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학위논문박사논문(PhD Theses)

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D.2019.08_07

제품 디자인 감성 측정 방법 개발 연구 产品设计感性测定方法开发研究 A Study on the Boundary and Transition of Korean Traditional Housing

  • Name : 黄超ㅣHUANG CHAO
  • Info : 박사학위논문ㅣ博士学位论文ㅣDoctor's thesisㅣ2019.08
  • Adviser : 고정욱ㅣ高正旭ㅣGo, Jung-Wook
192.168.95.161

초록

수많은 첨단 기술들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 현 사회에서 수많은 제품들은 사용자 감성에 중점을 두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제품디자인 개발과정에서 사용자 집단의 감성을 공감하고 분석하기 위한 방법”연구는 디자인 분야의 더욱 중요한 연구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이론 고찰”부의 선행 연구에서 알 수 있듯이 기존 감성 측정 방법은 제품 디자인 과정에서 실제 활용하기에 어려운 점이 많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감성 측정 방법에 비해 실무 제품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실질적 활용성이 높은 사용자 감성 측정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실무적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최종 디자인안 제시” 및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 평가” 단계별 활용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이 4단계로 이루어졌다.
1단계, “감성 측정 방법”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통하여 기존 감성 측정 방법은 경험적, 생리적, 행위적 3가지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경험적 감성 측정 방법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자기-보고법(Self-Report)을 이용하여 감성 어휘 및 5점 측도법을 활용하여 해변 벤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경험적 측정 방법의 장단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RISS, Google Scholar, 知网(중국), Science Direct 등 학술정보 포털 사이트에서 “감성 측정”, “생리적 감성 측정 방법” 키워드로 검색하여 관련도가 높은 논문을 고찰하여 생리적 감성 측정 방법의 장단점을 도출하였다. 행위적 감성 측정 방법 중 대표적인 표정 부호화 시스템(Facial Action Coding System)을 이용하여 일반 사용자 10명을 대상으로 제품 자극물에 대한 얼굴 표정을 촬영하였으며 FACS 2002 해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행위적 감성 측정 방법이 제품 디자인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장단점도 도출하였다.
2단계, 기존 선행 연구 3가지 감성 측정 방법의 장단점을 비교하고 정리하여 경제성, 객관성, 정확성, 용이성, 측정 범위 총 5개 감성 측정 방법 평가 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감성 측정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기존 감성 측정 방법을 평가 요소별로 평가하였다. 인터뷰 결과에 바탕으로 제품 디자인에 적용하는 감성 측정 방법 개발의 방향성을 파악하였다.
3단계, 2단계 연구에서 감성 측정 방법 개발 방향성을 기반으로 언어적 방법 및 비언어적 방법 융합된 새로운 제품 감성 측정 프로그램(Product Emotion Measurement Program, PEMP)을 개발 제안하였다. PEMP를 개발하기 위하여 이론적 고찰을 통해 총 322개 감성 어휘를 수집하였으며 제품 사용자 감성 유형 설문 조사를 통해 “Desire, 갖고 싶다, 渴望的”, “Like, 좋아하다, 喜欢的”, “Interested, 관심 있다, 感兴趣的”, “Joy, 기쁘다, 愉快的”, “Satisfaction, 만족하다, 满意的”, “Relaxed, 편안하다, 放松的”, “Excited, 신나다, 兴奋的”, “Amazing, 놀라움, 惊喜的”, “Boredom, 지루하다, 无聊的”, “Confusion, 당혹스럽다, 困惑的”, “Disgust, 혐오감, 嫌恶的”, “Disappointment, 실망하다, 失望的” 총 12개 감성 유형을 도출하였다. 또한, 각 감성 유형의 이모티콘을 개발하여 테스트 2번을 통해 최종 12개 감성 이모티콘을 확정하였다. PEMP는 특정한 실험실이나 측정 장비가 없어도 PC 프로그램을 통해서 사용자들이 제품에 대한 12가지 감성 유형 및 감성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다.
4단계, 실무적 제품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에서 PEMP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제품 디자인 전문가 검증 및 피실험자 검증 2집단으로 나누었다. 제품 디자인 전문가 검증은 실무적 제품 디자인 개발 환경에서의 5명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이용하여 PEMP의 활용 가능성, 장단점, 개선점 등을 검증하였다. 피실험자 검증은 일반 제품 사용자 20명을 대상으로 PEMP를 실행하여 PEMP의 사용성(usability)을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제적인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최종 디자인안 제시 단계” 및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 평가 단계” 2가지 단계를 선정하여 PEMP의 활용 방법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사용자 감성을 사전 평가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제품 감성 측정 프로그램(PEMP)이다. 또한, 개발된 PEMP는 실제적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최종안 선정하거나 소비자 감성 사전 평가하기에 대한 활용 방안을 제언하였다.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실적인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앱이나 펀딩 사이트 등 다양한 미디어와 결합하여 제품 디자인에 대한 사용자 감성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감성을 강조하는 제품 디자인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감성 측정 방법으로 기대된다. 또한, 다른 디자인 분야에서 감성 측정 방법 개발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摘要

在当今社会许多尖端技术日益发展,许多产品正朝着以用户感性为重点的方向发展。 在这样的背景下,"在产品设计开发过程中对用户群体的感性产生共鸣的分析方法"的研究成为设计领域更为重要的研究课题。但从"理论考察"的先行研究中可以看出,现有的感性测定方法在产品设计过程中很难实际应用。对此,本研究的目的在于开发比现有感性测定方法在实务产品设计流程中具有较高实际利用性的使用者感性测定方法。另外,在实务产品设计流程中,将提出"最终设计方案提出"和"消费者对设计的评价"各阶段活用方案。为此,研究的进行过程分为以下四个阶段。
第一阶段,通过对"感性测定方法"的先行研究,现有的感性测定方法可以分为经验性、生理性、行为性3种方法。 利用体验性感性测定方法中使用最广泛的自我-报告法(Self-Report)利用感性词汇及5分测量法,以海边长椅使用者为对象进行了问卷调查,并找出体验性测定方法的优缺点。另外,通过理论考察,在RISS、Google Scholar、知网(中国)、Science Direct等学术信息门户网站上用"感性测定"、"生理性感性测定方法"关键词检索相关度高的论文,从而得出生理性感性测定方法的优缺点。 利用行为性感性测定方法中的代表性表情编码系统(Facial Action Coding System),以10名普通用户为对象,拍摄了关于产品刺激物的面部表情,通过FACS 2002解析方法进行了分析。 行为性感性测定方法推导出在产品设计上应用过程中的优缺点。
第二阶段,梳理了已有的先行研究三种感性测定方法的优缺点,推导出经济性、客观性、准确性、容易性、测定范围共5个感性测定方法评价要素。另外,以感性测定专家组为对象进行了深层采访,对现有的感性测定方法按评价要素进行了评价。 以采访结果为基础,掌握了开发适用于产品设计的感性测量方法的方向性。
在第三阶段,以第二阶段研究中提议的以感性测定方法开发方向性为基础,开发融合语言方法和非语言方法的新产品感性测定项目(Product Emotion Measurement Program, PEMP)。 为了开发PEMP,通过理论考察共收集了322个感性词汇,通过产品使用者感性类型问卷调查,收集了“Desire, 渴望的”, “Like, 喜欢的”, “Interested, 感兴趣的”, “Joy, 愉快的”, “Satisfaction, 满意的”, “Relaxed, 放松的”, “Excited, 兴奋的”, “Amazing, 惊喜的”, “Boredom, 无聊的”, “Confusion, 困惑的”, “Disgust, 嫌恶的”, “Disappointment, 失望的”等,推导出12个感性类型。另外,还开发了各感性类型的表情,通过测试2号最终确定了12个感性表情符号。 PEMP是没有特定的实验室或测定设备,也可以通过PC程序,测定使用者对产品的12种感性类型及感性程度的方法。
第四阶段,为了验证PEMP在实务性产品设计开发过程中的应用可能性,分为产品设计专家验证及被实验者验证二组。产品设计专家验证是在实务性产品设计开发环境下对5名专家进行深层访谈,验证PEMP的应用可能性、长短处、改善点等。 被实验者验证是以20名普通产品使用者为对象,实行PEMP,评价PEMP的使用性(usability)。 最后在实际产品设计流程中,选定"最终设计方案提出阶段"及"消费者对设计的评价阶段"两个阶段,提出PEMP的应用方法。
本研究结果是在产品设计流程中,能够以事前评价的方式利用使用者感性的产品感性测定程序(PEMP)。 另外,开发的PEMP在实际产品设计流程中,提出了最终方案选定或事前评价消费者感性的应方案。
期待今后以本研究为基础,在实际的产品设计流程中,结合应用程序或基金网站等多种媒体,制作出对产品设计的使用者感性数据库,成为强调感性的产品设计起到帮助的感性测定方法。 另外,在其他设计领域也可以作为感性测量方法开发研究的基础资料。

Abstract

In today’s society where many new technologies are developing, countless products are also making progress in the direction of emphasizing users’ emotions. In the field of design research and product design and development, the analysis of users’ emotion has become a more important topic. However, as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shows,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existing emotional measurement methods in product desig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 emotional measurement method with higher application probability than the existing emotional measurement method in the actual product design process. It also proposed two application schemes, “presentation for final design” and “customer feedback”, in the actual product design process.
The research process of this paper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four stages.
In the first stage, according to the previous research of “emotional measurement methods”, the existing emotional measurement method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experiential,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Specifically, this study used Self-report, emotional vocabularies and Likert Scale, which are the most widely-used empirically emotional measurement methods, to conduct a questionnaire among seaside seat users and then get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xperientially emotional measurement methods. Moreover,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in the academic information retrieval website, such as RISS, Google Scholar, CNKI and Science Direct, it took “emotional measurement” and “physiological emotional measurement method” as the keywords to search and examined the highly relevant papers, summariz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physiologically emotional measurement methods. Finally, this study adopted the most representative Facial Action Coding System in behaviorally emotional measurement methods. With 10 ordinary users as objects, the facial expressions in response to specific products are photographed and recorded. Then through the analysis of FACS2002 analytical method, it obtaine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behaviorally emotional measurement methods in the process of product design.
In the second stage, after comparing and sorting out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three emotional measurement methods in the existing prior research, five evaluation elements of the methods, including economy, objectivity, accuracy, accessibility and measurement range, are obtained. In addition,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a panel of experts on emotional measurement and evaluated the existing emotional measurement methods with evaluation elements. According to the interview results, it deducte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emotional measurement method suitable for product design.
As for the third stage, it based on the development orientation of emotional measurement method in the second stage, and then proposed a Product Emotion Measurement Program (PEMP) integrating the linguistic method and non-linguistic method. In order to develop PEMP, 322 affective words were collected through theoretical investigation, and 12 emotional types, including “desire, like, interested, joy, satisfaction, relaxed, excited, amazing, boredom, confusion, disgust and disappointment”, were derived from the questionnaire of users’ emotional types. This study then identified 12 emotional types through two tests and developed corresponding emoticons for each of them. It is worth mentioning that PEMP is a method that can measure 12 kinds of emotional types and emotional degrees of users for products through PC program without special laboratory or measuring equipment.
Then in the fourth stage, in order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PEMP in the actual product design and development process, the validation study was divided into two parts: product design expert validation and testee validation. The product design expert verification was conducted by depth interviewing with five experts working in the actual product design and development environment to verify the application possibility,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d improvement of PEMP. The testee validation was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PEMP after the general product users have actually operated PEMP. Finally, this study selected “the proposal stage of final design scheme” and “the consumer rating stage” in the actual product design process to propose the practical application method of PEMP.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 Product Emotion Measurement Program (PEMP) which measures user's emotion in the product design process by pre-evaluation. This study proposes PEMP's application of "final scheme selection" and "pre-evaluation of consumer emotion" in the actual product design process.
Based on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PEMP could be used to build user emotional database about product design in combination with app or funding site and other diverse media in the actual product design process, so as to help design emotional measurement methods for emotional products. It is also expected that this study could be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measurement methods in other design fields.

키워드

  • # 제품 디자인 # 감성 측정 방법 # 제품 감성 측정 프로그램

  • # 产品设计 # 感性测定方法 # 产品感性测定程序

  • # Product design # Emotion measurement method # Product emotion measurement program

참고문헌

[Book]

1. 고정욱, 『제품디자이너를 위한 IDEA발상』, 한국산업인력공단, 2014
2. 김대식, 최장욱, 『뇌파 검사학』, 고려의학, 2001
3. 도널드 노먼, 『감성 디자인』, 학지사, 2011
4. 박경수, 『감성공학 및 감각생리』, 영지문화사, 2000
5. 톰 툴리스, 빌 알버트, 『사용자 경험 측정』, 지앤선, 2009
6. 홍성수, 『산업디자인 이론과 실제의 적용 사례』, 디자인하우스, 2007
7. Bella Martin, Bruce Hanington, 유다혜, 이유미 옮김, 『디자인 방법론 불변의 법칙 100가지』, 고려문화사, 2013
8. Brooke J. SUS-A quick and dirty usability scale. Usability evaluation in industry, CRC Press, 1996
9. Cathrine V. Jansson-Boyd, 양병화 옮김, 『소비자 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10
10. Daniel Kahneman, 이진원 옮김, 『생각에 관한 생각』, 김영사, 2012
11.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11
12. James Coan, Handbook of Emotion Elicitation and Assessment-The Specific Affect Coding System (SPAFF),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13. Jeffrey F. Cohn Zara Ambadar Paul Ekman, Observer-Based Measurement of Facial Expression With the Facial Action Coding System, The handbook of emotion elicitation and assessment, 2007
14. J. J. Carr and J. M. Brown, Introduction to Biomedical Equipment Technology, Prentice Hall, Columbus, Ohio, 2001
15. John Chris Jones, Design Methods: Seeds of Human Future, John Wiley&Sonns, New York, 1980
16. J. Webster, Medical Instrumentation: Application and Design, JohnWiley & Sons, Inc., NJ, 2010
17. P. Ekman and W. Friesen, Unmasking the face: A guide to recognizing emotions from facial clues, ISHK, 2003
18. P. Ekman and W. Friesen. Facial Action Coding System: A Technique for the Measurement of Facial Movement.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Palo Alto, 1978
19. Pieter M.A. Desmet, Measuring Emotions-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instrument to measure emotional responses to products, Funology: from usability to enjoyment,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03
20. Randy J. Larsen and Barbara L. Fredrickson, Measurement Issues in Emotion Research, Foundations of hedonic psychology, New York: Russell Sage, 1999
21. Richard W. Robins, R. Chris Fraley, Robert F. Krueger, Handbook of Research Methods in Personality Psychology, The Guilford Press, 2007
22. Robert Plutchik, The Emotions,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91
23. Tony Buzan, 권봉중 옮김, 『마인드맵 북』, 비즈니스맵, 2010

[Dissertation]

1. 강재우, 「차세대 모니터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감성 디자인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7
2. 김정호, 「영역별 감성사전 구축을 위한 그래프 기반 방법」,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3. 송임숙, 「아이트래킹 기기를 활용한 제품 디자인 데이터 개발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테크노디자인 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4. 윤재호, 「감성적 소비가치 성향과 스마트폰 사용자 경험이 제품만족 및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4
5. 이재화, 「제품 사용 환경의 사용자 초기 감성 측정 시스템과 분석 도구 개발」, 한국과학기술원 석사학위논문, 2009
6. 임수현, 「심전도 임펄스 응답 표현에 의한 개인 식별」,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7. 임성진, 「감성 어휘와 얼굴표정을 기반으로 한 사회감성 통합모델」,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8. 한명흠, 「감성어휘를 통한 공간환경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Academic Journal]

1. 김민성, "학습상황에서 정서의 존재", 『아시아교육연구』, 2009, Vol.10(1)
2. 김서인, 김동성, 김종우, “국내 주요 10대 기업에 대한 국민 감성 분석: 다범주 감성사전을 활용한 빅 데이터 접근법”, 『지능정보연구』, 2016, Vol.22(3)
3. 두경일, “사용자 태도에 근거한 가치공학적 UX/UI 디자인 평가모형 연구”,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02, Vol.21
4. 박미자, 신수길, 한광희, 황상민, “감성 측정을 위한 우리말 형용사의 의미구조”,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996, Vol, 1(2)
5. 박준영, 박장현, 박지형, 박동수, “생체신호 분석을 통한 인간감성의 측정”,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2003
6. 변재형,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공공기관 웹사이트의 홈페이지 기획”,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2013, Vol.12(2)
7. 손진훈, “생리 신호를 이용한 감성 측정”, 『한국정밀공학회지』, 2001, Vol.18(2)
8. 이재화, 이건표, “제품 사용 환경의 사용자 초기 감성 측정 방법에 관한 연구 ”, 『감성과학』, 2010, Vol. 13(1)
9. 이창윤, 조영환, 흥훈기, “감성측정 테크놀로지의 교육적 활용방안 탐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5, Vol.15(8)
10. 정상훈, “제품 사용 중 사용자의 감성 측정을 위한 자기-보고 질문지형 척도 개발”, 『감성과학』, 2007, Vol.10(3)
11. 정상훈, 이건표, “감성어휘 로깅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제품 사용중 사용자의 감성변화 연구”, 『감성과학』, 2006, Vol. 9(3)
12. 정상훈, 이건표, “제품 사용중 표출되는 사용자의 감성 측정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006, Vol.19(2)
13. 정효일, 길태숙, 황유선, “감성 진단칩(Emotion-on-a-chip, EOC): 인간 감성측정을 위한 바이오칩기술의 진화”, 『감성과학』, 2011, Vol. 14(1)
14. 차예술, 김지혜, 김종화, 김송이, 김동근, 황민철, “SNS 사용자의 관계유형에 따른 사회감성 모델의 타당화 분석”, 『감성과학』, 2012, Vol.15(2)
15. 최은신, “엑스포 파빌리온에서 감성 디자인 표현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16, Vol.22(3)
16. 홍성수, “감성디자인 트렌드에 의한 DMB 휴대폰 디자인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09, Vol.15(4)
17. 황차오, 고정욱,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를 위한 표정 부호화 시스템(FACS) 적용성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9, Vol.19(3)
18. 冯玲, 基于PAD三维情感测量的分形图评价, 『泰山学院学报』, 2014, Vol.36(3)
19. 姜媛, 林崇德, “情绪测量的自我报告法述评”, 『Journal of Capital Normal University』, 2010, Vol.10(6)
20. 林丽, 阳明庆, 张超, 刘玲玲, “产品情感研究及情感测量的关键技术”, 『图学学报』, 2013, Vol.34(1)
21. 宁平, 罗峥, “用户体验的生理心理测量技术评介”, 『心理技术与应用』, 2014, Vol.7(11)
22. 谭傲楠, 李洪海, “产品情感化设计研究文献综述”, 『设计』, 2016, No.27
23. Chin J P, Diehl V A, Norman K L.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measuring user satisfaction of the human-computer interface,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ACM, 1988
24. Dosun Shin, Zheng Wang, “Make Product Alive: Applying Emotional Design in Health Care Products”, 『대한인간공학회』, 2014
25. Dr. Ondrej Mitas, Measuring tourists' emotions, NHTV, Breda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2014
26. Gregory P. Strauss & Daniel N. Allen, The experience of positive emotion is associated with the automatic processing of positive emotional words,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2006, Vol.1(3)
27. K. Lee, J. A. Self and H. Hong, Aesthetic Product Interaction: The Necessity of Consistency Between Function&Emotion, Proceedings of the DESIGN 2018 15th International Design Conference, 2018
28. Lisa Feldman Barrett, James A. Russell, Independence and Bipolarity in the Structure of Current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8, Vol. 74(4)
29. Liping Shen, Minjuan Wang, Ruimin Shen, Affective e-Learning: Using “Emotional” Data to Improve Learning inPervasive Learning Environment, Educational Technology&Society, 2009, Vol.12(2)
30. Michalis Feidakis, Thanasis Daradoumis, Santi CaballÚ, Emotion Measurement in Intelligent Tutoring Systems: What, When and How to Measure, 2011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Networking and Collaborative Systems, 2011
31. P.M.A. Desmet, P. Hekkert, J.J. Jacobs, Whena Car Makes You Smil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Instrument to Measure Product Emotion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2000, Vol.27
32. Pieter Desmet, Paul Hekkert, Framework of Product Exper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Design, 2007, Vol.1(1)
33. Pieter Desmet, Measuringemoti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instrument to measure emotional responses to products, Funology, Springer, Dordrecht, 2003
34. R. Pekrun, The control-value theory of achievement emotions: Assumptions, corollaries,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research and practice,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2006, Vol.18(4)
35. Thomas Tullis, Jacqueline N. Stetson, A Comparison of Questionnaires for Assessing Website Usability, Usability professional association conference. 2004, Vol.1
36. V. Tran, The use, overuse, and misuse of mood, and emotion in organizational research, In Research on emotion in organizations, 2007, Vol.3
37. Vinkers C H, Tijdink J K, Ote W M. Use of positive and negative words in scientific PubMed abstracts between 1974 and 2014: retrospective analysis, British Medical Journal, 2015, 351: h6467
38. Westerink J, Ouwerkerk M, de Vries G J, et al. Emotion measurement platform for daily life situations,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ffective Computing and Intelligent Interaction and Workshops, IEEE, 2009
39. Yue Chen, Qin Gao, Qiaolu Lv, Nan Qian, Liang Ma, Comparingmeasurements for emotion evoked by oral care products,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2018, Vol.66

[Website]

1. Facial Action Coding System (FACS)–A Visual Guidebook, https://imotions.com/blog/facial-action-coding-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