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M.2019.02_03

중국 당나라의 조명디자인 경향을 계승한 현대 조명디자인 제안 继承中国唐代灯具设计倾向的现代灯具设计的提案 Modern Lighting Design Scheme Inheriting the Trend of Lighting Design in Tang Dynasty of China

  • Name : 섭염ㅣNIE YAN
  • Info : 석사학위논문ㅣ硕学位论文ㅣMaster's thesisㅣ2019.02
  • Adviser : 고정욱ㅣ高正旭ㅣJung-Wook Go
192.168.95.161

초록

현대의 글로벌 경제는 통합되고 문화가 국제화되는 추세여서 각국, 각 지방의 문화적 특징을 계승 발전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동아시아 문화의 고유한 독특성은 한중일 3국의 사회생활 전반에 걸쳐 반영되고 있어서 3국 간 생활양식의 유사성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그러면서도 각자 전통 역사 문화를 계승, 발전하여 각국의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하였다. 문화권마다 생활 전반에 사용되는 생활 도구는 그 시대의 생활양식을 비추는 역할을 하며 생활양식을 통해 역사적 사상, 문화적 특성을 해석할 수 있다. 중국의 당나라 시대는 경제 번영, 사회 안정, 정치 경제 문화 등 여러 부분에서 당시 세계 선두 자리에 올랐다. 또한 당나라는 국가의 영역이 가장 컸으며, 공인하는 중국의 가장 강성한 시대이다. 당나라의 문화 발전 정도는 중국 역사에서 뚜렷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조명디자인도 뚜렷한 경향이 있다. 그리고 중국 당나라의 조명기구는 고유한 문화적 요소와 문화적 형상을 투영한 것으로서 고유한 문화적 가치를 담고 있다. 중국 당나라의 전통 조명기구의 디자인 특성과 관련된 영향 요소를 탐구하는 것은 전통적인 기물 디자인에 대한 이해와 인식에 도움이 되며 중국 당나라의 조명기구에서 보여주는 과학적 의미와 민족 문화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런 연구배경 속에서 본 논문의 목적은 당나라의 조명기구의 사상적, 조형적, 미적, 문화적, 생활양식, 풍속적 특성 연구를 통해 현대 조명디자인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다. 당나라 문화적 특성과 조명디자인 경향을 현대 조명디자인과 결합하고 현대인의 역사에 대한 추억을 불러일으키며 대중 공감대가 형성된 현대적인 조명기구를 제시한다.
본 논문 연구는 주로 서적, 논문, 인터넷 리서치, 현장 답사, 박물관 고찰 등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연구하며 연구자 주관적 고찰 등 많이 활용한 방법으로 분석 연구한다. 본 논문은 선행 연구를 통해 한중일 3국의 전통 조명디자인을 분류하여 종합적인 비교를 통하여 한중일 3국의 문화적 특성과 조명기구 물리적 속성 중의 기능, 조형, 연료, 사용 공간 과 사회적 속성 중의 생활환경, 종교 사상, 문화의 특성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중국 당나라의 문화적 특성과 조명디자인의 특성을 도출하였으며 당나라 시대 조명디자인은 조명 대중화, 조형 보편적 단순화, 용도 다양화, 불교 영향력에 확산 4가지 경향을 추출하였다. 당나라 문화적 특성과 조명디자인 경향을 통해서 순수, 평화, 포용, 부드러움 4가지 현대 조명디자인 콘셉트 감성 이미지 요소를 추출하였다. 디자인 콘셉트에 의한 현대 조명디자인 스케치 16개를 하였다. 디자인 콘셉트와 현대사회에 가장 부합하는 4가지 제안을 선택하여 구체적으로 수정하고 3D 렌더링을 진행하였다. 당나라 조명디자인 경향을 가장 반영할 수 있는 제안을 선택하여 모형으로 제작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현대 조명디자인 제안에 대해 디자인 검증을 하여, 조명디자인 제안이 당나라 조명디자인 경향에 대한 계승인지를 검증하였으며, 설문 조사를 통해 현대 조명디자인 제안이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 현대인의 역사에 대한 추억을 불러일으키며 대중 공감대가 형성된 현대적인 조명기구를 제시하였다.
이 제안을 통해 당나라 문화적 특성과 조명디자인 경향을 반영하였다. 당나라 시대 조명디자인 경향은 민족적 특성을 보인 현대적인 디자인을 위하여 맥락적이고 계승적인 의미를 제공한다.

摘要

现代的全球经济呈现出统合、文化国际化的趋势,因此继承和发展各国、各地方的文化特征更为重要。东亚文化固有的特性反映在韩中日三国社会生活的各个方面,所以三国间生活方式有很多相似之处,同时各自继承和发展传统历史文化,形成了各国的文化认同感。每个文化圈前期使用的生活工具都具有反应那个时代生活方式的作用,通过生活方式可以解释历史思想、文化特性。中国的唐朝在经济繁荣、社会稳定、政治、经济、文化等各个方面都处于世界领先地位,而且唐朝是国家领域最大,是公认的中国最强盛的时代。唐朝的文化发展程度在中国历史上具有鲜明的特征,照明设计也有明显倾向。而且中国唐朝的照明器具投影了固有的文化要素和文化形象,蕴含了固有的文化价值。探究中国唐朝传统照明器具的设计特点和相关影响因素,有助于对传统器物设计的理解和认识,有助于理解中国唐朝照明器具中体现的科学意义和民族文化意义。
在这样的研究背景下,本论文的目的在于通过研究唐朝照明器具的思想性、造型性、美感、文化、生活方式、风俗特性,揭示现代照明设计的新的方向性。它将唐代文化特点和照明设计倾向与现代照明设计相结合,唤起现代人对历史的回忆,并提案大众共鸣的现代照明工具。 本论文研究主要通过书籍、论文、网络调查、现场勘查、博物馆考察等方法收集资料,分析研究,利用研究者主观考察等方法进行分析研究。本论文通过先行研究,对韩中日三国的传统照明设计进行了分类比较,从中发现了韩中日三国的文化特点和照明器具物理属性中的功能、造型、燃料、使用空间和社会属性中的生活环境、宗教思想、文化的特性。此外,还引出了中国唐朝的文化特点和照明设计的特性,唐朝时代的照明设计分为照明大众化、造型普遍简单化、用途多样化、佛教影响力扩散等4种倾向。通过唐代文化特点和照明设计倾向,提取了简明、平和、包容、柔和4种现代照明设计概念感性形象要素。根据设计概念绘制了16个现代照明设计素描。 选择最符合设计概念和现代社会的4个提案,具体修改后进行了3D呈现,选择最能反映唐朝照明设计倾向的方案制作成模型。最后对现代照明设计提案进行了设计验证,验证了照明设计提案是否继承了唐朝照明设计倾向。通过问卷调查,现代照明设计提案提出了新的方向性,唤起对现代人历史的回忆,并提出了大众共鸣的现代照明工具。
通过这个提案反映了唐代的文化特点和照明设计倾向。唐代照明设计倾向为展现民族特色的现代设计提供脉络性、继承性的意义。

Abstract

Since the modern global economy is integrated and the culture is internationalized, it is more important to succeed and develop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and region. The unique uniqueness of East Asian culture is reflected in the social life of the three countries of Korea, China, and Japan, so it is possible to find many similarities in lifestyles among the three countries. At the same time, they inherited and developed their traditional history and culture and formed their cultural identity. The life tools used throughout the life of each culture illuminate the lifestyle of the period and can interpret historical thought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through lifestyle. During the Tang Dynasty of China, in the economic prosperity, social stability, politics, economy, culture and many other aspects, they were among the forefront of the world at that time. Moreover, the Tang Dynasty is the largest in the country and is recognized as the most powerful era in China. The degree of cultural development in the Tang Dynasty has obvious characteristics in Chinese history, and lighting design has obvious tendencies. And the lighting fixture of China Tang is a reflection of unique cultural elements and cultural form, and it contains unique cultural values. Exploring the influencing factors related to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lighting fixtures of China Tang will help to understand and recognize the traditional design of the products and help to understand the scientific meaning and the meaning of the national culture in the lighting fixtures of China Tang do.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new direction of modern lighting design through the study of Tang 's lighting devices' ideological, formative, aesthetic, cultural, lifestyle and wind characteristics. It combine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ang and lighting design trends with modern lighting design, and suggests a modern lighting fixture that creates memories of modern people 's history and a public consensus.
This thesis research mainly collects data, analyzes and researches by methods such as books, articles, Internet research, field trips, museum review, etc. In this paper, we classify traditional lighting design of three countries of Korea, China, and Japan through a comparative study and fou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ree countries of Korea, China and Japan and characteristics of lighting design of each country. In addition,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ang Dynasty and characteristics of lighting design were derived. Tang Dynasty lighting design extracted four trends of popularization of lighting, universal simplification of form, application diversification, and influence of Buddhism. Through Tang lighting design trends, four elements of modern lighting design concept, sensuality image, pure, peace, embrace and softness were extracted. I made 16 sketches of modern lighting design by design concept. The design concept and the four suggestions that best match the modern society were selected, and the 3D rendering was performed. A proposal that reflects the design tendency of Tang lamp was selected and made as a model. Then the design verification certificate of the final modern lighting design proposal was verified to verify whether the lighting design proposal was the inheritance of the lighting design tendency of the Tang Dynasty.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we learned that the modern lighting design proposal reached the initial research purpose.
This proposal reflecte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ang and the trend of lighting design. The trend of lighting design in the Tang Dynasty provides a contextual and inherent meaning for modern design which shows national characteristics.

키워드

  • # 중국 당나라 # 디자인 경향 # 현대 조명디자인

  • # 中国唐代 # 设计倾向 # 现代灯具设计

  • # The Tang Dynasty of China # Design trend # Modern lighting design

참고문헌

[Book]

1. 풍선명, 『중국 도자기』, 상해 고서적 출판사, 2013.
2. 소용선(苏勇善), 오육림(吴育林), 영매령(覃梅玲), 『중국 고대 조명 발전사』, 장쑤 펑황과학기술출판사, 2015
3. 왕강(王強), 『流光溢彩--중국고대조명설계 연구』, 장쑤 대학 출판사, 2009
4. 당제천(唐濟川), 『현대 예술 디자인 사조』, 중국 경공업출판사, 2011
5. 심수운(沈守雲), 『현대 경관 디자인 사조』, 화중과기대학 출판사, 2012
6. 김문학(金文學), 『동아시아 삼국지』, 구이저우 인민 출판사, 2011
7. 왕원강, 『화합과 전쟁: 유가 문화와 중국의 권력 정치』, 컬럼비아 대학교 출판사, 2013
8. 갈검웅, 『중국 인구 발전사』, 푸젠 인민 출판사, 1991
9. 푸러우, 『중국 통사: 수조 5대의 역사』, 중국 규슈 출판사, 2009
10. 韓國磐, 『수당오대 사론집』, 생활, 독서, 신지삼연서점 출판, 1979
11. 리요셉(李約瑟), 『중국의 과학기술사』, 과학출판사, 1990
12. 북경 중병원 1957반, 『한약사』, 과학출판사, 1960
13. 리징웨이(李效偉), 『창사요 당문화의 찬란한 초점』, 호남 미술 출판사, 2003
14. 공천(孔晨), 이연(李燕), 『고등 장식의 감상과 수장』, 지린 과학 기술 출판사, 1999
15. 곽찬강(郭燦江), 『광명의 사자: 등기구』, 상해 문예 출판사, 2001
16. 원홍(遠宏), 『민자호남 민간미술전집』, 호남 미술 출판사, 1994

[Dissertation]

1. 말싸이평, 「한나라 조명 기구 연구」, 중국 푸단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2. 김인용, 「조명기구 디자인에 관한 연구 -조각보 문양을 중심으로-」, 동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3. 백박도, 「가정용 LED 조명 기구의 디자인 연구」, 동서대학교 디자인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4. 강수희, 「벨 에포크시대의 쁘띠부르주아의 헤어스타일 특성분석을 통한 헤어디자인 연구」,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5. 이계진, 「근대 서양복식의 미적특성을 응용한 패션 디자인 연구 -바로크, 로코코시대를 중심으로-」, 한서대학교 국제예술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6. 허원, 「조선시대 보자기의 시각언어 특성과 디자인 응용」,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7. 김봉희, 「조선시대 여성 장신구의 현대적 변용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조형예술학과 박사학위논문, 2007
8. 김화영, 「조선시대 장신구를 테마로 한 현대 주얼리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동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9. 이운, 「전통적인 등기구는 당대 실내 디자인에서 응용과 연구 -하북성 가오청(河北藁城) 궁등-」, 창춘 공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10. 축연금, 「중국 고대 조명 조형 예술 연구」, 중국 소주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 2007.
11. 호옥걸(亓玉傑), 「당나라 시대 궁중 여성복 원소는 현대 여성복 디자인 중 응용 연구」, 시안공정대학교 디자인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2. 천옌무(陳彥穆), 「로코코 예술 스타일은 현대 복식에 미치는 영향」, 중남민족대학교 디자인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3. 저우안레이밍(周顏磊明), 「바우하우스 디자인 사상은 모바일 인터넷 단말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 호남공업대학교 디자인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4. 황천양(黃天楊), 「죽문화(竹文化)에 기초한 현대 가구 제품 디자인 개발 연구」, 샤먼 공예 미술대학교 디자인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5. 쯔지루이(閆續瑞), 「한당 때 제왕과 사대부 가훈 연구」, 난징사범대대학교 디자인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6. 황영(黃瑩), 「당문화에 기초한 현대가옥 디자인 연구」, 시안공정대학교 전기 기계 공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Magazine]

1. 조봉, "광둥 지방 역사의 문화 당대 의미로 제련의 중요성과 절입 각도에 대한 탐구″, 『광둥성 사회주의학원학보』, 2015, Vol.16(1)
2. 류슈밍, 우젠타이, "당나라의 문화 고조의 원인″, 『학술 월간』, 1982, Vol.26(4)
3. 덩원루, "당나라 문화융성은 민생정책에 대한 영향 분석″, 『문물의 감정(鉴定)과 감상(鉴赏)』, 2018, Vol.19(1)

[Website]

1. Baidu, “조명”, https://baike.so.com/doc/4620952-4833474.html
2. 중국문학망(中國文學網), “동아시아 문화권”, www.literature.org.cn/Article.aspx?ID=6221
3. 360백과(360百科), “조명”, baike.so.com/doc/4620952-4833474.html
4. 360그림(360圖片), “당나라 회화와 조명기구”, image.so.com/i?q=%E5%94%90%E4%BB%A3%E7%BB%98%E7%94%BB%E7%81%AF&src=tab_w
5. 정보 센터, “불교 연화”, http://news.pconline.com.cn/968/9688178.html
6. Baidu, “불교 문화”, https://wenku.baidu.com/view/5286ee27aaea998fcc220e5a.html
7. 學佛網, “불교”, http://www.xuefo.net/nr/article8/76093.html
8. 寒山寺, “불교 사상”, http://www.hanshansi.org/download/zx/201005/2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