 요소의 정의와 설명을 바탕으로 제 Ⅳ장 2.3절은 제품의 지속사용성을 향상하기 위한 핵심 PUX 요소와 관련된 디자인⦁개발 방향 40개를 제시하였다. 제 Ⅳ장 2.4절에는 전문가 평가 조사 결과를 보면 핵심 PUX 요소와 관련된 디자인⦁개발 방향이 제품 지속사용성 향상에 중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연구 대상 제품에 따라 핵심 PUX 요소와 관련된 디자인⦁개발 방향의 중용도 우선순위도 정리하였다. 최종 연구 결과의 가치 확장과 효율적인 제품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를 위해 핵심 PUX 요소와 관련 디자인⦁개발 방향을 제품 기획 단계에 적용하는 것을 제언하여 제품 기획 단계의 리서치 항목과 구체적인 조사내용 체크리스트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제품의 사용자 경험과 지속사용성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연관성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도출한 핵심 PUX 요소와 그에 관련된 디자인⦁개발 방향은 기업 제품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연구 마지막 부분에 제시한 구체적인 조사내용 체크리스트도 향후 다른 제품의 지속사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품 기획 단계과 디자인 프로세스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摘要

在体验经济时代,产品的核心价值从单纯的功能和造型转移到产品用户体验(PUX)。产品的体验满意度会提高持续使用性,对企业产品的市场竞争力的提高产生影响。但是现有的研究对PUX和产品的持续使用性之间的关联性的分析和研究仍然不足。
对此,本研究旨在导出提高产品使用体验的核心PUX要素,提出具体的PUX要素提高方向。为了实现这个目的,本研究在第Ⅲ章进行了实证研究1和实证研究2。
实证研究1要把握日常生活便利产品电动牙刷的PUX和持续使用意图的关联性。为此,设定了PUX要素、体验满意度变化和持续使用意图之间的相关途径,并进行了调查、分析和验证。研究过程由1)"产品特征及市场现状调查",2)"用户调查和PUX要素得出",3)"利用问卷调查及路径分析方法的PUX要素-持续使用意图的关联性分析",4)"分析结果得出"四个阶段构成。以此研究过程为基础得知产品持续使用性中包含的"现有产品的持续使用性"、"同一型号的持续使用性"和"同类产品的持续使用性"分别对PUX要素集团"满意度、效率性和使用便利性"、"满意度、品牌信赖性、购买经济性和使用经济性"和"效率性、操作简便性、安全性、品牌信赖性"有直接影响;通过体验满意度的变化,PUX要素对"满意度、功能性、保管性,卫生保持性,购买经济性,使用经济性"有间接影响。对此,实证研究1将直接影响持续使用意图的7个PUX要素(满意度、效率性、使用便利性、品牌信赖性、经济性、操作简便性、安全性)导出了核心PUX要素。实证研究2是为了洞察PUX要素和持续使用意图之间的关联性在不同类型的产品中体现的差别性,将3种类型的无线耳机作为研究对象产品。研究过程分为1)"无线耳机市场现状调查",2)"用户调查及PUX要素导出",3)"PUX要素和持续使用意图的关联性分析",4)"分析结果导出及体验设计方向性提示"四个阶段。通过该研究过程,可以看出根据无线耳机类型,影响产品持续使用性的核心PUX要素群集各不相同。另外,作为实证研究1的推进研究,在实证研究2中,将直接影响用户持续使用意图的6个PUX要素(造型性、控制性、舒适性、便利性、功能性、效率性)导出了核心PUX要素。
第4章为了突出研究的差异性,以实证研究1和2导出的核心PUX要素和相关细节项目为基础,通过Focus Group Discussion归纳了9个PUX要素组和27个具体的核心PUX要素。第二次导出的27个具体核心PUX要素包括"①设计完成度及精巧性、②视觉魅力、③设计简单性、④自我表现满足性、⑤触觉体验舒适性、⑥听觉体验舒适性、⑦稳定性体验舒适性、⑧操作接口的理解容易性、⑨操作程序及结构的妥当性、⑩符号表示及反馈信息的迅速认知性、⑪操作方式的妥当性、⑫产品人体工学要素的妥当性、⑬产品收纳的容易性、⑭产品携带的便利性、⑮产品充电方式的便利性、⑯产品功能类型的充分性、⑰功能调节的功能调节的合目的性、⑱使用环境的适合性、⑲功能实现的技术性、⑳产品形态结构上的使用效率、㉑产品互动上的使用效率 、 ㉒产品材质和结构上的使用安全性 、 ㉓ 、产品操作上的使用安全性 ㉔ 、品牌声誉的优秀性 ㉕ 、产品制造公司的专业性 ㉖购买经济性 、 ㉗ 使用经济性”。接下来说明了PUX要素集团的概念范围和长期用户体验流程图中的分布特征。以核心PUX要素的定义和说明为基础,第四章2.3节为提高产品的持续使用性,提出了40个与核心PUX要素相关的设计开发方向。第四章2.4节中,从专家评价调查结果来看,可以判断出与核心PUX要素相关的设计开发方向对提高产品的持续使用性非常重要。另外,根据研究对象产品,整理了与核心PUX要素相关的设计━开发方向的中庸度优先顺序。为了最终研究结果的价值扩大和有效的产品设计开发流程,提议将核心PUX要素和相关设计开发方向应用到产品企划阶段,提出了产品企划阶段的研究项目和具体调查内容核对清单。
本研究提出了适用于产品用户体验和持续使用性研究的关联性研究方法。研究结果得出的核心PUX要素和与此相关的设计开发方向可以作为企业产品开发时的基础资料使用。研究最后部分提出的具体调查内容确认清单,今后有望适用于确保其他产品的持续使用性的产品企划阶段和设计程序。

Abstract

In the era of experience economy, the core value of a product has shifted from simple functions and formations to product user experience (PUX). Experience satisfaction of products increases sustainability and affects the improvement of market competitiveness of enterprise products. However, existing studies are still limited in analysis and discuss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PUX and persistent usage of produc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key PUX factors that improve the PUX and suggest specific suggestions for improving each PUX factors. To achieve this purpose, Chapter III of this study has conducted empirical study 1 and empirical study 2.
Empirical Study 1 aim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X of electric toothbrushes, which are convenient products for daily life, and the continuous usage intention. To this end, a related path was established between PUX factors, experience satisfaction changing,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and investigation, analysis, and verification were conducted. The process of study mainly consists of four stages: 1) "Product features and market status research", 2) "User survey and PUX factors derivation", 3)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PUX factors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by questionnaire survey and path analysis", 4) "Derivation of Analysis Results". Based on this research process, "sustainability of current products", "sustainability of the same model product", and "sustainability of the same type product" are directly affected by PUX factors groups "sensory satisfaction, efficiency of use and ease of use", "sensory satisfaction, brand reliability, purchase economy and use economy" and "efficiency of use, ease of operation, safety of use and brand reliability". Therefore, empirical study 1 has derived 7 PUX factors (sensory satisfaction, efficiency of use, ease of use, brand reliability, economy, efficiency of use, ease of operation, and safety of use) as the core PUX factors that can directly affect the continuous usage intention.
Empirical Study 2 chose three types of wireless earphones as the subject products to observe the differentiation of correlation between PUX factors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in different types of product.
The process of study consisted of four steps: 1) "Product features and market status research", 2 "User Survey and Derivation of PUX factors", 3)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PUX factors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by questionnaire survey and path analysis", 4) "Derivation of Analysis Results".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it was found that the core PUX factors clusters that influence product sustainability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wireless earphone. In addition, as a promotion study of empirical study 1, 6 PUX factors(Formation, Ease of manipulation, Comfort of use, Convenience of use, Functionality and Efficiency) that directly affect the user's continuous usage intention were derived as the core PUX factors in empirical study 2 .
In order to highlight the differentiation from current studies, Chapter IV resulted in 9 PUX factors groups and 27 specific core PUX factors through focus group discussion based on the core PUX factors derived from empirical studies 1 and 2 and related detailed items. The 27 specific PUX factors derived secondarily include "① Design completeness and refinement, ② Visual attractiveness, ③ Design simplicity, ④ Self-expression satisfaction, ⑤ Comfort of tactile experience, ⑥ Comfort of auditory experience, ⑦ Comfort of stability experience, ⑧ Ease of understanding of interactive user interface and feedback information, ⑨ Validity of operation procedures and structures, ⑩ Immediate glanceability of sign and feedback information, ⑪ Validity of the manipulation method, ⑫ Validity of product ergonomic factors, ⑬ Ease of storing products, ⑭ Ease of carrying, ⑮ Convenience of product charging method, ⑯ Sufficiency of product functional types, ⑰ Purpose fitness of function control, ⑱ Suitability of use environment, ⑲ Technology of function realization, ⑳ Efficiency of use in product type structure, ㉑ Efficiency of use in product interaction, ㉒ Product material and structural safety, ㉓ Safety in operating the product, ㉔ Brand reputation, ㉕ Professionalism of product manufacturer's, ㉖ Purchase economy, ㉗ Use economy". Next, the conceptual scope of the PUX element group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during the long-term user experience flow chart were explained. Based on the definition and explanation of the core PUX factors, Chapter IV, Section 2.3 presented suggestions for product design and development related to the core PUX factors that improve the sustainability of the product. In Chapter IV, Section 2.4, the results of expert evaluation survey showed that the suggestions for design and development related to core PUX factors were important in improving product sustainability. In addition, the priority of the suggestions for product design and development related to the core PUX factors were also summarized according to the studied product. Consequently, for value expansion of the research results and efficiency of product design and development process, research items and specific research contents checklists were presented and suggested applying to the product planning stage.
This study proposed a correlation research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the study of product user experience and sustainability. The core PUX factors derived from the research results and related suggestions for product design and development can be used as basic data when developing corporate products. The specific survey content checklist presented at the end of the study is also expected to be applied to product planning stages and design processes to ensure sustainability of other products developed in the future.

키워드

  • #제품 사용자 경험
  • # 지속적 사용 의도
  • # 핵심 PUX 요소
  • # 디자인⦁개발 방향
  • # 제품 기획

  • #产品用户体验,持续使用意向,核心PUX要素,设计·开发方向,产品企划

  • #Advertising Image
  • # Advertising Photography
  • # Contextual Factors
  • # Cognitive Processing
  • # Evoking Emotion
  • # Schema

참고문헌

[Book]

1. 漢斯格奧爾格伽達默爾, 『真理與方法--哲學詮釋學的基本特徵(上卷)(진리와 방법-철학 해석학의 기본 특징(상권))』, 上海譯文出版社, 1999
2. Whalen, J, Design for How People Think: Using Brain Science to Build Better Products, O'Reilly Media, 2019
3. Csikszentmihalyi, M,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Reprint ed.), NY: Harper Perennial, 1991
4. Norman, D. A, Emotional Design: Why We Love (or Hate) Everyday Things, Basic Civitas Books, 2004
5. Pine, B. J., & Gilmore, J. H, The Experience Economy, Harvard Business Press, 2011
6. Dewey, J, Art as Experience, Penguin, 2005
7. Hassenzahl, M, The Thing and I: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 and Product, In Funology 2: From Usability to Enjoyment, Springer, 2018
8. 나가오카 겐메이(D&DEPARTMENT PROJECT), 『Long Life Design 1 (롱 라이프 디자인)』,에피그람, 2020
9. Cooper, A., Reimann, R., Cronin, D., & Noessel, C, About Face: The Essentials of Interaction Design, John Wiley & Sons. 2014

[Dissertation]

Davis, F. D,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Empirically Testing New End-user Information Systems: Theory and Results, Doctor of Management,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1985
2. 허다인,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이 무선 청소기 디자인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Academic Journal]

1. Baek, T. H., & Yoo, C. Y, Branded App Usability: Conceptualization,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Consumer Loyalty, Journal of Advertising, 2018, Vol.47(2)
2. Li, H., & Liu, Y, Understanding Post-adoption Behaviors of E-service Users in The Context of Online Travel Services, Information & Management, 2014, Vol.51(8)
3. 김찬숙, "브랜드 경험(BX)에 대한 개념적 고찰: 브랜드 경험의 개념 정의 및 차원(Dimensions)을 중심으로.”, 『브랜드디자인학연구』, 2014, Vol.16(3)
4. Law, E. L. C., Roto, V., Hassenzahl, M., Vermeeren, A. P., & Kort, J, Understanding, Scoping and Defining User Experience: a Survey Approach, In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April 2009
5. Mahlke, S, Understanding Users' Experience of Interaction. In Proceedings of The 2005 Annual Conference on European Association of Cognitive Ergonomics, September 2005
6. Elizabeth, B. N. S., & Dandavate, U, Design for Experiencing: New Tools, In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esign and Emotion, TU Delft, 1990
7. Boztepe, S, User Value: Competing Theories and Models, International Journal of Design, 2007, Vol.1(2)
8. Jensen, J. L, Designing for Profound Experiences, Design Issues, 2014, Vol.30(3)
9. Schmitt, B, Experiential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1999, Vol.15(1-3)
10. 張凱, “用戶認知視角下的產品體驗設計創新路徑探析(사용자 인지 시점에서의 제품 경험 디자인 혁신 경로 탐색)”, 『包裝工程』, 2019, Vol.40(22)
11. Alben, L, Quality of Experience: Defining the Criteria for Effective Interaction Design, Interactions, 1996, Vol.3(3)
12. Georgiev, G. V., Nagai, Y., & Taura, T, Modelling Tactual Experience with Product Materials,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Aided Engineering and Technology, 2016, Vol.8(1-2)
13. 맹승우, 이은종, “제품디자인에서의 사용자 경험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HCI학회』, 2008, Vol.2
14. Balasubramoniam, V., & Tungatkar, N, Study of User Experience (UX) and UX Evaluation Methods,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Research in Computer Engineering & Technology (IJARCET), 2013, Vol.2(3)
15. Forlizzi, J., & Battarbee, K, Understanding Experience in Interactive Systems, In Proceedings of the 5th Conference on Designing Interactive Systems: Processes, Practices, Methods, and Techniques, August 2004
16. Karapanos, E, Zimmerman, J, Forlizzi J, et al, User Experience Over Time: an Initial Framework, Bosto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2009
17. Desmet, P. M., & Hekkert, P, Framework of Product Exper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Design, 2007, Vol.1(1)
18. 박정순, 『제품의 사용자 경험과 디자인』, 경기도: 한국학술정보, 2012
19. 권순걸, "존 듀이의 "흥미이론"을 통한 제품의 사용자경험에 관한 고찰”, 『기초조형학연구』, 2011, Vol.12(2)
20. 오인균, 차성욱, "가정용 전기밥솥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사용자 경험(UX) 디자인 요소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2015, Vol.15(3)
21. 강래성, 이소연, 한임경, 김차중, "사용자경험요소에 관한 새로운 분류 및 제품경험 사례연구”,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6, Vol.2016(10)
22. 남미경, "사용자 경험과 감성기술 기반에 의한 즐거움 지향 가전제품디자인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18, Vol.24(3)
23. 유하늬, 최민영, "사용자 경험분석을 통한 진공블렌더 디자인 평가요소와 평가항목에 관한 연구”, 『산업디자인학연구』, 2018, Vol.12(2)
24. Kujala, S., Roto, V., Väänänen-Vainio-Mattila, K., Karapanos, E., & Sinnelä, A, UX Curve: A Method for Evaluating Long-Term User Experience, Interacting with Computers, 2011, Vol.23(5)
25. Feng, L., & Wei, W, An Empirical Study on User Experience Evaluation and Identification of Critical UX Issues. Sustainability, 2019, 11(8)
26. Bondarenko, O., & Janssen, R, Affinity Diagram Method: Bringing Users' Context into the System Design, Describing Users in Context Perspectives on Human-Work Interaction Design, 2005
27. Lucero, A, Using Affinity Diagrams to Evaluate Interactive Prototypes, In IFIP Conference on Human-Computer Interaction, Springer, September, 2015
28. Plain, C, Build An Affinity for KJ Method, Quality Progress, 2007, Vol.40(3)
29. Bhattacherjee, A, Understanding Information Systems Continuance: An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MIS quarterly, 2001, Vol.25(3)
30. 김지영, 이현정, 배재현, "기술제품의 기능적·감성적 요인들이 지속적 사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논총』, 2011, Vol.25
31. Sun, Y., & Jeyaraj, A, Information Technology Adoption and Continuance: A Longitudinal Study of Individuals’ Behavioral Intentions, Information & Management, 2013, Vol.50(7)
32. Reichheld, F. F., & Schefter, P, E-loyalty: Your Secret Weapon on The Web, Harvard Business Review, 2000, Vol.78(4)
33. 이정학, 조한나, 임승재, "스포츠 브랜드 뉴트로 제품의 디자인속성이 브랜드 자산 및 지속적 사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021, Vol.30(1)
34. 조동희, 이연준, "인공지능 스피커의 사용자 만족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 감정적 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포럼』, 2019, Vol.24(2)
35. Jang, J., & Mun, Y. Y, Determining and Validating Smart TV UX Factors: A Multiple-study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Vol.130
36. Dehghani, M., Kim, K. J., & Dangelico, R. M, Will Smartwatches Last? Factors Contributing to Intention to Keep using Smart Wearable Technology, Telematics and Informatics, 2018, Vol.35(2)
37. Hong, J. C., Lin, P. H., & Hsieh, P. C, The Effect of Consumer Innovativeness on Perceived Value and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Smartwatch,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017, Vol.67
38. Lin, T. C., Wu, S., Hsu, J. S. C., & Chou, Y. C, The Integration of Value-based Adoption and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s: An Example of IPTV Continuance Intention, Decision Support Systems, 2012, Vol.54(1)
39. 장지파, 고정욱, “제품 사용 경험 요소와 지속적 사용 의도의 관련성 연구: 전동칫솔을 연구대상으로”, 『기초조형학연구』, 2021, Vol.22(4)
40. Van Nes, N., Cramer, J., & Stevels, A, A Practical Approach to The Ecological Lifetime Optimization of Electronic Products, In Proceedings First International Symposium on Environmentally Conscious Design and Inverse Manufacturing, IEEE, August 2002
41. Haug, A, Psychologically Durable Design–Definitions and Approaches, The Design Journal, 2019, Vol.22(2)
42. Thong, J. Y., Hong, S. J., & Tam, K. Y, The Effects of Post-adoption Beliefs on the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for Information Technology Continu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2006, Vol.64(9)
43. 김지영, 이현정, 배재현, "기술제품의 기능적·감성적 요인들이 지속적 사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논총』, 2011, Vol.25
44. Lin, T. C., Wu, S., Hsu, J. S. C., & Chou, Y. C, The Integration of Value-based Adoption and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s: An example of IPTV Continuance Intention, Decision Support Systems, Vol.54(1)
45. 녕셜, 김기수, "스마트폰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용자 경험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유라시아연구』, 2012, Vol.9(4)
46. Cheng, S. I., Chen, S. C., & Yen, D. C, Continuance Intention of E-portfolio System: A Confirmatory and Multigroup Invariance Analysis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 Computer Standards & Interfaces, 2015, Vol.42
47. Hong, J. C., Lin, P. H., & Hsieh, P. C, The Effect of Consumer Innovativeness on Perceived Value and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Smartwatch,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017, Vol.67
48. Nascimento, B., Oliveira, T., & Tam, C, Wearable Technology: What Explains Continuance Intention in Smartwatches?,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2018, Vol.43
49. 조동희, 이연준, "인공지능 스피커의 사용자 만족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 감정적 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포럼』, 2019, Vol.24(2)
50. 김경탁, 송지성, "인공지능 기반 모바일 U.I.의 지속적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가치 기반 수용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20, Vol.26(2)
51. 이유리, 김영일, "소비자 선호 감성 제품 디자인의 제품 유형별 비교”, 『산업디자인학연구』, 2015, Vol.9(4)
52. V. V. Abeele, B. Zaman, Laddering the User Experience, In User Experience Evaluation Methods in Product Development (UXEM’09)-Workshop, 2005
53. Rindova, V. P., & Petkova, A. P, When Is A New Thing A Good Thing? Technological Change, Product Form Design, and Perceptions of Value for Product Innovations, Organization Science, 2007, Vol.18(2)
54. Flood Heaton, R., & McDonagh, D, Can Timelessness through Prototypicality Support Sustainability? A Strategy for Product Designers, The Design Journal, 2017, Vol.20(1)
55. Kabadayi, E. T., & Alan, A. K, Brand Trust and Brand Affect: Their Strategic Importance on Brand Loyalty, Journal of Global Strategic Management, 2012, Vol.11(6)
56. 김영석, "제품디자인 평가요소와 브랜드 이미지 제고와의 관련성 분석”, 『브랜드디자인학연구』, 2012, Vol.10(3)
57. 김도운, 김서정, 김예나, 배장환, 정현정, "가성비 마케팅”, 『마케팅』, 2017, Vol.51(1)
58. 박찬정,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가격결정모형”, 『회계와 정책연구』,2004, Vol.9(1)
59. 송유미, 유현정, "디자인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 변천 과정 연구 (①산업 혁명, ②디지털 제품 등장, ③복잡한 환경 요소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2015, Vol.16(2)
60. 노승완, "UX 리서치 방법의 폼팩터 위주의 제품디자인 프로세스에의 응용에 대한 연구”, 『디자인융복합연구』, 2017, Vol.16(2)
61. Ahn Chul Jung, "사용자 경험이 제품디자인 프로세스에 미치는 영향”,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4, Vol.2014(11)
62. 장혜진, 유승헌, "국내 중소 제조기업 실무 적용을 위한 UX 디자인 프로세스 및 방법론 최적화 연구”, 『디자인융복합연구』, 2016, Vol.15(6)
63. 박현수, 임지빈, 조예인, 강연아, "가구산업의 사용자 중심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 연구 - 중소 가구기업 중심으로 -”, 『디자인융복합연구』, 2016, Vol.15(6)
64. 나한범, 김원섭, "제너레이티브 디자인의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 활용 연구”, 『디자인학연구』, 2021, Vol.34(1)
65. 김선희, 정석길, "사용자 경험 기반 홈케어 뷰티 디바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진동클렌저 제품·서비스 디자인을 중심으로”, 『산업디자인학연구』, 2016, Vol.10(3)
66. 한동규, 김홍배, "신제품 디자인 기획을 위한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활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2012, Vol.12(4)
67. 박정현, 임지영, “골퍼의 추구이미지 집단에 따른 자아이미지와 배색선호도 분석”,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15, Vol.21(4)

[Report]

1. Rock, D, Managing with The Brain in Mind, Strategy+ Business, Autumn 2009, Vol.56
2. (주)마크로밀엠브레인(구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 “이어폰(헤드폰) 이용 및 인식 관련 조사”, 『리서치보고서』, 2018, Vol.2018(5)

[Website]

1. Businesswire, “Global Consumer Electronics and Appliances Markets, Competition Forecast & Opportunities, 2026”, www.businesswire.com/news/home/20210907005639/en/Global-Consumer-Electronics-and-Appliances-Markets-Competition-Forecast-Opportunities-2026---ResearchAndMarkets.com
2. GuildHE Research Repositories, “Made to last: Product life extension through emotional durability”, lau.repository.guildhe.ac.uk/id/eprint/17626/
3. Gray Holland, “Experience Cycling”, www.grayholland.com/experience-chain/#respond
4. Semantic Studios, “User Experience Design”, semanticstudios.com/user_experience_design/
5. Nielsen Norman Group, “Diary Studies: Understanding Long-Term User Behavior and Experiences”, www.nngroup.com/articles/diary-studies/
6. The Magazine of the User Experience Professionals Association, “Dear Diary: Using Diaries to Study User Experience”, uxpamagazine.org/dear-diary-using-diaries-to-study-user-experience/
7. Visual Paradigm, “Affinity Diagram Tool”, online.visual-paradigm.com/cn/diagrams/features/affinity-diagram-tool/
8. Good Design Award, “Good Design Long Life Design Award”, www.g-mark.org/activity/2021/longlife.html
9. Intechopen, “Understanding the Stages of the Product Life Cycle”, www.intechopen.com/chapters/77641
10. Maximize market research, “Global Electrical Toothbrush Market 2020”, www.maximizemarketresearch.com/market-report/global-electrical-toothbrush-market/70375/
11. Nielsen Norman Group, “Why You Only Need to Test with 5 Users”, www.nngroup.com/articles/why-you-only-need-to-test-with-5-users/
12. Market Research. com, “Global Wireless Headphones Market”, www.marketresearch.com/Global-Industry-Analysts-v1039/Wireless-Headphones-14793433/
13. Arizton, “True Wireless Headphones Market - Global Outlook and Forecast 2021-2026”, www.arizton.com/market-reports/true-wireless-headphones-market-report-2025
14. 360 Market Updates, “Global Bone Conduction Headphones Market Research Report 2020”, www.360marketupdates.com/global-bone-conduction-headphones-market-14828426
15. Designcouncil, “From humble beginnings to a cornerstone of design language”, www.designcouncil.org.uk/news-opinion/double-diamond-universally-accepted-depiction-design-process
16. Stanford, “An Introduction to Design Thinking - Process Guide”, web.stanford.edu/~mshanks/MichaelShanks/files/509554.pdf
17. Strategic Business Insights, “VALS”, www.strategicbusinessinsight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