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D.2022.08_13

중국 양로원 실내공간의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niversal Design Guideline for Home for the Aged Interior Spaces in China

  • Name : 장항/Zhang, Hang
  • Info : 박사학위논문/Doctor's thesis/ 2022.08
  • Adviser : 양성용/Yang, Song-Yong
192.168.95.160

초록

노인 인구의 급증과 함께, 노인 관련 사회 복지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떠올랐다. 특히, 양로 방식 및 양로원 공간의 UD문제가 해당 이슈의 중점으로 손꼽혔다. 중국은 지난 1980년대부터 개혁 개방과 산아 제한 정책을 실시했다. 당시 중국은 굉장히 빠른 속도의 발전을 이루고 있었는데, 이와 함께 중국의 가족 형태는 점차 4-2-1로 축소되는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경제 성장과 가정 구조의 변화는 전통적인 효에 의한 중국의 가정 양로 방식에서 정부와 민간 복지 기관 주도의 기관 양로 방식으로 변화시키고 양로원 수의 급증으로 인해, 양로원의 공간 UD는 필히 해결해야 할 중요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에 중국 정부는 노인의 생활수준 향상 및 안전하고 쾌적한 양로원 주거 환경 조성을 노인 복지의 중요 내용으로 인지하기 시작했다.
양로원 공간의 디자인 문제 해결을 위해, 중국은 일련의 디자인 정책을 시행했다. 지난 1999년, 중국은 첫 번째 노인 복지 디자인 관련 법률인 <노인 건축 디자인 규범(老人建築設計規範)>을 발표한 뒤, 2014년에 <양로 시설 건축 디자인 규범(養老設施建築設計規範)> 등을 발표했다. 위 정책들은 양로원 공간의 UD가 규범화, 표준화의 방향으로 올바르게 발전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었다. 하지만, 중국은 고령화 사회 진입 기간이 비교적 짧은 탓에 노인 복지 관련 서비스와 디자인에 대한 경험이 부족했으며, UD관련 정책 역시 많은 허점을 노출했다. 따라서 현재 중국 양로원 공간의 UD는 여전히 부족한 부분이 많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양로원 공간의 UD의 부족함과 문제 해결을 위해, 복지가 매우 발달된 선진국 UD정책을 분석하여 중국 UD정책 및 중국 양로원 공간 환경 현황에 접목해 보았다. 이를 통해, 중국 양로원 실내 공간 환경에 적합한 UD가이드라인을 찾고, 고령화 사회 속의 중국 양로원 실내 공간 UD개발 및 개선에 기준을 마련하고자 했다.
첫 번째, 본 연구는 1945년부터 현재까지의 다양한 노인 복지 디자인 이론에 대한 정의 및 내용을 분석하고, 양로원 실내 공간 디자인에 대한 UD선택의 필요성을 정리했다. 또한 선진화된 한국, 미국, 일본, 중국 4개국의 인구 고령화 현황 및 UD관련 정책을 고찰했다. 아울러, 양로원 유형, 양로원의 실내 공간 구성, 양로원 실내 시설 세부 내용 등의 세부적인 기준을 통하여 비교 분석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양로원 실내 공간 UD와 관련된 5가지 공간 유형 및 16가지 공간 요소, 그리고 실내 공간과 관련된 177가지 세부 시설 내용을 도출했다.
두 번째, 양로원 실내 공간 요소 및 세부 시설 내용을 바탕으로, UD와 관련된 노인들의 신체 사이즈 및 휠체어 사이즈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 양로원 실내 공간 UD와 관련된 사이즈 데이터 표 및 사이즈 모형도를 제작했다. 또한, 문헌 연구법을 채택하여 노인의 심리 및 생리적 특징을 고찰하고, 노인의 심리 및 생리적 수요를 정리하였다.
세 번째, 중국 베이징에 위치한 5성급 이상의 양로원 11곳을 대상으로, 출입구 공간, 수평형 동선 공간, 수직형 동선 공간, 개인 생활공간, 공동생활 공간 등 총 5가지 공간 유형에 대한 현장 조사를 진행했다. 이후, 현장 조사를 통해 발견된 문제에 대해 UD관련 개선 방안 10가지를 제시하였다.
네 번째,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카드 분류법을 적용했다. 5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그룹을 통하여 총 3차례의 카드 분류를 진행하여, 중국 양로원 공간 디자인의 8가지 특성 요소 및 15가지 세부 평가 항목을 도출했다. 또한, 미국의 MEAP이론, 일본의 NEAP이론, 한국의 이정남의 이론을 분석하여 도출된 평가 개념을 17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2차례의 델파이 기법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CVR 수치가 4.2 이하인 항목을 삭제했으며, 이를 통해 양로원 실내 공간 환경의 8가지 특성 요소 및 17가지 세부 평가 항목을 도출하였다.
다섯 번째, 선행 연구에서 도출된 양로원 공간 구성, 양로원 실내 세부 시설, 노인 및 휠체어 사이즈 데이터, 양로원 실내 UD특성 요소, 중국 양로원 현황 개선 방안 등을 바탕으로, 중국 양로원 실내 공간 UD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개발했다. 해당 가이드라인에는 양로원 실내 공간의 출입구 공간, 수평형 동선 공간, 수직형 동선 공간, 개인 생활공간, 공동생활 공간 등 총 5가지 공간 유형 및 15가지 공간 요소와 더불어 15개 공간 요소의 177개 세부 시설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 개발된 양로원 실내 공간 UD가이드라인은 향후 중국 양로원 실내공간의 계획, 구축, 개조 등의 다양한 사회 문화 경제 도시적 건축적 분야의 UD기준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양로원 실내 공간의 안전성, 쾌적성, 편의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해당 가이드라인은 일반적인 65세 이상 노인의 거주 공간 실내 디자인으로까지 적용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을 것 이다. 그리고 향후 다양한 양로 방식을 가진 거주 공간의 UD에 대해 후속 연구 또한 지속되어야 할 것 이다.

摘要

Abstract

With the rapid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social well-being issues related to the elderly have gradually become the focus of social concentration. In particular, the issue of Universal Design (UD) of elderly care methods and living spaces for the elderly has become the focus. In the 1980s, China began implementing the "Reform and Opening Up" and "Family Planning" policies, a period of rapid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Meanwhile, China's family structure began to transform into a "4-2-1" type of small family structure. The growth of economic income and the change in family structure have led to the transformation of China's old-age care mode from the traditional family-centered on filial piety to the institutional care mode dominated by the government or private welfare institutions. With the rapid growth of nursing homes, the universal space design of nursing homes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that must be solved. The Chinese government has begun to realize that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nd creating a safe and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in nursing homes are essential parts of the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In order to deal with the issue of spatial environment design of nursing homes, China has implemented a series of design policies. In 1999, China promulgated the first law related to the welfare design of the elderly, "Code for Architectural Design for the Elderly," and in 2014, "Code for Architectural Design of Elderly Facilities" was promulgated. These policies show that the UD of nursing home space is developing in the direction of normalization and standardization. However, due to China has just entered an aging society, the lack of experience in services and design related to the welfare of the elderly, and the many loopholes in the policies related to universal design, there are still many shortcomings and defects in the UD of China's nursing home space. To improve and perfect the deficiencies and problems in the space UD of China‘s nursing homes,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research on UD policies in developed countries, combined with China's general design policy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China's nursing home space environment, to explore the general design guidelines suitable for the indoor space environment of Chinese nursing homes, and provide a standardized method for the construction and renovation of the general design of indoor space in Chinese nursing homes under the background of aging environment.
First, this research analyzes the definitions and contents of six design theories related to elderly welfare from 1945 to the present, and summarizes the necessity of choosing UD for the nursing homes interior space design. The current situation of population aging and UD-related policies in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Japan, and China are analyzed. A comparative analysis is made from the types of nursing homes, the composition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nursing homes, and the details of the interior facilities of the nursing homes. A total of 5 space types and 15 elements related to U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nursing home were counted, and 177 detailed facilities related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nursing home.
Second, based on the interior space elements and detailed facilities of the nursing home, the human body type and wheelchair size related to UD are analyzed, and the size data table and size model diagram related to the UD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nursing home are formulated. This thesis uses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to analyze the psycholog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nd summarizes th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needs of the elderly.
Third, using the card sorting method, after three group card sorting by five experts, eight characteristic elements and 15 detailed evaluation items of the space design of Chinese nursing homes are derived. Combined with the MEAP theory in the United States, the NEAP theory in Japan, and the evaluation concept of Lee Jung Nam in South Korea, Delphi Method was used for two questionnaire evaluations by 17 experts, the items with CVR values below 4.2 were deleted, and eight characteristic elements and 17 detailed evaluation items of the indoor space environment of nursing homes were derived.
Fourth, this thesis takes 11 nursing homes above five stars in Beijing as the object, and conducts on-the-spot research on five types of spaces: entrance and exit space, horizontal circulation space, vertical circulation space, personal living space, and public living space. Fourth, this thesis takes 11 nursing homes above five stars in Beijing as the object, and conducts on-the-spot research on five types of spaces: entrance and exit space, horizontal circulation space, vertical circulation space, personal living space, and public living space. In response to the problems found in the field investigation, 10 UD-related refinement plans were proposed.
Fifth, the research is based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nursing homes derived from previous research, the content of detailed indoor facilities in nursing homes, the size data of the elderly and wheelchairs, the indoor UD characteristics of nursing homes, and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current situation of nursing homes in China. On this basis, the UD design guide for indoor spaces of nursing homes in China has been developed. The guide includes five types of spaces and 15 spatial elements, including the entrance and exit space of the interior space of nursing homes, horizontal circulation space, vertical circulation space, personal living space, and public living space and 177 detailed facility contents involving 15 spatial elements.
The UD guideline for the interior space of nursing homes developed in this research can become the UD benchmarks for future indoor space design, construction, and renovation projects of nursing homes in China, and play a role in improving the safety, comfort, and convenience of the interior space of nursing homes. Moreover, the guideline can be extended to the interior design of the general elderly over 65, so it is possible to carry out follow-up research on the living space environment of various pension methods.

키워드

  • #유니버설 디자인
  • # UD가이드라인
  • # 중국 양로원
  • # 양로원 실내 공간


  • #Universal Design
  • # Guideline
  • # Chinese Nursing Home
  • # Spatial Characteristics Elements

참고문헌

[Book]

1. 이종성, 『델파이 방법』, 교육과삭학사, 2001
2. 홍철순, 양성용, 『Universal Design 바리아 프리(barrier-free)에의 질문』, 도서출판 선인, 2005
3. 김병욱, 『델파이(Delphi) 분석방법』 킴스정보전략연구소, 2015
4. 国家技术监督局 (국가 기술 감독국), 『中国成年人人体尺寸(중국의 어른 인체 치수) 』, GB/T 10000-1988, 1989
5. 黄厚石(황후석), 孫海燕(순하이옌), 『設計原理(설계원리)』, 東南大學出版社(동남대출판사), 2005
6. 趙鄖安(자오윈안), 『環境信息傳達設計: Sign Design(환경 정보 전달 디자인: Sign Design)』, 高等教育出版社(고등교육출판사), 2008
7. 中國國家標準化委員會(중국 국가 표준화 위원회), 『中華人民共和國國家標準話指導性技術文件-輪椅 第五部分:尺寸,質量和操作空間』, 2008
8. 黄群(황군), 『無障礙通用設計(배리어 프리 유니버설 디자인)』, 機械工業出版社(기계공업출판사), 2009
9. 趙曉徵(자오샤오징), 『養老設施及老年居住建築(양로시설 및 노인주거 건축)』, 北京:中國建築工業出版社(베이징: 중국건축공업출판사), 2010
10. 吳明隆(우밍룽),『問卷統計分析實務-SPSS操作與應用(설문통계분석실무-SPSS 조작과 응용)』,重慶大學出版社(충칭 대학교출판부), 2010
11. 住房與城鄉建設部(중국 주택 및 도농 건설부), 『養老設施建築設計規範(양로시설 건축 디자인 규범)』, GB50867-2013, 中國建築工業出版社(중국건축공업출판사), 2014
12. 北京市老龄工作委员会(베이징시 노령업무위원회), 『北京市老龄事业发展报告2019(베이징시 고령 사업 발전 보고 2019)』, 2020
13. 国土交通省(국토 교통성), 『ハートのあるビルをつくろう(하트가 있는 빌딩을 꾸미다)』, 建設住宅促進協議会発行(건설주택 촉진협의회 발행), 2003
14. 総務省統計庁(총무성 통계청),『日本統計年鑑(일본통계연감)』, 제70회, 1부 제2장 인구·세속, 2021
15. Dalkdy, C, N, The Delphi Method: An Experimental study of group opinion, Rand Corporation Memorandum, 1969
16. Barbara Duncan, Susan Hammerman, Barrier-free design: report of the United Nations Expert Group Meeting on Barrier-Free Design. New York: The United Nations Secretariat, International Society for Rehabilitation of the Disabled, 1974
17. Anderson, R. D, Strand of system, The Philosophy of Charles Pierce, Purdue University Press, 1977
18. Rudolf H. Moos, Sonne Lemke, The Multiphasic Environmental Assessment Procedure: A Method for Comprehensively Evalusting Sheltered Care Settings, Community Mental Health and Behavioral-Ecology, Plenum Pree, New York, 1982
19. Maria Benktzon, Designing for our future selves: the Swedish experience, Applied Ergonomics, 1993
20. Donald Watson, Michael J. Crosbie, John hancock Callender. Time-Saver Standards for Architectural Design Data. Developed by Printworks, Ltd. 1982.
21. ISO/IEC Guide. Guidelines for standards devel-opers to address the needs of older persons and persons with disabilities, 2001
22. Michael Erlhoff, Tim Marshall. Design Dictionary: Perspectives on Design Terminology. Birkhäuser Verlag AG. 2008
23. Rowe G, fand G. Wright, Expert opinions in forecasting: The role of the Delphi technique in J, Armstrong(eds.) Principles of Forecasting, Baston: Kluwer Academic, 2001
24. Miodrag Mitrasinovic, Universal Design, Wörterbuch Design. Birkhäuser Verlag AG, 2008.
25. American national Standard, Accessible and Usable Buildings and Facilities ICCA 117.1-2009, 2011
26. Bella Martin, Bruce Hanington, Universal Methods of Design, Rockport Publishers, Inc., 2012

[Dissertation]

1. 안진성, 「델파이 기법(Delphi)과 계층적 의사결정 방법(AHP)의 적용을 통한 전통정원의 보존상태 평가지표 개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2. 양혜진, 「창의역량 증진을 위한 대학 강의실 모델 개발」, 숭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7
3. 두보위(杜博宇), 「주민참여형 도시재생사엽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선전시(深圳市) 룽강구(龙岗区) 부지(布吉)를 연구대상으로 -」, 동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1
4. 강박(姜博), 「도시재생 산업유산의 공유가치 펑가기표 개발에 관한 연구」, 동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2
5. 喬會卿(교회경), 「老人住宅戶型設計研究(노인 주택 디자인 연구)」, 清華大學(칭화대학교), 건축학 석사 학위 논문, 2009
6. 徐雨霞(쉬위샤), 「老年住宅環境中通用設計的研究(노후 주택 환경에서의 UD에 관한 연구)」, 南京林業大學(난징 임업 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2013
7. 赵晓晔(조샤오예), 「養老院內部居住環境優化設計研究(양로원 내부 주거환경 최적화 디자인 연구)」, 西南大學(서남대학교), 미술학 석사 학위 논문, 2013
8. 向娟(샹쥐안), 「居家養老模式下的老年人居住空間設計研究(재택양로 모델에서의 노인 주거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中南林业科技大學(중남임업과기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2014
9. 李甜甜(이단단), 「城鎮養老院居住環境空間適應性設計探析(도시 양로원 주거환경 공간적합성 디자인 분석)」, 太原理工大學(타이위안이공대학교), 건축학 석사 학위 논문, 2014
10. 王敏(왕민), 「基於老年人心理學的養老院空間設計研究(양로원 공간 디자인을 위한 도인 심리학 연구)」, 西安交通大學(시안교통대학교), 디자인학 석사학위 논문, 2015
11. 钟振亚(종진아), 「基於老年人生理與行爲特徵的無障礙家居設計研究(노인의 생리와 행동의 특징 관한 배리어 프리 실내 디자인 연구)」, 南京林業大學(난징 임업 대학교), 인간공학 박사학위 논문, 2016
12. 查皓淳(하오순), 「當代療養院療養房空間設計研究(현대 요양원 요양실 공간 디자인 연구)」, 清華大學(칭화대학교), 건축학 석사 학위 논문, 2016
13. 杨建新(양젠신), 「養老院室內行爲模式與空間需求研究(양로원 실내공간에서 행동방식 및 공간의 수요 관한 연구), 吉林建築大學(길림건축대학교)」, 건축학 석사 학위 논문, 2017
14. 孫佩澤(손패택), 「老年人居住環境無障礙設計的研究與思考(노인주거환경 BF를 위한 연구와 사고)」, 東北師範大學(도호쿠 사범 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2018
15. 任鹏飞(임붕비), 「复合型养老院环境空间设计研究(복합형 양로원 환경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河南大学(허난 대학교), 디자인학 석사학위 논문, 2018

[Academic Journal]

1. 윤영선, 변혜령, “일본 도심형 노인 전문 요양시설의 환경 디자인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 동경소재 5개 시설을 중심으로”, 『한국 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04.10, 제13관 5호, 통권46호
2. 조인정, 최상헌, “노인요양시설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韩国医疗福祉设施学会志』, 2009, 15관 3호
3. 송효주, 최상헌, “노인특성을 고려한 노인요양시설 치유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 서울시립노인요양시설을 중심으로”, 『한국 실내 디자인 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9.5, 11(1)
4. 이정남, "양로시설에 있어서 고령자의 거주만족도 향상을 위한 중요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大韩建筑学会论文集 計劃系』, 2010년 3월, 제26권 제3호(통권257호).
5. 임채숙, "한국형 노인복지시설을 계획하기 위한 유니버설 공간환경 디자인 지침 제안”, 『디자인 연구학회』, 2011.11, 통권 제97호 Vol.24, No.4
6. 김대진, 신혜경, 류호식, “노인특성을 고려한 고령자 주택 공간계획요소 평가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2011.9, 계획계 27(9).
7. 박진경, 오찬옥, “노인요양시설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성 평가 연구 - 부산지역 12개 시설을 중심으로”, 『한국 실내디자인 학회논문집』, 2011, 제20권 1호 통권84호
8. 이진숙, 류지선, 김한나, 이회원, "실내 거주공간의 적용 색채에 따른 감성어휘의 평가분석", 『한국색채학회』, 2014, Vol.28(2)
9. 張文英(장문영), 馮希亮(펑시량), “包容性設計對老齡化社會公共空間營建的意義(인클러시브 디자인이 고령화 사회 공용공간 구축에 미치는 의미)”, 『中國園林學會論文集(중국원림학회』, 2012.
10. 胡海滔(호해도), 李志忠(이지충), 肖惠(쇼후이), 严京滨(엄경빈), 王晓芳(왕샤오팡), 郑力(정력), “北京地区老年人人体尺寸测量(베이징 지역 노인 인체 치수 측정)”, 『人类工程学学会(인간공학학회)』, 2016.3. 제12권 제1기.
11. 杜鵬(두펑), 李龍(이룽), “新時代中國人口老齡化長期趨勢預測(신세대 중국 인구 고령화 장기 추이 예측)”, 中國人民大學學報(중국인민대학학보), 제1기, 2021.
12. Hans Persson, Henrik Åhman, Alexander Arvei Yngling, Jan Gulliksen. Universal design, inclusive design, accessible design, design for all: different concepts—one goal? On the concept of accessibility—historical, methodological and philosophical aspects. Universal Access in the Information Society 14, 2015.
13. Brown, F.G, The Unpredictability of Predictability, Journal of Educational Measurement, 1991, Vol.13(2)

[Magazine]

1. 梁海艷(양하이옌), “中國老齡化的判定標準(중국 고령화의 판정 기준)”, 『老年學雜誌(중국의 노인학 잡지』, Vol.38(9), 2018.

[Website]

1. 國家統計局(중국 국가통계국), “2010年中國第六次全國人口普查數據(2010년 중국 제6차 전국 인구 조사 데이터)”, http://www.stats.gov.cn/
2. 國家統計局(중국 국가통계국), “2020年中國第七次全國人口普查數據(2020년 중국 제7차 전국 인구 조사 데이터)”, http://www.stats.gov.cn/
3. 民政部(중국 민정부), “2020年中國養老機構發展現狀分析(2020년 중국 양로기관 발전현황 분석)”, 2021.3.25. http://www.mca.gov.cn/
4. 日本参議院本会議(일본 참의원 본회의) (第159回国会), ユニバーサル社会の形成促進に関する決議(유니버설 사회의 형성 촉진에 관한 결의), 2004.06.16., https://www.sangiin.go.jp/japanese/san60/s60_shiryou/ketsugi/159-01.html
5. U.S. Access Board, Uniform Federal Accessibility Standards(UFAS), https://www.access-board.gov/aba/ufas.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