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NO.M.2021.02_08

쑤저우박물관의 공간디자인에 나타난 지역적 특성 연구 苏州博物馆空间设计中的区域性研究 A Study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n Space Design of Suzhou Museum

  • Name : 홍호(洪昊)/HONG HAO
  • Info : 석사학위논문/硕士学位论文/Master's thesis/ 2021.02
  • Adviser : 윤지영/尹智映/Yoon Jiyoung
192.168.95.172

초록

본 연구는 모더니즘에서 야기된 보편적인 단일한 스타일에 대한 루이스 멈포드(Lewis Mumford)의 반론과 그에 따른 지역주의 개념에 대한 고찰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루이스 멈포드와 우량룡 등의 지역주의 사상은 국제화, 모더니즘, 신기술 등과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의 문화와 특성에 바탕을 두고 지속가능한 개발과 국제화를 추진할 필요가 있음을 주창하고 있다. 수많은 문화 건축이 양산되고 있는 현재 중국의 상황에서 지역성에 토대한 문화 건축에 대한 연구와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지역주의 건축사상과 이론에 관한 문헌 자료를 고찰하여 건축의 지역성을 분석하기 위한 틀을 설정하고, 이 분석 틀을 토대로쑤저우 박물관에서 나타나는 지역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지역성 관점에서 지리 환경적 특성, 인문 사회적 특성, 경제 기술적 특성을 파악한다. 또한, 이러한 지역적 특성이 장소 맥락, 공간 배치, 건축 형태, 구조, 재료 등의 건축 요소와 연계하여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분석하여 중국 현대 문화건축의 지역적 특성을 다각도에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쑤저우 전통 건축에서 나타나는 지역성과 발전 트렌드를 파악하고, 지역 문화의 보존 및 개발과 관련하여 21세기 중국 현대 문화건축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내용과 방법을 정리하였다.
제2장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 현대 지역주의, 장소성 이론와 지역성의 개념을 고찰하고 현대 건축에서 나타나는 지역성의 함의와 관련 내용을 고찰하였다. 1920년대 루이스 멈포드가 재구성한 지역주의 건축사상에서 출발하여 알렉산더 테조니스, 케네스 프람턴 등 건축학자가 1980년대 제시한 ‘비판적 지역주의’와 중국학자 우량용(吴良镛)의 ‘광의의 건축 - 지역론’ 및 정지엔(曾坚)의 ‘지속 가능한 지역 건축 모델’을 결합해 현대 지역주의 건축이론의 발전 맥락과 개념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현대 건축에서 지역성의 함의와 건축의 본질적 속성으로서의 ‘지역성’의 의미를 종합하였다.
제3장에서는 쑤저우박물관 신관의 공간 디자인을 분석했다. 쑤저우박물관과 주변 환경의 관계, 즉 졸정원과 충왕부의 위치 연계 관계와 역사 문화 발전 그리고 전시 내용 등을 다루었다. 쑤저우박물관의 외부 환경 디자인은 기하 형태를 적용하여 새로운 건축 자재로 전통적인 건축 자재를 대체하였으며, 쑤저우의 전통적인 벽면 색상을 사용해 쑤저우 전통 건축의 지붕이 연상되게 하였다. 쑤저우박물관의 인테리어 디자인 중 정원 디자인은 박물관의 하이라이트라고 할 수 있는데, 쑤저우의 전통 정원 디자인의 특성을 살려 정원과 박물관을 유기적으로 결합했다. 빛을 충분히 사용해 자연광을 실내로 굴절 시켜 박물관의 조명 역할을 하게 하였다. 또한 디테일 처리에 있어서 쑤저우의 전통 정원 디자인인 차경(借景: 조경(造景) 예술에서, 정원 밖의 경물을 빌거나 정원 내의 각 풍경들을 서로 잘 조화시켜 일체화함)기법을 사용해 쑤저우박물관에 관상적 가치를 더했다.
제4장에서는 쑤저우 박물관건축에서 나타나는 지역적 특성과 건축 요소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장소 맥락, 공간 배치, 건축 형태, 구조, 재료’를 포함한 건축 요소룰 ‘지리 환경적 특성, 인문 사회적 특성, 경제 기술적 특성’과 연계한 매트릭스 테이블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현대 중국 전통건축에 존재하는 지역성의 공통점과 특성을 도출하였다.
향후 건축 디자인 및 건축 과정에서는 자원 소비적인 발전 모형을 감소 시키고 ‘규제’ 속에서 발전을 추구함으로써 건축과 지역의 현실적 여건 사이에서 균형을 찾아야 할 것이다. 또한 인간 중심 사상을 관철하여, 인간성의 특수성을 건축 환경에 녹여내 현지에 뿌리내릴 수 있는 문화 건축 공간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즉 지리적 환경, 인문 사회, 경제적 기술의 차원에서 건축 디자인 전반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특정 지역의 현실적 여건과 내재적으로 결합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摘要

本研究起源于路易斯•芒福德(Lewis Mumford)对现代主义所引起的普遍单一风格的反驳和对随之而来的地区主义概念的考察。特别是,路易斯•芒福德和吴良镛等地区主义思想主张,不应与国际化、现代主义、新技术等对立,而应以地区的文化和特性为基础,推进可持续开发和国际化。在大量建造文化建筑的中国,有必要对以地域性为基础的文化建筑进行研究和分析。
本研究的目的在于考察有关现代地区主义建筑思想和理论的文献资料,为分析建筑的地域性设定框架,并以此分析框架为基础,掌握苏州博物馆出现的地区特性。从地区性角度出发,掌握地理环境特性、人文社会特性、经济技术特性。另外,通过分析这些地区特性与场所脉络、空间布局、建筑形态、结构、材料等建筑要素的结合,从多角度考察中国现代文化建筑的地区特性。最终本研究把握苏州传统建筑中出现的区域性和发展趋势,并就区域文化的保存与开发,为21世纪中国现代文化建筑指明前进的方向。
第一章梳理了研究的背景、目的、内容和方法。
第2章通过文献考察,考察了现代地区主义、场所性理论和地区性的概念,考察了现代建筑中体现的地区性含义和相关内容。从20世纪20年代路易斯•芒福德重构的地域主义建筑思想出发,结合亚历山大•特佐尼斯、肯尼斯•弗兰顿等建筑学家20世纪80年代提出的"批判性地区主义"和中国学者吴良镛的"广义建筑-地区论"及曾坚的"可持续的地区建筑模式",整理了现代地区主义建筑理论的发展脉络和概念。最后综合了现代建筑中地域性的含义和作为建筑本质属性的"地域性"的意义。
第三章分析了苏州博物馆新馆的空间设计。该书主要讲述了苏州博物馆与周边环境的关系,即拙政园与忠王府的位置联系关系和历史文化发展以及展览内容等。苏州博物馆的外部环境设计采用几何形态,用新的建筑材料代替了传统的建筑材料,使用了苏州传统的墙面颜色,让人联想到苏州传统建筑的屋顶。在苏州博物馆的装修设计中,庭院设计可以说是博物馆的一大亮点,充分发挥苏州传统庭院设计的特点,将庭院和博物馆有机结合。充分利用光线,将自然光折射到室内,起到博物馆的照明作用。另外,在细节处理方面,采用苏州传统庭院设计借景(在造景艺术中,将庭院外的景物或庭院内的各风景相互协调一体化)技法,为苏州博物馆增添了观赏价值。
第四章分析了苏州博物馆建筑中体现的地域特点和建筑要素的关联性。将"场所脉络、空间布局、建筑形态、结构、材料"等建筑要素与"地理环境特性、人文社会特性、经济技术特性"相连接的矩阵表进行分析。以此分析结果为基础,得出了现代中国传统建筑中存在的地域性共同点和特性。
在今后的建筑设计及建筑过程中,应该减少资源消耗型的发展模式,在"规制"中追求发展,在建筑与地区的现实条件之间寻找平衡。另外,要贯彻以人为本的思想,将人性的特殊性融入建筑环境,构建扎根当地的文化建筑空间。即,从地理环境、人文社会、经济技术角度出发,在发展整体建筑设计的同时,应探索与特定地区现实条件内在结合的方法。  

Abstract

This study began with an examination of Lewis Mumford’s counterargument to the universal monolithic style arising in modernism and the subsequent concept of regionalism. In particular, regionalist ideas such as those of Lewis Mumford and Wu Liangyong do not oppose internationalization, modernism, and new technology, but rather advocate the need to pursu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nternationalization based on regional culture and characteristics. Currently in China, numerous pieces of cultural architecture are being mass-produced, thereforeresearch and analysis on cultural architecture based on regionalism are necessary to be condu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framework for analyzing architecture’s regionalism by examining literature on modern regionalist architectural ideas and theories, and identifying regional characteristics apparent in the Suzhou Museum based on the framework. It identified geographical-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human-social characteristics, and economic-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from a regional perspective. In addition, these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linked to architectural elements, such as location context, spatial arrangement, architectural form, structure, and materials, to analyze how they are shown and to examin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modern Chinese cultural architecture from various perspectives. Ultimately, this study identified regionalism and development trends in Suzhou’s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modern Chinese cultural architecture in the 21st century by relating to the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regional culture.
Chapter 1 summarized the background, purpose, content, and methods of the study.
Chapter 2 examined modern regionalism, location theory, and regional concept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vestigated implications of regionalism in modern architecture and related content. Beginning from regionalist architectural ideas reconstructed by Lewis Mumford in the 1920’s, it analyzed the context and concepts of the development of modern regionalist architectural theories by combining “Critical Regionalism” of architects from the 1980’s, such as Alexander Tzonis and Kenneth Frampton, with “Architecture of Vastness – Regionalism” of Wu Liangyong and “Sustainable Regional Architectural Models” of Zheng Zhiyan. Lastly, it combined the regionalist implications of modern architecture and the meaning of ‘regionalism,’ which is an essential architectural attribute.
Chapter 3 analyzed the space design of Suzhou Museum’s new building. It cov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zhou Museum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namely the relationship between Humble Administrator’s Garden and Zhong Wang Fu’s locations, historical-cultural developments, and exhibition content. The exterior environmental design of the Suzhou Museum replaced traditional building materials with new architectural materials using geometric forms. Suzhou’s traditional wall colors were used to recall the roof of Suzhou’s traditional architecture. Among the Suzhou Museum’s interior design, the garden design is the highlight of the museum. Suzhou’s traditional garden design characteristics have been enhanced to combine the garden and the museum organically. Natural light refracts into the interior by using enough light to serve as lighting for the museum. As for the details, the borrowed scenery (借景: in landscaping art (造景), the scenery of the season outside the garden is borrowed or sceneries within the garden are harmonized for unification) technique of Suzhou’s traditional garden design was used to add contemplative value to Suzhou Museum.
Chapter 4 analyze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uzhou Museum’s architecture and its association with architectural elements. It was analyzed as a matrix table linking architectural element rules of ‘geographical-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human-social characteristics, and economic-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location context, spatial arrangement, architectural form, structure, and material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commonalities and characteristics of regionalism in modern Chinese traditional architecture were deducted.
Henceforth, in architectural design and architectural processes, it will be necessary to reduce resource-consumable development models and seek development within the ‘regulation’ to find a balance between architecture and real conditions of the region. It is also necessary to implement human-centered ideas to apply distinct characteristics of human nature into the architectural environment and establish cultural architectural space rooted in the region.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develop an overall architectural design in terms of the geographical-environment, human-social, and economic-technology, while inherently combining it with the real conditions of the particular region.

키워드

  • #쑤저우 박물관
  • # 지역성
  • # 지리 환경적 특성
  • # 인문 사회적 특성
  • # 경제 기술적 특성

  • #苏州博物馆, 地域性, 地理环境特性,人文社会特性,经济技术特性

  • #Suzhou Museum
  • # regionalism
  • # geographical-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 # human-social characteristics
  • # economic-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참고문헌

[Book]

루이스 멈퍼드. 『도시발전사』. 베이징: 중국건축공학출판사 1985.
2. Alexander Tzonis, 『Critical regionalism: Architecture and ldentity in a Globalized World』, China Architecture & Building Press, 2007,
3. Kenneth Frampton, 『Modern Architecture: A Critical History』, Thames and Hudson Ltd, 1992
4. 王受之, A History of Modern Architecture, China Architecture & Building Press, 1992.
5. Lewis Mumford, 『The Culture of Cities』, HARCOURT ․ INC, 1970,
6.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Environmental Design in the Regional Contexts for Generations』, SHOKOKUSHA Publishing Co, 2010.
7. Norberg Schulz, 『Roots of Modern Architecture』, A.D.A. Press, 1988,
8. Kenneth Frampton, 『Towards a Critical Regionalism: Six Points for an Architecture of Resistance』, Seattle: Bay Press, 1988,
9. Kenneth Frampton, 『Modern Architecture: A Critical History』, Thames and Hudson Ltd, 1992,
10. 우량용(吴良镛), 『광의건축학(广义建筑学)』, China Architecture & Building Press,1989
11. Lewis Mumford, 『The Culture of Cities』, HARCOURT ․ INC, 1970,
12. 국제건축가협회(UIA), 『Beijing Charter』, 1999.
13. 포가성(鲍家声), 『Lessons on Architectural Design』, China Architecture & Building Press, 2009
14. Norberg Schulz, 『Genius Loci: Towards a phenomenology of architecture』, Mondadori Electa, 1995,
15. 장통(张彤), 『Holistic Regionalism of Architecture』, Southeast University Press, 2003,
16. Jean Ladriere, 『Science and technology challenges to Culture』, The Commercial Press, 1997,
17. 최준혁. Exhibition design guid of museum.
18. 왕티엔이베이징: 중국선축공학출판사, 1997, 1p7
19. 니웨이홍.I. M. Pei[M].스좌장:허베이교육출판사, 2011

[Dissertation]

1. 마동칭 (2019) 「중국 현대 건축에서 나타나는 지역적 특성 연구」. 동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년.
2. 양시명, 「I.M.PEI건축에 나타난 전통성의 현대적 표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2011.
3. 노의 , 「 아이 엠 페이와 안도 다다오의 미술관 비교 분석을 기초로한 미술관 실내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디자인대학원 학위논문, 2012
4. 리우샨, 「I. M. Pei 예술 박물관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쑤저우대학교 학위논문. 2007
5. 마유엔, 「I. M. Pei쑤저우박물관 신관의 공간환경에 관한 연구」, 허베이공정대학교 학위논문,2009
6. 란즈지에, 「안도 다다오와 I. M. Pei의 건축작품 분석 및 비교 연구」,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7. 리우시앙싱 「건축설계연구의 기하형체와 건축환경의 관계」, 시난교통대학교 학위논문, 2017
8. 리춘, 「I. M. Pei 현대주의 건축미학 연구」, 산둥사범대학교 학위논문, 2019
9. 우량용(吴良镛), “Expectations of 21st Century Architecture: Source Material of the Beijing Charter”, Architectural Journal, Vol.38(12), 1998,

[Academic Journal]

1. 왕후이, “중국건축의지역성의표현”, 중국광업대학교 역학건축공학과 2003.10
2. 추이진위, 쑤저우 샹산방 건축. [M].베이징:중국건축공업출판사, 2004
3. 정지엔(曾坚), “광의의 지역성 건축의 혁신적인 기법 연구”, Architectural Journal, Vol.43(6)
4. 우량용(吴良镛), “Expectations of 21st Century Architecture: Source Material of the Beijing Charter”, Architectural Journal, Vol.38(12),
5. 쉬첸리(徐千里), “글로벌화와 지역성: 현대성적 문제”, The Architect, 2004
6. 박지희. (2009) 종합박물관 전시연출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론
7. 최정은. (2016). 무형문화재 유형분류에 따른 전시기법 및 연출매체분석과 전시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8. 양시명, 김형우 쑤저우 박물관에 나타난 전통성의 현대적 표현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