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학위논문박사논문(PhD Theses)

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D.2022.02_01

도시재생 산업유산의 공유가치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关于城市再生产业遗产共享价值评估指标开发的研究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hared Value Evaluation Indicators of Urban Regeneration Industrial Heritage

  • Name : 강박 (姜博) /JIANG BO
  • Info : 박사학위논문/博士学位论文/Doctor's thesis/ 2022.02
  • Adviser : 홍관선/洪宽善/Hong, Kwan-Seon
192.168.95.172

초록

도시산업구조의 변화와 무분별한 도시 확장으로 인해 도시에 존재하던 수많은 전통적인 산업은 경영부실, 땅값 상승, 도시환경 보호 등의 이유로 점차적으로 쇠퇴하기 시작하였고, 결국 교외 지역으로 이전하게 됐다. 이와 같이 나날이 심각해지는 도시 쇠퇴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재생을 통한 도시 경쟁력 확보와 도시 부흥의 발전 목표가 요구된다. 그리하여 도시산업 재생전략으로 공유가치 논의의 필요성이 구체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공유’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공유가치’는 소유한 공간, 정보, 자원을 필요한 사람과 함께 공유함으로써 공공복지를 추구하는 공공성의 개념으로 자리매김하게 됐다. 이에 따라 도시의 발전은 경제 발전, 경제 발전에 필요한 정책, 기업과 사회적 환경을 기초로 한다. 반면 산업유산은 기업의 경영 실패와 도시 이전으로 인해 형성된 도시구조의 일부이다. 산업유산의 가치를 보다 잘 활용하기 위해서 도시재생을 통한 공유가치 이론을 통해 산업유산의 가치를 해결하는 이론적 가이드라인으로서 도시재생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공유가치에 대한 연구는 기업의 공유가치 창출(CSR) 및 도시 브랜드 개발 차원에만 그치고 있어 산업유산과 도시재생 및 도시 건설에 대한 응용과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재생 후 산업유산은 다양한 자원, 공간, 장소, 활동 등을 공유함으로써 가치를 공유할 수 있다. 이는 단순한 이윤 추구에 따른 사회 공헌에 대한 사회적 책임일 뿐 아니라,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면서 경제적 수익을 창출하는 것은 폐기와 유휴 산업재생 후의 가치 구현이라고도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유가치 이론을 바탕으로 공유가치와 산업유산을 연계하여 산업유산 재생에 따른 효과와 가치를 공유가치 이론을 통해 나타내며, 이를 통해 도시재생에서 나타날 수 있는 여러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적으로 도시재생에 대한 정의를 새롭게 인식시키고, 기업과 주민의 참여를 유도하여 재생 지역의 활성화를 촉진함과 동시에, 산업유산 재생 이후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에 대한 잠재적 가치를 서로 다른 가치의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다. 이로써 기존 정부 주도의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보다는 가치 공유 차원에서 산업유산 재생 후의 경제적 수익성을 보장하고, 참여 기업의 이익은 물론 지역 주민과 도시 발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리하여 도시재생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도시재생 산업유산의 공유가치 평가지표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고찰 및 분석 과정을 거쳤다.
첫째, 연구 배경 및 필요성을 제시하고, 연구 목적과 범위 및 방법에 대해서 기술하였으며, 전반적인 연구의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아울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차별성을 논하였다.
둘째, 먼저 연구와 관련된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도시재생, 산업유산, 공유가치 등의 이론적 개념에 대해 고찰하고, 전반적인 산업유산재생에 관한 내용을 파악하고 소개했으며, 도시재생에 대한 개념과 유형, 산업유산재생 추진의 필요성을 논하고, 산업유산재생에 대한 지속 가능한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 다음으로 공유가치의 개념과 발전현황을 파악하고, 산업유산 장소에서 공유가치의 필요성과 실행의 의의를 분석했다. 이를 바탕으로 산업유산과 공유가치의 기본적인 소개와 연관성 및 필요성 등에 대한 자료를 파악하고, 산업유산 장소 공유가치의 평가요소와 평가 세부항목에 대한 가설을 제시했다.
셋째, 평가지표의 가치범주, 평가요소, 세부항목을 도출하기 위해 ‘공유가치’와 ‘산업유산’의 분야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유사한 가치의 개념을 정리 및 통합했다. 선행연구를 통해 가치범주(상위개념)을 도출하고, 평가요소(중위요소)와 세부 항목(하위항목)을 평가한 뒤 평가지표의 구체적인 프레임을 도출했다. 또한, 평가지표 개발과정의 객관성과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해 도출한 평가지표에 대해 두 차례에 걸친 델파이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16명의 전문가 그룹에 대한 설문조사는 리커트 7점 척도를 적용하여 각 평가항목의 중요성 및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했으며, 타당성과 신뢰성이 검증된 전문가들의 공감대를 바탕으로 했다. 델파이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한 도시재생 산업유산 공유가치 평가지표에서 상위계층은 4가지 가치범주, 중위계층은 10가지 평가요소, 하위계층은 22가지 세부 평가항목을 포함했다. 전문가 설문조사 평가지표 결과를 근거로 하여 1, 2차 설문조사 모두 신뢰도, 수렴도, 합의도, 타당도 검증을 통과했다.
넷째, 2018년 중국도시계획학회에서 발간한 <중국산업유산목록>, 2007년 북경 시정부에서 발간한 <북경시 제11차 5개년 기간 문화창의산업발전계획>, 2013년 중국발전개혁위원회에서 발간한 <전국 구공업기지 조정 및 개조 계획(2013-2022년)> 등 정부기관에서 인증한 자료를 토대로 중국 산업유산 재생사례에 대한 평가지표의 효용성 검증을 했다. 또한, 본 연구의 사례와 관련된 논문과 문헌을 ‘중국지망(中国知网)’을 통해 검색하여 가장 출현 빈도가 가장 높고 재생사업이 이미 완료된 산업유산의 사례를 선별했다. 분석의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례의 공식 홈페이지와 인터넷 검색을 통한 분석을 진행하여 사례의 최근 상황을 파악하고, 각종 전시와 공익 활동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이를 기준으로 선정된 북경 798예술구, 상해 8호교, 광주 태고창 부두의 3가지 사례에 대해 도시재생 산업유산 평가지표를 활용하여 평가 및 분석을 진행했다.
다섯째, 도시재생 산업유산 가치의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현장 설문조사의 형식을 통해 북경 798예술구, 상해 8호교, 광주 태고창 부두의 3가지 사례에 대한 주민과 관광객의 만족도에 대한 조사를 실시했다. 총 338건의 설문조사를 배포하여 유효 설문 300건을 확보하였으며, 합리성 확보를 위해 주민과 관광객의 설문 비율은 50대 50을 유지했다. 설문조사의 결과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신뢰도 분석을 진행했다. 이러한 목적은 산업유산 공유가치에 대한 주민들의 만족도와 평가를 파악하고, 도시재생사업에서 산업유산 공유가치 구축의 향후 방향과 고려 사항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공유가치’의 차원에서 도시재생을 연구하고, 도시산업유산 재생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산업유산 재생의 장소와 공유가치 이론의 연관성을 모색했다. 연구의 목적은 도시재생 산업유산의 가치에 대한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연구결과는 향후 산업유산 공유가치의 개선방안에 대한 이론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현재 중국의 산업유산 공유가치에 대한 연구는 초보적인 단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는 향후 산업유산 공유가치의 개선방안에 대한 이론적 자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중국의 도시재생산업에서 산업유산 공유가치의 지표 개발과 관련된 연구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데 의의를 지닌다.

摘要

随着城市产业结构的变化和无差别的城市扩张,城市的众多传统产业因经营不善、地价上涨、城市环境保护等原因开始逐渐衰退,最终转移到郊区。为了积极应对日益严重的城市衰退,需要通过再生确保城市竞争力和城市复兴的发展目标。因此,作为城市产业再生战略,具体提出了讨论共享价值的必要性。随着"共享"时代的到来,"共享价值"成为了与需要共享的空间、信息、资源的人一起共享,追求公共福利的公共性概念。因此,城市的发展以经济发展、经济发展所必需的政策、企业和社会环境为基础。相反,产业遗产是因企业经营失败和城市迁移而形成的城市结构的一部分。为了更好地利用产业遗产的价值,通过城市再生共享价值理论解决产业遗产价值的理论指导方针,可以成为确保城市再生可持续性的手段。但是,目前对共享价值的研究只停留在企业创造共享价值(CSR)及城市品牌开发层面,因此对产业遗产和城市再生及城市建设的应用和研究不足。在这种背景下,再生后的产业遗产可以通过共享多种资源、空间、场所、活动等来共享价值。这不仅是单纯追求利润对社会贡献的社会责任,而且解决社会问题、创造社会价值、创造经济收益也是废弃和闲置产业再生后的价值体现。
本研究以共享价值理论为基础,将共享价值和产业遗产联系起来,通过共享价值理论体现产业遗产再生带来的效果和价值,由此可以有效地解决城市再生中可能出现的各种问题。另一方面,在社会上重新认识城市再生的定义,引导企业和居民的参与,激活再生地区,同时可以从不同价值的角度观察产业遗产再生后可持续发展的城市发展的潜在价值。因此,比起现有政府主导的城市再生相关研究,更是从价值共享的角度出发,保障产业遗产再生后的经济收益性,不仅对参与企业的利益,对地区居民和城市发展也会产生积极影响。因此,为城市再生的可持续发展提供新的启示,有必要开发城市再生产业遗产的共享价值评价指标。
为了达到预期目的,经过了以下考察和分析过程。
第一,提出了研究背景及必要性,阐述了研究目的和范围及方法,系统地整理了整体研究的流程。 同时,以先行研究为基础,讨论了本研究的启示和差异性。
第二,首先以研究相关的文献资料为基础,对城市再生、产业遗产、共享价值等理论概念进行了考察,掌握并介绍了有关整体产业遗产再生的内容,讨论了城市再生的概念和类型、推进产业遗产再生的必要性,提出了产业遗产再生的可持续发展方向。其次,掌握了共享价值的概念和发展现状,分析了产业遗产场所共享价值的必要性和实行意义。以此为基础,掌握了产业遗产和共享价值的基本介绍和关联性及必要性等资料,并提出了对产业遗产场所共享价值的评价要素和评价细节项目的假设。
第三,为了得出评价指标的价值范畴、评价要素、细节项目,以对"共享价值"和"产业遗产"领域的先行研究为基础,整理并整合了类似价值的概念。通过先行研究得出价值范畴(上位概念),评价要素(中位要素)和具体项目(下位项目)后得出评价指标的具体框架。另外,为了保障评价指标开发过程的客观性和准确性,对导出的评价指标进行了两次德尔福专家的问卷调查。对16名专家组的问卷调查采用7分标准,收集了各评价项目的重要性及专家的意见,以妥当性和可靠性得到验证的专家们的共识为基础。德尔福专家通过问卷调查得出的城市再生产业遗产共享价值评价指标中,上位阶层包括4种价值范畴、中位阶层包括10种评价要素、下位阶层包括22种详细评价项目。以专家问卷调查评价指标结果为依据,第1、2次问卷调查都通过了信赖度、收集度、协议度、妥当度验证。
第四,以2018年中国城市规划学会发行的《中国产业遗产名录》、2007年北京市政府发行的《北京市第11个五年期间文化创意产业发展计划》、2013年中国发展和改革委员会发行的《全国旧工业基地调整及改造计划(2013-2022年)》等政府机关认证的资料为基础,对中国产业遗产再生事例的评价指标的效用进行了验证。 另外,通过"中国知网"搜索与本研究事例相关的论文和文献,筛选出出现频率最高、再生事业已经完成的产业遗产事例。 为了确保分析的准确性,通过事例的官方网站和网络搜索进行分析,掌握事例的最近情况,对各种展示和公益活动进行深层次的理解。 以此为基准,对被选定的北京798艺术区、上海8号桥、光州太古仓码头3个事例,利用城市再生产业遗产评价指标进行了评价和分析。
第五,以城市再生产业遗产价值的评估指标为基础,通过现场问卷调查的形式,对北京798艺术区、上海8号桥、光州太古仓码头3个事例进行了居民和游客满意度调查。 共发放了338件问卷调查,确保了300件有效问卷调查,为了确保合理性,居民和游客的问卷调查比率维持在50比50。 问卷调查结果采用SPSS 23.0程序进行了信赖度分析。 其目的在于掌握居民对产业遗产共享价值的满意度和评价,并提出在城市再生事业中构建产业遗产共享价值的今后方向和考虑事项。
本研究从"共享价值"的角度研究城市再生,以城市产业遗产再生项目为对象,探索了产业遗产再生场所和共享价值理论的关联性。 研究的目的是开发对城市再生产业遗产价值的评估指标,研究结果可以作为今后产业遗产共享价值改善方案的理论资料。 目前,中国对产业遗产共享价值的研究还处于初级阶段。 因此,本研究得出的结果可以用作今后产业遗产共享价值改善方案的理论资料,对于为中国城市再生产业开发产业遗产共享价值指标提供相关研究指南具有重要意义。

Abstract

Due to changes in the urban industrial structure and reckless urban expansion, many traditional industries that existed in cities began to gradually decline due to poor management, rising land prices, and protection of the urban environment, and eventually moved to the suburbs. As such, in order to actively respond to urban decline that is getting serious day by day, it is necessary to secure urban competitiveness through regeneration and develop goals for urban revitalization. Thus, the necessity of discussing shared values as a strategy for urban industry regeneration is being specifically raised. With the advent of the ‘sharing’ era, ‘shared value’ has become a concept of publicity that pursues public welfare by sharing owned space, information, and resources with those in need. Accordingly, urban development is based on economic development, policies necessary for economic development, business and social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industrial heritage is a part of the urban structure formed by business failures and city relocation. In order to better utilize the value of industrial heritage, it can be a means to secure the sustainability of urban regeneration as a theoretical guideline to solve the value of industrial heritage through the theory of shared value through urban regeneration. However, current research on shared value is limited to corporate shared value creation (CVR) and urban brand development, so applications and research on industrial heritage, urban regeneration and urban construction are insufficient. Against this background, industrial heritage after regeneration can share value by sharing various resources, spaces, places, and activities. This is not only a social responsibility for social contribution based on the pursuit of simple profits, but also solving social problems and creating economic profits while creating social values can also be called the realization of value after disposal and regeneration of idle industries.
Based on the shared value theory, this study connects shared values and industrial heritage to show the effects and values of industrial heritage regeneration through shared value theory, and it is determined that various problems that may appear in urban regeneration can be efficiently solved through this study. do. On the other hand, it promotes the revitalization of regeneration areas by socially recognizing the definition of urban regeneration and encouraging the participation of businesses and residents, while at the same time promoting the potential value of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after industrial heritage regeneration with different values. can be view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is ensures economic profitability after industrial heritage regeneration in terms of value sharing rather than the existing government-led research on urban regeneration, and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profits of participating companies as well as local residents and urban development.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new implication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urban regener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valuation index for the shared value of urban regeneration industrial heritage.
In order to achieve this intended purpose, the following consideration and analysis process was carried out.
First, the research background and necessity were presented, the research purpose, scope and method were described, and the overall research process was systematically organized.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and differenti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based on previous studies.
Second, first, based on the literature data related to the study, theoretical concepts such as urban regeneration, industrial heritage, and shared value were considered, and the contents of overall industrial heritage regeneration were identified and introduced. Concepts and types of urban regeneration, industry The necessity of promoting heritage regeneration was discussed and a sustainable development direction for industrial heritage regeneration was suggested. Next, the concept and development status of shared values were identified, and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shared values in industrial heritage sites were analyzed. Based on this, data on the basic introduction, relevance and necessity of industrial heritage and shared values were identified, and hypotheses were presented for evaluation elements and detailed evaluation items of shared values of industrial heritage sites.
Third, in order to derive the value categories, evaluation elements, and detailed items of the evaluation index, the concepts of similar values were organized and integra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the fields of 'shared value' and 'industrial heritage'. Value categories (higher concepts) were deriv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after evaluating evaluation elements (middle elements) and detailed items (lower items), a specific frame of evaluation index was derived. In addition, to ensure the objectivity and accuracy of the evaluation index development process, two Delphi expert surveys were conducted on the derived evaluation indicators. The survey of a group of 16 experts applied the Likert 7-point scale to collect the importance of each evaluation item and the opinions of experts, and was based on the consensus of experts whose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verified. In the evaluation index for the shared value of urban regeneration industrial heritage derived from the Delphi expert survey, the upper class included 4 value categories, the middle class included 10 evaluation factors, and the lower class included 22 detailed evaluation item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ert survey evaluation index, both the 1st and 2nd surveys passed reliability, convergence, consensus, and validity tests.
Fourth, published by the China Urban Planning Association in 2018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regeneration cases of industrial heritage in China, and published by the Beijing Municipal Government in 2007 It was based on data certified by government agencies, such as the Industrial Development Plan> and the National Old Industrial Base Adjustment and Renovation Plan (2013-2022) published by the China Development and Reform Commission in 2013. In addition, the articles and literature related to the case of this study were searched through ‘Chinese Wish (中国知网)’ to select the cases of industrial heritage that had the highest frequency of occurrence and had already completed redevelopment projects. In order to ensure the accuracy of the analysis, we conducted analysis through the case's official website and internet search to understand the recent situation of the case and to understand various exhibitions and public interest activities in-depth. Based on this, evaluati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urban regeneration industrial heritage evaluation index for three cases: Beijing 798 Art District, Shanghai No. 8 Bridge, and Gwangju Taegochang Pier.
Fifth, based on the evaluation index of the urban regeneration industrial heritage value,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atisfaction of residents and tourists in three cases: Beijing 798 Art District, Shanghai No. 8 Bridge, and Gwangju Taegochang Pier. A total of 338 surveys were distributed to secure 300 valid surveys, and the ratio of residents to tourists was maintained at 50:50 to ensure rationality.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nalyzed for reliability by applying the SPSS 23.0 program. The purpose of this is to understand the satisfaction and evaluation of residents for the shared value of the industrial heritage, and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and considerations for building the shared value of the industrial heritage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is study studies urban regeneration in terms of 'shared value' and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ce of industrial heritage regeneration and the theory of shared value for urban industrial heritage regeneration project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n evaluation index for the value of urban regeneration industrial heritage,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research results can be used as theoretical data on ways to improve the shared value of industrial heritage in the future. Currently, research on the shared value of industrial heritage in China is at a rudimentary stage. Therefore,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oretical data on ways to improve the shared value of industrial heritage in the future. It is significant in providing guidelines for research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indicators of shared value of industrial heritage in China's urban regeneration industry.

키워드

  • #도시재생
  • # 산업유산
  • # 공유가치
  • # 델파이(Delphi)
  • # 평가지표

  • #城市再生,产业遗产,共享价值,德尔福(Delphi),评价指标

  • #Nrban regeneration
  • # Industrial heritage
  • # Shared value
  • # Delphi
  • # Evaluation index

참고문헌

[Book]

손은하,『공유 공간과 커뮤니티』, 동북아문화연구, 2012
2. PWC. The Sharing Economy:Sizing the Revenue Opportunity, Looking Ahead, 2015
3. 중국과에서 선전부,『중국 2차 산업유산목록』, 중국도시계획학회, 2019
4. 위쿵젠·팡완리(俞孔坚·方琬丽),『중국 공업유산 탐구(中国工业遗产初探)』, 建筑学报出版社(건축학보 출판사), 2006
5. 김병욱,『델파이(Delphi) 분석방법』, 킴스정보전략연구소, 2015
6. 이종성,『연구방법 21---파이 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2001

[Dissertation]

. 형형칠, 「몸의 지각론에 의한 국내 건축도시재생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2. 이진원,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주거변화 요인에 따른 자립형 스마트 주거 개발에 관한 연구- 에코빌리지 계획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3. 민수영, 「예술 문화의 공유가치 실현을 위한공유경제 활용방안 연구-부산지역의 시각예술계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4. 손지아, 「수변지역 산업유산지 도시재생 공원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1
5. 이경화, 「공유가치 기반 장소 브랜딩 모델에 관한 연구」,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6. 이창구, 「도시재생계획의 지속가능성 사전평가 방법의 적용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7. 李昌求, 「도시재생계획의 지속가능성 사전평가 방법의 적용에 관한 연구」, 仁荷大學校 박사학위논문, 2013
8. 여문정, 「근대산업유산에 기반한 도시재생사례의 장소성 평가 연구」, 동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9. 류동길, 「민참여를 통한 항만형 도시재생사업의 활성화 방안」,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10. 여문정, 「근대산업유산에 기반한 도시재생사례의 장소성 평가 연구」,동서대학교 디자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1. 김형성, 「도시재생사업에서 사회적기업의 역할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안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2. 김형성, 「도시재생사업에서 사회적기업의 역할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안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3. 구본섭, 「도시재생을 위한 산업유산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산업대 석사학위논문, 2008
14. 왕세학, 「근대 산업유산의 재생을 통한 예술창의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5. 柳彰鉉, 「도시재생 측면에서의 근대산업유산 보존과 활용에 관한 연구」, 昌原大學敎 석사학위논문, 2012
16. 김미림, 「산업유산건축물의 재생 활용을 위한 디자인 특성 연구」, 한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7. 손희정, 「근대건축물 보존기법을 활용한 문화공간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8. 왕세학, 「근대 산업유산의 재생을 통한 예술창의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9. 최준혁, 「외식기업의 공유가치창출 활동이 관계 특성 방문의도 정보 확산 의도에 미치는 영향」, 동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1
20. 김세진, 「스포츠공익법인의 공유가치창출(CSV) 활성화 방안」,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최석진, 「국내 기업의 CSR에서 CSV로 전략 변화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22. 이지연, 「페이스북을 통한 CSR 활동의 콘텐츠 구성 전략과 소비자 반응 연구」, 고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23. 김세진, 「스포츠공익법인의 공유가치창출(CSV) 활성화 방안」,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1
24. 박정은, 「도시재생을 위한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 요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25. 진지안, 「업유산공간의 문화적 도시재생에 따른 효과성 연구」, 한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26. 유정, 「도시재생전략으로서 근대산업 유휴공간을 활용한 컨버전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27. 강애진, 「공유가치창출 발전 방안에 대한 디자인적 접근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28. 황순재, 「주민복지를 위한 공공건축의 공간공유가치에 관한 연구」,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29. 이경화, 「공유가치 기반 장소 브랜딩 모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30. 민수영, 「예술 문화의 공유가치 실현을 위한공유경제 활용방안 연구:부산지역의 시각예술계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31. 김윤정, 「공유가치형 지역테마파크 IVCD 프로세스 개발과 스토리텔링」, 광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32. 안지수, 「공유 공간 활용을 통한 도시 기성마을 재생 방안 연구」,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33. 이경화, 「공유가치 기반 장소 브랜딩 모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34. 유승규, 「공유가치창출 경영이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35. 최지영, 「가치사슬 혁신을 통한 공유가치창출 (Creating Shared Value) 전략」,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36. 유보현, 「도시재생을 위한 공간디자인의 가치요소 연구」,경기대학교 미술·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37. 왕세학, 「근대 산업유산의 재생을 통한 예술 창의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38. 최진욱, 「도시재생적 관점의 유휴공간 재생을 통한 지역 활성화 방안 연구」,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39. 화화설, 「장소성 개념을 도입한 폐산업유산의 복합문화공간 재생에 관한 연구」,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1
40. 윤용건, 「도시재생사업의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경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41. 신은주, 「AHP 분석을 통한 도시재생사업 계획지표의 가치평가 연구」,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42. 이정동, 「도시재생사업의 평가지표 도출 및 거버넌스 체계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43. 김경천, 「도시재생 지역선정을 위한 평가요소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44. 장철규, 「도시환경 개선을 위한 도시재생사업 평가 및 시행효과 분석」,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45. 김지현, 「가치기반 공간디자인 마케팅에 관한 연구」,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46. 최지영,「가치사슬 혁신을 통한 공유가치창출 (Creating Shared Value) 전략」,연세대학 석사학위논문, 2020
47. 양혜진, 「창의역량 증진을 위한 대학 강의실 모델 개발」,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48. 안진성, 「델파이 기법(Delphi)과 계층적 의사결정방법(AHP)의 적용을 통한 전통정원의 보존상태 평가지표 개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49. 박미선(朴美善), “사상으로 해석한 798예술구”, 단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Academic Journal]

1.김용창, “새로운 도시발전 패러다임 특징과 성장편익 공유형”, 『공간과 사회』, 2011, 통권 35호 제21권 1호
2. 임체원, 김병섭, “글로벌 위기의 대응으로서 공유가치성장과 관계 국가 모델”, 『행정논문』, 제50원 제3호, 2012
3. 황순재, “공공건축의 공간 공유가치를 통한 주민복지 향상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3, 2018
4. 이일희,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제12권제6호, 2011
5. 강동진, 이석환, 최동식, “산업유산의 개념과 보전방법 분석”,『대한국 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제38권 제2호, 2003
6. 장징위, 윤지영, "산업유산 공간의 사인디자인 평가 및 선호도 연구",『한국 실내 디자인 학회논문집』, 제27권 3호, 2018
7. 정민주·이찬, 「근대산업유산 재생을 위한 커뮤니티디자인 특성 연구」, 한국 실내 디자인학회논문집 제23권 4호 통권105호, 2014
8. 한아름, 곽대영, "산업유산의창의적 활용 방법으로서의 지속가능한 도시재생디자인”,『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9(3), 2013
9. 이규인,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의 추진전략수립 연구”,『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6권제3호, 2010
10. 강충호, "기업의 사회적책임(CSR)과 사회공헌활동”,『노동저널』, 2010
11. 김중인, "박범순, CSR 유형들이 기업평판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의 조절효과”, 『광고학연구』, 25(7), 2014
12. 김욱, "ISO 26000(사회적 책임) 국제표준제정과 이행이 우리 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효율적 대응방안-국내 기업에 대한 ISO 26000 의 영향력 분석을 중심으로”,『품질경영학회지』, 2010
13. 차재혁, 이정연, 김태희, "스포츠 구단의 CSR 활동이 구단자산요인에 미치는 영향 : 윤리적 소비성향의 조절효과”,『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 회지』, 2020
14. 강태균, "사회혁신과 공유도시”,『도시문제』, Vol.47 No.527, 2012
15. 권원용, "공유경제와 도시생활”,『도시문제』, Vol.48 No.540, 2013
16. 김세중, 박의범,"한국기업 CSR 활동의 공유가치창출에 관한 실증연구”,『로고스경영연구』, 2012, 10(4)
17. 정효영, 박정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공기업의 공유가치창출 전략:”,『수자원공사 사례를 중심으로』, 2020
18. 최성보, "CSR·CSV 활동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효과 차이에 관한 연구”,『상품학연구』제36권 2호, 2018
19. 노영희, 정대근, 노지윤, "공유경제시대에서 도서관의 공유가치 실현을 위한 역할 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9권 3호, 2018
20. 황순재, 이은영, 이돈일, “공공건축의 공간 공유가치를 통한 주민복지 향상에 관한 연구”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13권 3호 통권 51호, 2018
21. 권윤구, 주신하, "기업의 공유가치창출을 활용한 도시재생 사례 연구”,『한국도시설계학회지』, 2015, Vol.16(6)
22. 우커스, 김주연, "중국의 재생공간에서 나타난 공유가치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2019, Vol.14(4)
23. 노영희 외, "공유경제시대에서 도서관의 공유가치 실현을 위한 역할 도출에 관한 연구”,『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Vol.9, 2018
24. 우커스 외, "공유경제시대에서 도서관의 공유가치 실현을 위한 역할 도출에 관한 연구”,『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 제14권 4호 통권 58호, 2020
25. 한아름외, "산업유산의 창의적 활용 방법으로서의 지속가능한 도시재생디자인”,『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3), 2013
26. 김용국, "공원 기반 포용적 근린재생사업의 경제적 가치 추정”,『인천연구원』, 제18권, 2020
27. 김영, 이정동, 김경훈, 천성봉, “통합창원시 도시재생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도시행정학보』, 2010, Vol.23(4)
28. 김영욱, 김광호, "뉴미디어의 미래: 델파이 조사와 시나리오 기법을 통한 탐색", 『한국언론진흥재단』, 2010
29. 노승용, "델파이 기법 : 전문적 통찰로 미래예측하기”,『국토연구원』, 2006
30. 이진숙, 류지선, 김한나, 이희원, "실내 거주공간의 적용 색채에 따른 감성어휘의 평가분석”, 『한국색채학회』, 2014, Vol.28(2)
31. Murry, W. J, and J. O. Hammons, Delphi: A Versatile Methodology for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The Review of Higher Education』, 1995, Vol. 18(4)
32. Bryan Walsh, 10 Ideas That Will Change the World-Today’s smart choice: Don't own share, 『TIME』, 2011
33. Business Inside, 2017THE $10 BILLION CLUB: Meet the 8 most valuable startups in the US, 2017
34. Jeremiah Owyang, Honeycomb3.0:The Collaborative Economy Market Expansion, 2016
35. Porter, Michael E. & Kramer, M.R, The Big Idea : Creating Shared Value CSV , Harvard Business Review, Vol.89 Issue 1/2, 2011
36. Carroll,The Pyrami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ward the Moral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Stakeholders, Business Horizons, 1991
37. Jamali, D & Mirshak, 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Theory and Practice in a Developing Country Context, Journal of Business Ethics, 72(3), 2007
38. Porter & Kramer(2011). Creating shared value. Harvard Business Review, 89(1-2)
39. Michael E. Porter & Kramer, M.R., The Big Idea : Creating Shared Value CSV, Harvard Business Review, 2011
40. Dalkdy, C. N., The Delphi Method: An experimental study of group opinion, Rand Corporation Memorandum, 1969
41. Rowe G., and G. Wright, Expert opinions in forecasting: The role of the Delphi technique in J. Armstrong (eds.) Principles of Forecasting, Boston, Kluwer Academic, 2001
42. Anderson, R. D, Strand of system, The Philosophy of Charles Pierce, Purdue University Press, 1977
43. Lawshe, C. H.,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al Psychol, 1975, Vol.28
44. 刘少瑜(류사오위), "从基础到更新--城市再生新策略(기초부터 갱신까지-도시재생신전략)”,『城市设计(도시 설계)』, 2016, Vol.6

[Website]

1.네이버지식백과 사전, "공유가치", https://terms.naver.com/
2. 위키백과,“공유가치창출”, https://ko.wikipedia.org/
3. 위키백과,“도시 재개발”, https://ko.wikipedia.org/
4. 바이두 백과 (百度百科),태고창 부두(太古仓码头),https://baike.baidu.com
5. 네이버,“영국의 지역개발정책과 도시재생”, https://blog.naver.com
6. 식품음료신문:http://www.thinkfood.co.kr
7. 중국 신화통신, "시진핑의 중요한 연설",http://www.gov.cn/xinwen
8. 시나파이낸셜뉴스, "기업의 사회적 책임,"https://finance.sina.cn/
9. 인민정보,“공익예술전”,https://baijiahao.baidu.com
10. 소양교육신문,“798사랑의 바자”, https://baijiahao.baidu.com
11. 공식 웹사이트상해,“상해 8호교”, https://www.ulouban.com/8haoqiao
12. 국토해양부“도시재생사업단”, http://kourc.or.kr
13. 바이두,“798 대강당 교육 캠페인”, http://www.shengshibao.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