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M.2022.08_16

인물의 움직임을 통한 창의적 장면 전환 기법 연구 - 본인 작품 <서류>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reative Scene Transition Techniques through the Movement of the Person - Focus on my works -

  • Name : 허저우/He, Zhou
  • Info : 석사학위논문/Master's thesis/ 2022.08
  • Adviser : 김동현/Kim Dong-Hyun
192.168.95.160

초록

한 편의 영화는 한 장면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한 장면은 한 쇼트만을 말하는 것도 아니다. 장면 전환은 영화 속 장면을 논리적이고 이치에 맞게 연결하는 요소이며 풍부한 쇼트의 언어표현 방식은 영화 제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디지털 미디어 기술의 발달에 따라 장면 전환의 표현 방식도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본 논문은 주로 인물의 움직임을 통한 창의적 장면 전환 기술에 관한 연구이다. 쇼트 언어에서의 장면 전환의 정의와 영상에서의 창의적 장면 전환의 의의를 이해하고, 영화 속 창의적 장면 전환 연구를 통해 영화에서의 구현 방식을 분석한다. 그리고 장면 전환에 관한 이해에 따라 장면 전환의 새로운 표현 방식을 창조하고 인물 동작의 연결성 및 동작의 유사성을 신(scene)의 시공간 장면 전환의 수단으로 이용한다. 카메라의 움직임을 이용해 장소의 장면 전환이나 시공간의 변화를 완성하고 장면 전환의 사고방식과 그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첫 번째 단계는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통해 장면 전환의 개념, 특징, 유형을 파악한다.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장면 표현 형식을 분석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창의적 장면 전환의 표현 형식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인물 동작의 장면 전환의 새로운 형식을 창조한다.
두 번째 단계는 영화 속 사례를 대상으로 사례의 장면 전환의 기법을 분석한다. 기술적 장면 전환, 비기술적 장면 전환, 인물 동작을 통한 장면 전환의 세 가지 측면에서 각각 다른 장면 전환 표현 형식을 탐구한다.
세 번째 단계는 인물의 동작을 더욱 심층적으로 표현하는 창의적 장면 전환 기술형식의 단편 영상 촬영을 통한 장면 전환의 실천이다. 따라서 단편 영화 '서류' 의 장면 전환 분석을 통해 먼저, 단편 영화 '서류' 에 등장하는 장면 전환과 인물 동작의 장면 전환 기술 요소를 분석한다. 다음으로 어떻게 영화 '서류' 속 인물 동작의 창의적 장면 전환을 표현하는지 설명한다. 단편 영화 <서류> 을 통해 인물 동작의 창의적 장면 전환을 더 잘 표현한다.
네 번째 단계는 단편 영화 '서류' 의 장면 전환 분석 이해를 통해 서로 다른 장면 전환 형식 이론을 한 걸음 더 깊이 이해한다. 창의적 장면 전환에 대한 새로운 형식을 총정리하고 장면 전환 형식의 변화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수립해 장면 전환과 관련된 이론을 한 걸음 더 풍부하게 만들고 실천할 수 있게 한다.
마지막 단계는 이전의 네 단계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도출한다. 인물 동작의 창의적 장면 전환 기술 연구를 통해 인물 동작의 창의적 장면 전환을 위한 두 가지 새로운 기술을 도출한다.
첫째, 인물 동작의 주관적 쇼트 장면 전환이다. ‘주관적 쇼트’란 영상 속 인물의 시각 방향에 의해 촬영하는 쇼트를 말한다. 앞 쇼트는 인물이 보고 뒤 쇼트는 그(그녀)가 보는 목적물 또는 장면을 소개한다. 주관적 쇼트는 장면이 자연스러워 시청자의 탐구 심리를 불러일으킴과 동시에 시청자들은 첫 번째 시각에 대입해 강렬한 몰입감이 생겨 시청자들의 공감을 이끌어 낸다.
둘째, 인물 동작의 일치성 장면 전환이다. 전후 쇼트 속 인물 동작의 일치성을 이용해 장면 전환의 쇼트가 자연스럽고 매끈하게 보이게 한다. 또한 전후 쇼트의 인물 동작의 일관성을 통해 내적 연관성을 강조함과 동시에 전후 쇼트를 이용한 장면과 색채 상의 큰 차이 보여줘 시청자들에게 강렬한 화면감을 선사한다.
하지만 이 두 가지 인물 동작의 창의적 장면 전환 기술은 장면 전환에 믿을만한 과도기적 요소가 있어야지만 직접적인 장면 전환이 가능하다. 따라서 초반에 시나리오를 완성하고 촬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이 두 가지 장면 전환 기법을 많이 넣어 디자인할 수 있다. 만약 초반 촬영에서 설비의 한계성으로 인해 모든 쇼트에 알맞은 비율을 보장할 수 없다면, 후반 편집에서 프리미어(premiere) 소프트웨어의 도움을 받아 영상의 크기 비율을 축소해 인물 동작의 창의적 장면 전환을 위한 촬영과 편집 업무를 수행한다.

摘要

Abstract

A movie is composed of multiple scenes, and a scene is composed of multiple shots. As an element that connects countless scenes in a film in a logical and rational way, scene changes has rich lens language expressions and plays a vital role in film production.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technology, the expression forms of scene changes become more and more diversified, and many creative scene changes forms are derived from it.
This paper mainly studies the creative scene changes techniques through character actions. Firstly, the author expounds the definition of transition in lens speech and the significance of creative scene changes in image. Then, by studying the changes of creative scenes in movies, this paper analyzes its realization in movies. Furthermor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transition theory, the expression form of scene changes is innovated, and the cohesiveness and similarity of characters' actions are regarded as effective means of scene space-time changes, and the motion of cameras is further used to complete the location changes or time-space change. Finally, the author also explains in detail the ideas of transition and the principles contained in it.
In the first stage, the author has carried out relevant research and literature investigation in advance, and understood the concept,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scene changes, and provided a certain theoretical basis for analyzing the manifestation of transition with specific examples in this paper.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expression form of creative scene changes, the new way of scene changes of character action is innovated.
In the second stage, the author takes the examples in the film as the object of research and analysis, and engages in the scene changes skills in the examples, discussing different scene changes forms from three aspects: skill transition, unskilled transition and character action transition, and analyzing and studying the concrete forms of creative scene changes in film and television works.
In the third stage, it deeply analyzes the technical form of creative scene changes to express characters' actions, and the transition practice of shooting short films. The author specifically analyzes the scene changes in the short film "File". First of all, it analyzes the technical elements of scene changes and character action scene changes in the short film "File". Secondly, it explains how the creative scene changes of character action in the film "File" is expressed, aiming at better expressing the creative scene changes of character action through the short film "File".
In the fourth stage, based on the in-depth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the scene changes of the short film "File" in the previous stage, the author deepened the theoretical knowledge of different scene changes forms, and summarized several new forms of creative scene changes. In addition, based on the change of the form of scene changes, the author gives a new definition of scene changes, and further enriches and practices the related theories of scene changes.
In the last stage, the author draws som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the above four stages. Through the research on the creative scene changes techniques of character action, two new skills of creative scene changes of character action are obtained:
First, the subjective lens scene changes of characters' actions. "Subjective lens" refers to the lens taken by the visual direction of characters in the image. The former shot shows the character watching, while the latter shot introduces the object or scene he or she is looking at. Subjective lens scenes are presented in a very natural form, which can stimulate the audience's interest in inquiry. In the meantime, the audience can substitute into the first perspective, generate a strong sense of substitution and arouse strong resonance.
The second is the consistency of characters' actions and scene changes, which refers to the use of the consistency of characters' actions in front and back shots to make the lens appear natural and smooth in scene changes. On the one hand, it emphasizes the internal relationship between the front and back lenses by using the continuity of characters' actions in the front and back lenses. On the other hand, it brings a strong sense of picture to the audience by using the huge contrast between the front and back lenses in scenes and tones.
However, in order to realize the creative scene changes techniques of these two kinds of character actions, there must be reliable transition factors at the scene changes of character actions, so as to facilitate the direct transition. Therefore, we can use these two scene changes skills in the process of completing the script and shooting in the early stage. Sometimes, due to the limited shooting equipment in the early shooting, we can't guarantee that every shot can guarantee the right proportion. At this time, we can also scale the size of the video with the help of Premiere software in the post-editing, so as to complete the shooting and editing tasks of creative scene changes of characters' actions.

키워드

  • #인물동작
  • # 장면전환
  • # 창의적 장면 전환 기법
  • # 시각 연속성


  • #Actions of characters
  • # scene changes
  • # creative scene changes techniques
  • # visual continuity

참고문헌

[Book]

1. 덩빈, 『서강월』영상 장면 전환의 비기교적 연결, 2013
2. Karel Reisz & Gavin Millar.『the United Statesof America』The Technique of Film Editing, 2010

[Dissertation]

1. Zhejiang Media University,「Research and Realization of Video Transition Special Effects」School of Electronic Information, Master's thesis, 2018.
2. Shandong University,「Research and Realization of Video Transcendence Technology in Post-Video Period」Master's thesis, 2018.

[Academic Journal]

1. 소추실, “전장 기술의 영상 후기 제작에서의 운용 연구”,『Computer knowledge and technology』, 2017, Vol. 10(4)
2. Gong Xinlong, "Contemporary Cinema",『Interpreting the Scenes and Transitions of Cinema』. 2005,Vol.(5)
3. 조비,“영상화면 리듬과 영상후기 제작에 대한 활용을 말하다”『해외 다이제스트 학술』 2019,Vol.2(12)
4. 왕우. “몽타주와 비선형 편집 기법의 결합”. 『경제연구도간』. 2010Vol.(35)
5. 범방진."대중문예"『후기제작 영상예술에 응용연구』. 2013Vol.(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