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D.2020.02_03

중국 노령세대를 위한 구도심 지역 AIP 평가지표 개발 中国老龄化时代城市老旧小区改造的AIP评价标准的开发 A Development of the AIP Evaluation Criteria of Old Urban Elder Community in China

  • Name : 樊丹丹ㅣFAN DANDAN
  • Info : 박사학위논문ㅣ博士学位论文ㅣDoctor's thesisㅣ2020.02
  • Adviser : 김세화ㅣ金世和ㅣKim, Se-Hwa
192.168.95.161

초록

중국 사회의 노령화 현상이 심화되어감에 따라 노인과 관련된 사회적 서비스에 대한 이슈가 점차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노인이 거주하는 공간과 관련되어 주거환경 문제가 가장 먼저 제기되고 있다. 현재 60세 이상 노인들의 젊은 시절인 1970년대는 중국의 경제가 빠른 속도로 발전하는 시기로. 이때 대규모의 인구가 도시로 이동하였으며 많은 신축 주거지들이 건축되면서 도시 내의 지역사회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도시가 확장되면서 이들이 거주하던 대다수의 지역들은 점차 구시가지로 변했고, 현재, 구시가지들의 노후화된 주거환경은 주택문제, 공공위생, 의료, 환경, 생활시설과 사회지원 시스템 등 생활환경 전반에 걸쳐 열악한 상황이다. 따라서 정부와 기관에서 구시가지 재생에 대한 도시계획 수립과정에서 노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속가능하고 안심할 수 있는 지역 커뮤니티 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되었다.
노인의 노후 주거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 국가에서는 일련의 조치를 시행했는데 2017년 <노인 배려 서비스 프로그램의 작성 및 실시에 관한 의견>, 2018년 <노인 돌봄시설 건축설계기준>이 잇따라 제정되었다. 이러한 정책들은 노인을 부양하는 문제가 지역사회 돌봄, 주거환경을 재생하는 방향으로 발전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구시가지의 노인 주거 커뮤니티 환경은 아직도 다양한 문제들이 남아있어, 이러한 지역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노인의 구체적인 요구를 파악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노인의 실제 생활환경에서 출발하여, 구시가지 재생 환경에서 노인의 주거공간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고, 노인의 생활에서의 구체적인 요구를 반영하여 노인에게 적합한 공동체 생활공간 패턴을 탐색하고, 노령화 환경에서 중국의 도시 주거지 재생을 위한 새로운 방향과 사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첫째, 미국, 일본, 영국, 스위스의 고령화에 대한 조치를 분석하였다. 미국의 CCRC 양로 패턴, 일본의 <중개보험법>, 영국이 설립한 커뮤니티 서비스 센터, 스위스의 완벽한 지역사회 돌봄 시설은 모두 국가가 Aging in place 개념을 지지하는 것을 나타낸다. ‘AIP’란 노령자로 하여금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집 혹은 익숙한 지역에서 자립적으로 노년기를 보낼 수 있도록 하는 이론적 개념이자 실천전략이 이다. 또한, 중국 일부 지역의 AIP의 시행을 조사하기위해 상하이, 항저우, 난창시 3개 도시의 구시가지를 리모델링 검토하였다. 결과는 노령화가 심각한 일부 도시에서만 부분적으로 실시되었을 뿐이다. 중국 국가의 차원의 정책이나 AIP연구는 탐색 단계에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구시가지의 재생계획을 보다 잘 추진하기 위해서 노인 주거공간의 개선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ging in place의 개념, 의미, 선행연구를 분석하였고, 중국 도시 AIP 수요항목으로는 선행연구에서 검토된 주거조건, 이동조건, 건강 및 돌봄 조건, 사회참여조건, 사회소통조건과 더불어 지역 소속감을 추가하여 6가지 조건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 조건들을 구성하는 수요항목으로 14개 요소, 33개의 항목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항목들은 노인의 생활 중의 구체적인 요구를 반영하지만, 문화적 배경에 따라 생활방식과 요구에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현재 중국 노인들의 구체적인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중국 도시의 60세 이상, 지역사회에서 3년 이상 생활하면서 현재 거주지에서 여생을 보낼 계획인 중산층 노인들을 대상으로, 면대면 인터뷰와 노인들의 하루 여정을 관찰하며 한편으로는 도출된 항목을 검증하고, 6명의 노인들에 대한 고객여정맵을 작성하여 중국 도시거주 노인들의 생활에서 필요한 AIP 수요항목들을 정리하였다. 이 조사 분석을 통해, 중국 도시의 사회 경제적 상황에 적합한 22개의 새로운 항목을 추가했고 최종적으로 6가지 부분, 14개 측면, 55개 항목을 도출했다. 다음으로 이러한 항목들을 바탕으로 노인과 관련된 연구를 하는 교수, 박사연구자, 그리고 노인과 관련된 일에 종사하는 설계자, 건설사 임직원, 커뮤니티 근무자, 공무원 등 총 25명의 전문가를 인터뷰했다. AHP 계층화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항목 간의 비교를 진행하여 상대적 중요도를 찾아내고 원인을 분석하였고, 중요도를 통해 현재 노인의 주거공간에서 리모델링이 시급한 측면을 반영하였다.
넷째, 선행연구의 AIP의 개념과 항목의 중요도 분석을 바탕으로, 노부모 부양과 지역사회 돌봄을 결합한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AIP 평가지표를 제시하였다. AIP 평가지표는 집에 거주하는 양로를 중심으로, 커뮤니티를 통한 각종 서비스 제공, 정부의 정책 보장을 제창하고 친숙한 환경에서 여생을 보내려는 노인의 요구를 지원한다. AIP 평가지표의 보다 효과적인 실시를 위해서 55개 항목의 세부기준을 마련하여 주거지 공간 재생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을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중국 정주시에서 구시가지의 노령화가 심각한 여하(汝河社區) 지역사회를 현장 조사하며 AIP 평가지표의 항목과 세부기준을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고, 여하 지역사회의 재생방안을 마련하고 AIP 평가지표 활용에 참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AIP 평가지표 개발을 통해 노인들에게 익숙한 지역사회 내 AIP를 실현할 수 있는 6개 항목의 14측면 55개 항목의 구체적인 개선 방향과 세부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현장조사를 통해 중국 도시 노인 생활에서 요구되는 구체적인 요구사항들이 반영되어 있어서, 이 AIP 평가지표는 현실성이 높고 실용성이 높은 정책수행방안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 평가지표는 지역 주민, 60세 이상 노인, 장애노인으로 확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주민 계층의 지역재생 수요에 대한 후속 연구의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

摘要

随着我国人口老龄化的日益加剧,老龄社会服务的话题也日益突出。特别是,首先提出了老年人的生活环境问题。70年代不仅是60岁以上老人的青年时代,也是中国经济快速发展的时期。在这个时候,大量的人涌入城市,许多新的建筑被建造,形成了许多社区,在市中心。然而,随着城市的扩张,这些社区大多已逐渐成为老城区,这就造成了居住环境的各种问题。例如,公共卫生、医疗、生活设施、社会支持系统等条件都很差。因此,为了提高老年人的生活质量,建设一个可持续的、舒适的社区,已成为政府及机构在旧城规划改造过程中必须解决的一个亟待解决的问题。
针对老年人住房问题,中国政府实施了《2017年关于制定和实施养老服务项目的意见》、《2018年养老设施设计标准》等一系列措施。这表明,养老的现实已经向社区关怀和舒适的社区环境建设的方向发展。然而,老城区老年人的社区环境还存在很多问题。为了解决这些问题,有必要了解老年人的具体需求。因此,本研究立足于老年人的实际居住环境,了解老年人在旧城环境中对居住空间的需求,能够体现老年人生活的具体需求;探索适合老年社区居住空间的AIP (Aging in Place)评价标准,为中国旧城社区的再生提供新的方向和思路。
首先,本研究分析了美国、日本、英国和瑞士应对老龄化的措施。持续照料退休社区(CCRC)模型在美国的情况,日本的介护保险法,英国的社区服务中心的设立等,展示了AIP概念在不同国家的支持和应用。具体来说,AIP是一种理论概念,使老年人能够独立生活在自己的房子或熟悉的地区,也是一种实践策略。此外,本研究探讨了上海、杭州、南昌等城市的旧社区改造,分析了我国部分地区利用AIP对旧社区的改造情况。事实上,中国的旧城改造方案只是在一些老龄化严重的一线城市地区实施,毕竟国家的政策和研究还处于摸索阶段。
其次,本文分析了AIP的概念、意义和前期研究,以改善老年人的居住空间,更好地促进老城区的再生。在以往对中国城市AIP需求项目的研究中,可以得出六个条件:居住条件、移动条件、健康护理条件、社会参与条件、社会交往条件、社区归属感。然后总结了构成这些条件的14个要素和33个项目。这些项目反映了老年人生活中的具体要求,但会因文化背景、生活方式等的不同而有所不同。
第三,为了了解中国老年人的具体需求,本研究调查了居住在城市社区3年以上、计划在现有居住地度过余生的60岁以上中产阶级老年人。通过面对面的访谈,观察老人的日常日程安排。一方面,这可以检验之前研究得到的项目。另一方面,制定了6位老人的客户旅程图,梳理了中国城市老年人的AIP需求项目。通过进一步的调查分析,新增了22个适合中国城市社会经济条件的新项目,最终获得了6个部分、14个方面、55个项目。基于这些项目,我们采访了25位专家,包括教授、研究人员、与老年人一起工作的设计师、建筑公司雇员、社区工作者和公务员。然后运用层次分析法(AHP)对项目进行比较,找出需求项目的相对重要性并分析原因,从而通过重要性反映我国老年人社区空间重建的具体需求。
第四,在以往AIP研究的基础上,分析了我国社区实际居住条件和老年人项目的重要性,提出了家庭养老与社区照顾相结合的安全、可持续的AIP评价标准。AIP评价标准以居家养老为重点,通过社区提供各种服务,倡导政府政策保障,支持老年人在熟悉的环境中度过晚年的需求。
最后,本文对中国郑州市老城区中老龄化严重的汝河社区进行调查,并运用AIP评价标准进行分析,总结汝河社区的再生规划,提出AIP评价标准的参考方法。
简而言之,本研究通过调查分析得出了AIP评价标准,该标准是为适应中国老龄化社会的老城区社区再生需求而制定的。通过改善老年人的生活、移动、健康护理、社会参与、社会交往、社区归属感等六个方面,帮助老年人在熟悉的环境中舒适地度过晚年,保持独立生活,满足老年人多样化的需求。此外,AIP评价标准可以作为未来改善老年人居住环境研究的参考。研究人员还可以使用AIP评估标准调查可再生领域,确定需要改进的项目,并制定具体的可再生计划。本研究通过对老城区再生政策的干预,实现了对各种需求老年人居住环境的改善,为我国老城区社区再生提供了具体的方向。期望本研究能够对我国城市社区服务设施建设起到积极的作用,为政策的实施提供理论依据。

Abstract

With the booming of aging of the Chinese population, the topic of social services about the elderly has become increasingly prominent. In particular, the question of the elderly’s living environment was first raised. The 1970s was not only a period of youth for old people over 60, but also a period of rapid economic development in China. At this time, large quantities of people poured into cities and many new buildings were constructed, which forms a lot of communities that inner city. However, most of these communities have gradually become the old urban areas with the expansion of the city, which caused various problems with the living environment. For example, public health, medical treatment, living facilities, and social support system were in bad condition. Therefore, to improve the life quality of the elderly, building a sustainable and comfortable community has become a burning issue that the government and institutions must solve in the process of old town planning and reconstruction.
In response to the housing problem of the elderly, the Chinese government has implemented a series of measures, including the Opinions on the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of Elderly Care Service projects in 2017 and the Design Standards for Elderly Care Facilities in 2018. These indicate that the reality of supporting the aged has developed towards the direction of community care and the construction of a comfortable community environment.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in the community environment of the elderly living in the old tow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pecific needs of the elderly to deal with these problems. Therefore, based on the actual living environment of the elderly, this study understands the elderly’s demands for living space in the old city environment, which can reflect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elderly's life; and explores the Aging in Place (AIP) evaluation criteria suitable for the living space of the elderly community, which provides new directions and ideas for the regeneration of the old city community in China.
First, this study analyzes the measures to deal with aging in the United States, Japan, the United Kingdom, and Switzerland. Whether it is the 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y(CCRC) model in the United States, the Intermediary Insurance Act in Japan, the community service centers set up in the United Kingdom or the sound community service facilities in Switzerland, all these show the support and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AIP in various countries. Specifically, AIP is a theoretical concept that enables the elderly to live independently in their house or in familiar areas, which is also a practical strategy. Additionally, this study discusses the reconstruction of old communities in Shanghai, Hangzhou, and Nanchang, analyzing the situation of the transformation of old communities by using AIP in some parts of China. In fact, the reconstruction plan of China’s old town is only implemented in some areas of first-tier cities with severe aging, after all, the national policy and research are just in the exploratory stage.
Second, this paper analyses the concept, significance and prior research of AIP to improve the living space of the elderly and promote the regeneration of the old city better. Six conditions can be obtained in the previous research of the Chinese urban AIP demand program: living conditions, mobile conditions, health and care conditions, social participation conditions, social communication conditions, and community sense of belonging. Then it summarizes 14 elements and 33 items that constitute these conditions. These items reflect the specific requirements in the life of the elderly, but these will vary due to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lifestyles and so on.
Third, to understand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elderly in China,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iddle-class elderly over 60 who have lived in an urban community for more than 3 years and plan to spend the rest of their lives in the current place of residence.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the daily schedule of the elderly was observed. On the one hand, this can test the projects obtained from the previous study. On the other hand, a Customer Journey Map for 6 old people was formulated, and the AIP demand projects for the elderly living in Chinese cities were sorted out. Through further investigation and analysis, there are 22 new projects suitable for the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of Chinese cities that were added, and finally,6 parts, 14 aspects, and 55 items were obtained. Based on these projects, 25experts were interviewed, including professors, researchers, designers working with the elderly, employees of construction companies, community workers and civil servants. Then this study compares the projects by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nd finds out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demand items and analyses the reasons, so as to reflect the specific needs of the reconstruction of the elderly community space in China through the importance.
Fourth, based on the previous study of AIP and the analysis of the actual community living conditions and the importance of the project of the elderly in China, this paper puts forward a safe and sustainable AIP evaluation criterion that combines family pension and community care. The AIP evaluation criteria focus on home-based care for the aged, provides various services through the community, advocates government policy guarantee, and supports the demands of the elderly to spend their old age in a familiar environment.
In the end, the paper investigates Ruhe community which is aging seriously in the old urban area of Zhengzhou City, China, and analyses it with the AIP evaluation criteria, summarizes the regeneration plan of Ruhe community, and puts forward the reference method of the AIP evaluation criteria.
Briefly, this research obtains the AIP evaluation criteria through investigation and analysis, which is formulated to meet the needs of community regeneration in the old urban areas of China's aging society. It is also a scheme that helps the elderly spend their remaining years in comfort in a familiar environment, maintain their independent life, and meet the diversified needs of them by improving six aspects of living, mobile, health and care, social participation, social communication and community sense of belonging. Moreover, the AIP evaluation criteria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future research on improving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elderly. Researchers can also use the AIP evaluation criteria to investigate renewable areas, identify projects that need improvement, and formulate specific renewable plans. In this research, it has realized the improvement of the living environment for the elderly with various needs through the intervention of the regeneration policy of the old urban areas, which provides a specific direction for the community regeneration of the old urban areas in China. It can be expected that this study could play an active role inthe construction of urban community service facilities in China and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policy implementation.

키워드

  • # 도시재생 # 노령화 사회 # 지역사회 계속 거주(AIP) # 지역사회 디자인 # 노인 수요

  • #城市再生 # 老龄化社会 # AIP(原居安老) # 社区设计 # 老年人需求

  • # Urban Regeneration # Aging Society # Aging in Place # Community design # Elderly Needs

참고문헌

[Book]

1. 中華人民共和國建設部, 『老年人居住建築設計標準』(GB/T503402003)[S].2003
2. 於今, 『城市更新: 城市發展的新裏程』, 國家行政學院出版社, 2011
3. 張炳江, 『層次分析法及其應用案例』, 電子工業出版社, 2014
4. [丹麥] 揚·蓋爾, 何人可 譯, 『交往與空間』, 中國建築工業出版社, 2002
5. 孟昭蘭, 『情緒心理學』, 北京大學出版社, 2015
6. 丁俊清, 『中國居住文化』, 同濟大學出版社, 1997
7. 徐磊青, 楊公俠, 『環境心理學』, 同濟大學出版社, 2002
8. 顧朝林,『中國城市地理』, 商務印書館, 1999
9. 匡曉明,陸勇峰. 『存量背景下上海社區更新規劃實踐與探索』, 中國規劃學會, 2016
10. 劉視湘, 『社區心理學』, 北京: 開明出版社, 2013
11. Matthew Carmona, 『城市設計的維度:公共場所-城市空間』, 江蘇科學技術出版社, 2005
12. Data source: United Nations (2017). World Population Prospects: the 2017 Revision, 2017
13. The Standing Committee of the National People's Congress 2012, The Law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on Protection of the Rights and Interests of the Elderly, Beijing, 2012
14. Central Committee of Communist Party of China 2011, The twelfth five-year plan for national economy and social develop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People’s Press, Beijing, 2011
15. Fischer, Michael MJ, 'Creative Ageing Cities: Place Design with Older People in Asian Cities: Foreward.”, Foreward, 2018
16. Christopher Alexander, A Pattern Language–Towns, Buildings, Construction, Oxford University, 1977
17. Yin, ZG, and Zhou, HW (eds), Report on the development of demography and willing of the older people in Shanghai (1998–2013), Shanghai Academy of Social Science Press, Shanghai, 2014
18. AARP, Home and Community Preferences of the 45+ Population[R]. Surveys and Statistics: Washington. D. C. 2010
19. AARP, Beyond 50.05: A Report to the Nation on Livable Communities: Creating Environments for Successful Aging[R], AARP Public Policy Institute: Washingtong, DC, 2005
20. AARP, Livable Communities: An Evaluation Guide[R], AARP Public Policy Institute: Washingtong, DC, 2005
21. Donald Arthur Norman, The Design of Everyday Things, Doubleday Business, 2003
22. Peter Roberts, The Evolution, Definition and Purpose of Urban Regeneration,Peter Roberts and Hugh Sykes(eds.), Urban Regeneration: A Handbook, London: SAGE Publications, 2000
23. Clare Cooper Marcus, People places: design guidelines for urban open space, New York, 2001
24. Measuring Health: a Review of Quality of Life Measurement Scales (2nd ed.), Open University Press, Buckingham, 1997
25. Jan Gehl, Iife Between Buildings, Island Press, 2011
26. van Melik, Rianne, and Roos Pijpers. ‘Older People's Self‐Selected Spaces of Encounter in Urban Aging Environments in the Netherlands.' City &Community 16.3, 2017
27. Chong, Keng Hua, and Mihye Cho, Creative Ageing Cities: Place Design with Older People in Asian Cities. Routledge, 2018

[Dissertation]

1. 최옥규, 「리패턴링아파트 거주자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박사논문, 2012
2. 김아름, 「주민참여형 주거지 재생사업과 노령거주자의근린활동 및 사회적관계망과의 영향관계 연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박사논문, 2015
3. 강지선, 「문화적 도시재생과 샹탈 무프의 쟁투적 공론영역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4. 裵永南, 「都心再生을 위한 計劃要因에 관한 硏究」, 全南大學校 建築工學科, 박사논문, 2009
5. 김현주, 「도시재생 맥락에서의 유휴 산업시설 재활용 계획 방법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박사논문, 2013
6. 김상현, 「도시 어메니티의 공간적 분포 패턴을 이용한 도시 씬(Urban Scene)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논문, 2018
7. 오문향, 「델파이 기법과 AHP를 활용한 국가 간 관광산업 경쟁력 평가지표 개발」, 세종대학교, 박사논문, 2012
8. 元鐘碩, 「지역산업생태계분석을 통한 지역산업 활성화 및 도시재생 방안 연구, 서울市立大學校, 박사논문, 2015
9. 林相仁, 「지속가능 개념을 도입한 주거단지의 계획특성과 ‘패턴언어’ 적용패턴에 관한 연구」, 成均館大學校, 박사논문, 2002
10. 이민아, 「공간 사용자경험 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스케이프 평가지표 연구」, 홍익대학교박사논문, 2017
11. 高善河, 「都市再生을 위한 都市및 住居環境整備制度의 改善에 관한 硏究」, 全北大學校大學院, 박사논문, 2008
12. 서유진, 「도시재생에 있어 Aging in Place를 위한 노령자 서비스 주거 연구」, 서울大學校, 박사논문, 2018
13. 최옥규, 리모델링아파트 거주자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박사논문, 2013
14. 姚棟, 「老齡化趨勢下特大城市老人居住問題研究」, 同濟大學, 博士論文,2005
15. 彭亮, 「上海高齡獨居老人研究」, 華東師範大學, 博士論文, 2011
16. 李小雲, 「面向原居安老的城市老年友好社區規劃策略研究」, 華南理工大學, 博士論文, 2012
17. 陶希東, 「跨省都市圈的行政區經濟分析及其整合機制研究——以徐州都市圈為例」, 華南理工大學, 博士論文, 2004
18. 吳春, 「大規模舊城改造過程中的社會空間重構-以北京市為例」, 清華大學, 博士論文, 201
19. 趙靜, 「城市社區居家養老模式下的居住福祉研究」, 山東大學, 博士論文, 2019
20. 張旭, 「基於老年人行為模式的居住環境建構研究」, 天津大學, 博士論文, 2016
21. 陳曉虹,「日常生活視角下舊城復興設計策略研究」, 華南理工大學,博士論文, 2014
22. 楊冉冉,「城市居民綠色出行行為的驅動機理與政策研究」, 中國礦業大學,博士論文, 2016
23. 徐慧敏, 「中國城市居住社區中的原居安老」, 中央美術學院, 博士論文, 2007
24. 帥同檢, 「我國城市“持續照護”型老年社區規劃與設計研究」, 重慶大學, 博士論文, 2010
25. 張玲, 「通用設計在我國城市社區原居安老中的應用」, 東北師範大學, 博士論文, 2008
26. 唐玉春, 「上海隔代撫育中老年人學習需求影響因素研究」, 上海師範大學, 博士論文, 2019
27. 殷心悅, 「“原居安老”—新型養老社區戶外環境設計研究」, 魯迅美術學院, 博士論文, 2015
28. 於文婷, 「北方既有住區原居安養模式建構策略初探」, 大連理工大學, 博士論文, 2017
29. Albritton, Margaret Anne, Aging in Place: Design Guidelines for New Construction in Residential Design. Graduate Faculty of Auburn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4

[Academic Journal]

1. 김혜천, “한국적 도시재생의 개념과 유형,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韓國都市行政學報』, 2013, 第26輯 第3號
2. 서익진, “문화적 도시재생 유형의 사례분석”, 『住居環境』, 2016, 제14권 제4호
3. 이광국, “산업유산을 활용한 도시재생”, 第29次 東北亞細亞文化學會 國際學術大會,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2014, 第29次
4. 박미선, “미국 주택바우처 프로그램의 저소득층 주거안정성과와 정책적 시사점”, 『韓國都市行政學報』, 2012, 第25輯 第2號
5. 김경숙, 사영재, 강아름, “노령자를 위한 주거 공간 평가 및 개선에 관한 연구-강남 지역 아파트의 거주자 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2011, 제17권 제2호
6. 조아라, “일본의 노인 거주문제와 주거정책 Aging in Place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2013, 제48권 제5호
7. 문은미, “문화적 도시재생을 위한 공공도서관 계획 특성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107, 제26권 제5호
8. 홍성희, “중년기 봉급생활자의 노후부양책임의식에 따른 노후 경제적 준비”, 『계명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과학논집』, 2006, 제32집
9. 곽인숙, “노인의 자녀와 동거희망과 지속거주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011, 제22권 제6호
10. 홍송이, “Aging-in-Place를 위한 노인복지정책의 비판적 이해: 싱가포르 사례연구,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Vol.43 No.1
11. 이승훈, “AIP(Aging in Place)에 대한 주관적 기대와 의미”, 『한국공공사회학회』2017, 제7권 제1호
12. 이현정, “싱가포르의 노인주거복지정책 및 노인주택 특성 분석”, 『大韓建築學會論文集』, 2006, 第22卷 第11號
13. 이현진, 박재승, “Aging in Place를 위한 노인주거시설 선호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2010, 제16권 제1호
14. 강희선, “에이징 인 플레이스(Aging in Place) 개념을 고려한 공공임대 지역사회시설의 노인공간 계획”, 『한국주거학회논문집』2017, 제28권 제4호
15. 이형숙, “노인 보행환경 평가항목 신뢰도 분석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학회논문집』, 2012, 제12권 제3호
16. 김수영, 문경주, 오찬옥, “노령화 지역의 Aging in Place에 영향을 주는 조건분석을 통한 정책방향 탐색”,『한국사회학회』, 2015, Vol.12
17. 권오정, 이용민, 하해화, 김진영, 염혜실, “노년층의 지역 내 계속 거주 이유에 관한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2014, 제52권 제3호
18. 주경희, “노인의 사회참여 활동영역과 수준에 따른 삶의 질 비교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2011, 39집
19. 오주석, 김동현, 여혜진, 김세용, “지역사회 재생을 위한 캠퍼스타운 계획 및 설계 연구-거점구역 도출 및 조성방안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2014, 제15권 제2호
20. 김수영, “노령친화 공동체 구축을 위한 지표 개발”, 『한국여생학회』, 2014, Vol.34 No.3
21. 김영은, 류승완. “전시서비스 관람객 경험향상에 관한 연구-고객여정지도를 중심으로”, 『서비스경영학회지』, 2017, Vol.09
22. 李小雲, 田銀生, 陳錦棠, “老齡化社會背景下對我國城市規劃的思考”, 『熱帶地理』, 2011, 第31卷. 第6期
23. 隋錚, 鄒廣天,“基於復合養老模式的城市社區的基本概念與構建模式”, 『城市建築』, 2015.(10)
24. 陳昫, “城市老年人精神養老研究”, 『武漢大學學報(哲學社會科學版)』, 2014, Vol.67(4)
25. 王君柏, 葛珊, “費孝通社區自理概念及其實踐”, 『黑龍江社會科學』,  2017, Vol.6
26. 陳占江, “現代社區建設的鄉土視野——費孝通的思想遺產”, 『雲南行政學院學報』, 2017, Vol.2
27. 李小雲, 田銀生, “國內城市規劃應對老齡化社會的相關研究綜述”, 『城市規劃』, 2011, Vol.9
28. 李靜, “代際互助: ‘成功老化’的模式創新”, 『東嶽論叢』, 2018, Vol.39
29. 黃慶波等. “中國老年人宗教信仰狀況及其變化”, 『人口與發展』, 2015, Vol.0.3
30. 姚棟, “大城市‘aging in place’的空間措施研究”, 『城市規劃學刊』, 2015, Vol.6(4)
31. 李昕陽, et al. “城市老人、兒童適宜性社區公共空間研究', 『城市發展研究』, 2015, Vol.22(5)
32. 陶希東, “中國城市舊區改造模式轉型策略研究——從‘經濟型舊區改造’走向‘社會型城市更新’,『城市發展研究』, 2015, Vol.22(4)
33. 蘭娟, “淺談類設計模式中建築空間場所精神的表達”, 『鐵道勘測與設計』, 2013, Vol.6
34. 周加元. "和睦社區:衛生死角變環保生態實踐園”, 『杭州(生活品質版)』,2014
35. 朱鳳梅, “民辦養老機構‘低入住率’的原因分析:來自市, 縣兩級的證據”, 『人口學刊』, 2019, Vol.41(1)
36. Kwak, In-Suk.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Decisions by the Super-Aged on Their Preference of Living with Their Children and Continuously Living in Their Current House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011
37. Beard, John R., and Charles Petitot. Ageing and urbanization: can cities be designed to foster active ageing?  Public Health Reviews, 2010, Vol.32(2)
38. Barlow J, Venables T, Will technological innovation create the true lifetime home? Housing Studies, 2004
39. Costa-Font, J., D. Elvira, O, Mascarilla-Miro. ‘Ageing in Place’ Exploring Elderly People’s Housing Preferences in Spain, Urban Studies (Sage Publications, Ltd.), 2009, Vol.46(2)
40. Ladimer, I, Housing and Health Facilities for Our Senior Citizens, Public Health Reports (1896-1970), 1952, Vol.67(12)
41. Chris Phillipson, Urbanisation and Ageing: Towards a New Environmental Gerontology, Ageing and Society, 2004, Vol.24
42. Allision E. Smith, “Urban Ageing.” In Ageing in Urban Neighbourhoods Place Attachment and Social Exclusion. Bristol: The Policy Press, 2009
43. Quinn, A, Healthy Aging in Cities, Journal of Urban Health, 2008, Vol.85(2)
44. Sixsmith, A.,J. Sixsmith, Aging in place in the United Kingdom, Ageing International, 2008, Vol.32(3)
45. Musselwhite, Charles, Carol Holland, and Ian Walker, The role of transport and mobility in the health of older people, 2015, Vol.1(4)
46. Pastalan, Leon A., and Daniel H. Carson, eds. Spatial behavior of older people. Institute of Gerontology, University of Michigan-Wayne State Univ, 1970
47. Cutchin, Malcolm P, The process of mediated aging-in-place: A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based model, Social science &medicine, 2003
48. Hooyman, N.R. & Kiyak, H. A, Social gerontology, Boston:  Allyn &Bacon, 2002
49. Cottrell, l. s, the adjustment of the individual to his age and sex rol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1942, Vol.7
50. Golant, Stephen M, The quest for residential normalcy by older adults: Relocation but one pathway, Journal of Aging Studies, 2011, Vol.25(3)
51. Stjernborg, Vanessa, Ulla Melin Emilsson, and Agneta Ståhl, Changes in outdoor mobility when becoming alone in the household in old age, Journal of Transport &Health, 2014,  Vol.1(1)
52. Tsunoda, Kenji, et al, Transportation mode usage and physical, mental and social functions in older Japanese adults, Journal of Transport &Health, 2015, Vol.2(1)
53. McMillan, David W., and David M. Chavis,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986, Vol.14(1)
54. CABE, DETR, The value of urban design: A research project commissioned by CABE and DETR to examine the value added by good urban design, 2001
55. Ruza, Jacobo, et al, Sustainable, age-friendly cities: An evaluation framework and case study application on Palo Alto, California, Sustainable Cities and Society, 2015, Vol.14
56. Kahana, Eva, et al, Person, environment, and person-environment fit as influence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of elders, Environment and behavio, 2003, Vol.5(3)
57. Staeheli, Lynn A., and Don Mitchell, Locating the Public in Research and Practice, Progress in Human Geography, 2007, Vol.31
58. Silver, Hilary, The Centrality of Public Space, City &Community, 2014, Vol.13
59. Buffel, T, Phillipson, C, and Sharf, T, Ageingin urban environments: developing “agefriendly” cities, Critical Social Policy, 2012, Vol.32(4)

[Website]

1. 谷歌搜索, “AARP”, https://www.aarp.org/home-garden/livable-communities/info-2005/livable_communities_an_evaluation_guide.html
2. 百度百科, “英國社區養老”, http://www.xinhuanet.com/health/2019-02/25/c_1124158974.htm
3. 中国人民共和国, “中華人民共和國住房和城鄉建設部”, http://www.mohurd.gov.cn/wjfb/201407/t20140722_218556.html
4. 维基百科, “Almshouse”, https://en.wikipedia.org/wiki/Almshouse
5. 谷歌搜索, “What would an age-friendly city look like?”, https://www.theguardian.com/cities/2018/oct/10/what-would-an-age-friendly-city-look-like
6. 谷歌搜索, “日本養老政策”, https://www.mhlw.go.jp/stf/seisakunitsuite/bunya/hukushi_kaigo/kaigo_koureisha/chiiki-houkatsu/
7. 百度百科, “WHO”, https://www.who.int/ageing/commit-action/measuring-progress/en/
8. “Improving Communities for an Aging Society”, https://apps.vnsny.org/advantage/
9. 百度百科, “樹立積極老齡觀”, http://news.dichan.sina.com.cn/2018/05/03/1258465.html
10. 百度百科, “機動車駕駛證申領”, https://baike.baidu.com/item/機動車駕駛證申領和使用規定/4379120? fr=aladd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