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NO.D.2021.02_01

재활용된 빈집의 지역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한 장소성 평가모델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关于再利用空房地域的社区为中心的场所性评价模型的开发与应用研究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Assesment Model of the Placeness of the Local Communities’s Reusable Vacant House

  • Name : 왕휘휘(王慧慧)/WANG HUIHUI
  • Info : 박사학위논문/博士学位论文/Doctor's thesis/ 2021.02
  • Adviser : 홍관선/洪宽善/Hong, Kwan-Seon
192.168.95.172

초록

도시쇠퇴, 저출산 및 고령화 등 다양한 이유로 빈집이 발생하고 있으며, 지역의 주거환경 악화, 붕괴위험, 미관저해 등 다양한 사회적인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빈집은 도시개발사업, 도시재생사업 등 각종 정비 사업에서의 활용 가능한 대안으로 인식되면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빈집의 활용이 아직은 낡은 집에 대한 재건축 혹은 보수라는 시각 안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지역 사람들의 역사, 문화, 경제, 환경, 감정을 담고 있는 많은 빈집들이 도시 재생이라는 이름 아래 사라져 가고 있다. 따라서 지역 커뮤니티 내 빈집의 장소성을 회복하고 재활용된 빈집의 평가모델을 마련하는 일이 필수적이라고 판단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지역 커뮤니티와 장소성에 대한 이해에 기초하여 공간 가치와 가용성(可用性) 등에서 빈집 활용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재활용된 빈집의 장소성 평가 모델을 구축하였다.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집 장소성 및 커뮤니티에 관한 개념 및 현황과 재생가치에 대한 고찰을 통한 현재 재활용된 빈집 장소성과 커뮤니티의 관계를 이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재활용된 빈집 장소성의 회복과 커뮤니티 활력의 상관성을 명확히 하였다.
둘째, 매슈 카르모나(Matthew Carmona) <도시설계>의 6가지 차원 분석을 통해 재활용된 빈집 장소성의 특성인 연계성, 접근성, 개별성, 동일성, 안전성, 개방성, 심미성, 질서성, 다양성, 사용성, 역사성, 연속성의 12개를 도출했다. 그리고 계층분석기법(AHP)을 통해 12개 특성의 가중치를 도출하고 가중치의 높고 낮음과 유사한 특성을 통합하여 연계성, 정체성, 안전성, 심미성, 다양성의 5개 특성으로 정리했다. 그 후, 지역 커뮤니티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분석을 통해 개방성, 편리성, 가변성, 지역성, 접근성, 안전성, 공공성의 지역 커뮤니티의 특성을 정리하였다. 또한 지역 커뮤니티와 장소성의 특성을 정리하고 최종적으로 지역 커뮤니티 빈집 장소성의 평가 지표를 구성하였다.
셋째, 지역 커뮤니티내 재활용된 빈집 장소성의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2010년 이후 평가지표에 관한 학술논문과 학위논문 등을 수집해 세부항목을 정리하였다. 수집된 항목의 분석 및 비교를 통해 의미가 비슷하거나 모호한 지표 항목을 제외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항목을 선택하여 객관적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지역 커뮤니티의 빈집 장소성의 세부항목을 구성하였다. 문헌연구 이후, 전문가 15명(교수, 연구원, 디자이너, 정원디자이너, 도시계획사, 환경공학사,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해 세부항목을 검증한 후, 대면, 온라인 동영상, 이메일 등의 방식으로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해 평가지표 세부항목을 3차 델파이 기법으로 조사하고 회수된 설문지는 EXCEL과 SPSS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세부항목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3차 델파이 기법과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방문객 182명을 대상으로 빈집의 활용을 조사해 EXCEL과 SPSS을 통해 결과를 통계 분석한 후 33개 지역 커뮤니티 빈집 장소성의 평가지표 세부항목을 도출하였다.
넷째, 한국의 대표적 사례인 감천문화마을을 중심으로 재활용된 8개의 빈집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감천문화마을은 공동화(空洞化)에 따른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 커뮤니티를 활성화하고 지역 주민을 주체로 주거환경 커뮤니티를 변화시켰다. 감천문화마을의 문화와 장소성을 핵심으로 변화한 주거환경 커뮤니티를 자원으로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공간의 거점을 제공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시켜 커뮤니티의 활력을 되찾았다.
다섯째, 감천문화마을 빈집에 대한 인식 및 평가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제3장에서 제시한 9개의 평가지표와 33개의 세부항목을 기준으로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현지의 주요 구성원(지역주민, 사업공간 운영자, 방문객)을 조사대상으로‘감천문화마을 빈집의 인식 및 평가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데이터에 대하여 SPSS, ANOVA (Analysis of Variance)와 차이검증(t-test) 등을 실시하였다. 종합적인 평가와 구성인원 간의 차이 비교 등 진행하여 감천문화마을 빈집에 대한 인식 및 평가의 정량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전체적으로 각 구성원간의 통계결과를 비교한 결과 지역 커뮤니티 빈집 장소성 평가지표 지수가 4.00을 초과한 요소는 방문객의 연계성(4.05), 안전성(4.00), 심미성(4.06)으로 나타났다. 방문객의 측면에서 보면 감천문화마을의 빈집은 마을의 기존 구조에서 독립된 것이 아닌 마을 내의 기존 건물과 연결되는 장소이며 다양한 형태의 예술작품을 통해 마을의 공간의 질을 높여 비교적 높은 심미적 가치가 있었다. 또한 동질화된 지역 내에서 외부세계로부터의 위협과 도전을 차단해 사람들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가져다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평가지표 중 지수가 낮은 것은 주민은 편리성(3.46), 정체성 (3.55), 접근성(3.59), 사업공간 운영자의 개방성(3.63), 방문객의 다양성(3.64), 방문객의 접근성(3.6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지 주민의 고령화가 심각해지고 편의시설이 미비하며 장소 이용의 제한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정체성 지수가 낮다는 것은 재활용된 8개 빈집의 항목 대부분이 하드웨어의 개조임을 설명하는 것으로 감천문화마을의 문화에 대한 사람들의 소속감과 정체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빈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도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며 관련 정책 제안, 지원으로 관련 연구도 많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그 중 상당수는 하드웨어 구축을 통한 문제 해결에 주력하고 있으며 현지의 발전과 직결된 지역 커뮤니티와 현지만의 독특한 장소성을 간과해 결과적으로 많은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현재, 우리는 장소성과 지역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현지의 문화 자원을 활용한 빈집을 매개로 지역 사회의 문화적 가치를 새롭게 부여하고, 주민들 간의 소속감을 강화해 지역 커뮤니티의 활력을 높이는 노력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커뮤니티 재활용된 빈집 장소성의 평가모델은 현재 진행 중이거나 진행될 커뮤니티 빈집 활용에 유용한 자료로 쓰일 수 있으며 빈집 활용을 위한 계획과 평가에 대한 실현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摘要

因城市衰退、低出生率及老龄化等多种原因,发生空房现象,导致地域居住环境恶化、崩溃危险、美观低等社会问题。这些空房被认为是城市开发事业、城市再生事业等各种维修事业可利用的方案,备受关注。但是空房的活用还停留在对旧房的重建或维修的观点上,因此承载历史、文化、经济、环境和情感的许多空房都在城市再生的名下在人们的心目中消失。所以认为恢复地域社区内空房的场所性,制定再利用的空房的评价模型是必要的。
本研究根据对地域社区和场所性的了解,在空间价值和可用性等方面考虑利用空房的有关性,构建再利用的空房的场所性评价模型。程序如下:
第一,通过对空房场所性及社区相关概念及现状和再生价值的考察,以理解目前回收利用的空房场所性和社区关系为基础,本研究明确了回收利用的空房场所性的恢复和社区活力的相关性。
第二,通过Matthew Carmona《城市设计的维度》的6个角度分析,得出循环利用的空房的连接性、接近性、个别性、同一性、安全性、开放性、审美性、秩序性、多样性、使用性、历史性、连续性等12个场所特性,然后通过阶层分析方法(AHP)得出12个特性的权重值,综合权重值的高低和类似特性,整理为连接性、整体性、安全性、审美性、多样性的5个特性。之后,通过分析与地域社区相关的先行研究,整理了开放性、便利性、可变性、地域性、接近性、安全性、公共性的地域社区特性。另外,还整理了地域社区和场所性的特点,最终构成了地域社区空房场所性的评价指标。
第三,以地域社区内再利用的空房场所性评价指标为基础,收集了2010年以后评价指标相关的学术论文和学位论文等,整理了详细项目。通过收集的项目分析及比较,除了意义相似或模糊的指标项目外,选择容易理解的项目,通过客观分析最终构成了地域社区空房场所性的详细项目。文献研究之后,以15名专家(教授、研究员、设计师、园林设计师、城市规划师、环境工程师、公务员)为对象,进行问卷调查和采访,验证详细项目后,通过面对面、在线视频、电子邮件等方式进行专家问卷调查,对评价指标细节项目进行第三次德尔菲法调查,回收的问卷通过EXCEL和SPSS进行了分析。最后,为了测定详细项目的妥当度和信赖度,实施了第3次德尔斐法和探索性因素分析(explorator factor analysis),以182名访客为对象调查空房的使用情况,通过EXCEL和SPSS统计分析结果后,得出了33个地域社区空房场所性的评价指标细节项目。
第四,以韩国的代表性事例甘川文化村为中心,具体分析了再利用的8个空房。甘川文化村为解决空洞化带来的社会问题,搞活了地区社区,以地区居民为主体,改变了社区居住环境。 以甘川文化村的文化与场所性为核心,利用变化的居住环境作为社区资源,为使用者提供空间据点,激活地区经济,重新找回了社区活力。
第五,对甘川文化村空房的认识及评价进行了问卷调查。以第三章提出的9项评价指标和33项细项为标准制作了问卷调查。以当地主要成员(地区居民、事业空间运营者、访客)为对象进行了"甘川文化村空房的认识及评价调查"。对问卷调查数据进行了SPSS、ANOVA(Analysis of Variance)和差异验证(t-test)等。进行综合评价与组成人员之间的差异比较等,得出对甘川文化村空房的认识及评价的定量结果。
整体上比较各成员之间的统计结果的结果显示,地区社区空场所性评价指标指数超过4.00的要素是访客的联系性(4.05)、安全性(4.00)、审美性(4.06 从访客的层面来看,甘川文化村的空房子不是独立于村子的结构,而是连接村内已有建筑的场所,通过多种形态的艺术作品提高村子的空间质量具有较高的审美价值。另外,在同质化的地区内切断来自外部世界的威胁和挑战,给人们带来心理上的安全感。 但是评价指标中指数较低的是居民的便利性(3.46)、特征性(3.55)、接近性(3.59)、事业空间运营者的开放性(3.63)、访客的多样性(3.64)、访客的接近性(3.66)等。 据分析当地居民老龄化现象严重、便利设施不完善、场所利用限制等原因。另外,特征性指数低说明再利用的8个空房项目大部分都是硬件改造,因此,甘川文化村需要强化人们对文化的归属感和特征性。
为解决空置房问题,政府也做出了很多努力,而且相关政策提案和支援也使相关研究大幅增加。但是其中大部分致力于通过硬件建设解决问题,忽视了与当地发展息息相关的地区社区和当地独有的场所性,结果暴露出了很多问题。现在,我们以场所性和地区社区为中心,以利用当地文化资源的空房子为媒介,重新赋予地区社会的文化价值,强化居民间的归属感,努力提高地区社区活力。
本研究中推导出的社区再利用的空房场所性评价模式,可以作为正在进行的或将要进行的社区空房利用的有用资料,也可为空房活用计划和评价提出实现建议。

Abstract

Due to the urban decline, low fertility, aging, and other reasons, the phenomenon of vacant houses has led to the deterioration of the living environment in the region, the unaesthetic community, and other social problems. This kind of empty house is considered as a countermeasure that can be used in various reorganized businesses such as urban development and urban regeneration, so it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However, the utilization of vacant houses remains at the level of reconstruction or maintenance of old houses. Many empty houses bearing the history, culture, economy, environment, and feelings of the people in the region are disappearing in the name of "urban regeneration". Therefore, we believe that it is necessary to restore the location of the vacant houses in the local community and develop the evaluation model of the vacant houses after active usag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regional community and placeness, this study consider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ctive use of vacant houses from the aspects of spatial value and availability and constructed an evaluation model of the locality of vacant houses. The steps are as follows.
Firstly, based on the examination of the concept of placeness, other related concepts of community, current situation, and the regeneration value of the vacant house, this paper expl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ceness of vacant house and community and made out the correlation of the recovering of the placeness of the vacant house and the community vitality.
Secondly, through analyzing the six dimensions of Matthew Carmona’s book City Design, twelve features of the placeness of the vacant house were conducted, they are association, accessibility, individuality, identity, security, openness, aesthetics, order, diversity, usability, historical, and continuity. After further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their weighted value was derived and screened by their counts. Then by combining with similar aspects, this paper sorted into 5 characteristics. They are association, identity, safety, aesthetics, and diversity. Then this study analyzed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regional communities and sorte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m, which are respectively openness, convenience, variability, regionalism, accessibility, security, and publicity. Finally, it forms the evaluation index of the placeness of the vacant houses in local community after further organizing these characteristics.
Thirdly, on the basis of this evaluation index, the academic papers and journals related to the evaluation index after 2010 are collected to sort out the detailed projects.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se projects, excluding some of them with similar or vague meanings, selecting the projects with easy understanding, finally gets the detailed projects of vacant houses in the local community. After the literature research, 15 experts (professors, researchers, designers, landscape design, urban planning, environmental engineering, civil servants) will be surveyed and interviewed to verify the detailed projects, such as face-to-face interviews, online videos, email consultation, etc. Then, the expert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ree rounds of the Delphi method, and the recover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Excel and SPSS. Finally, to test the appropriateness and reliability of the detailed projec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fter the third Delphi method. With 182 visitors as the survey objec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tive use of vacant houses and analyzed the survey results statistically through Excel and SPSS. Finally, the detailed project of the evaluation index of the placeness of 33 community vacant houses was obtained.
Fourthly, taking the representative case of GAMCHEON Cultural Village in South Korea as the center, this paper made a concrete analysis of 8 vacant houses in the village. In order to solve the social problems brought by the hollowing out and to activate the community, GAMCHEON Cultural Village took the local residents as the main part and their culture and place as the core, took the current living environment as the resource to chang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community and provided the users with an activity space. This can effectively invigorate the local economy and revitalize the community.
Fifth,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cognition and evaluation of the vacant houses in GAMCHEON Cultural Village. Based on the 9 evaluation indexes and 33 detailed items derived in chapter 3, this paper developed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With the local main composition of personnel ( local residents, businessmen, visitors) as investigation object, firstly carried on the investigation of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of GAMCHEON village empty houses, secondly used Analysis of Variance and T-test Analysis methods, and ultimately analyzed the questionnaire data through SPSS. Through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the differences among the members, this study obtained the cognition of the empty houses in GAMCHEON cultural village and the quantitative results of the evaluation.
On the whole, the comparison of statistical results among the members showed that the factors exceeding 4.00 in the index are association (4.05), security (4.00), and aesthetics (4.06) of visitors. From the visitor’s point of view, the vacant houses in GAMCHEON Cultural Village are not independent of the existing structure of the village, but just a place to establish a connection with the existing buildings in the village. And through various forms of artwork to increase the spatial quality of the village, which has high aesthetic value. Besides, the homogeneous region hides the threats and challenges from the outside world, which brings people a great sense of security psychologically. However, in those lower indices, the order is convenience (3.46), identity (3.55), accessibility (3.59) of residents, the openness of businessmen (3.63), diversity of visitors (3.64), the convenience of businessmen (3.65), the accessibility of visitors (3.66), etc. This is because the elderly population and inadequate facilities limit people’s use of the site. Also, the index of identity is also very low, which indicates that most of the 8 vacant houses are hardware renovation projects. Therefore, strengthening people’s sense of belonging and identity to the village culture is imperativ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vacant houses, the government has also made a lot of effort and put forward corresponding policies. Government support has led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research. However, most of them are committed to solving the problem by building hardware facilities, while ignoring the local community with a direct relationship to the local development and the local specialty, which results in many problems. Now, we focus on the placeness and the regional community, utilize the local cultural resources, and use the empty houses as the media to re-engender the cultural value of the community, strengthen the sense of belonging among residents, and revitalize the community.
In this study, the derived detailed project of evaluation index of the placeness of the vacant houses in the community could be used as valid information for ongoing or future relevant studies and could also be used as a guideline for relevant policies of community design.

키워드

  • #지역 커뮤니티
  • # 빈집
  • # 장소성
  • # 평가지표
  • # 세부항목
  • # 평가모델

  • #地域,社区, 空房, 场所性, 评价指标, 详细条目,评价模型

  • #Local communities
  • # Vacant house
  • # Placeness
  • # Evaluation criteria
  • # Detailed items
  • #

참고문헌

[Book]

박규원, 김희경, 정병국, 최문희, 홍준기 공저, 『디자인 조사 연구방법론』, 이서원, 2014
02. 백선혜, 『장소성과 장소마케팅』, 한국학술정보(주), 2006
03. 양춘 외 2인,『사회학개론』, 진성사, 1991
04. 에드워드 렐프 ,김덕현, 김현주, 심승희옮김,『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05. 유준(刘军), 『공동체 사회: 순수 사회학의 기본 개념(法村社会支持网络:一个整体研究的视角)』, 北京:社会科学文献出版社,2006
06. 이푸 투안(段义孚), 『공동체 사회: 순수 사회학의 기본 개념(空间和地方:经验的视角)』, 王志标译, 中国人民大学出版社, 2017
07. 페르디난트 퇴니에스(斐迪南·滕尼斯), 『공동체 사회: 순수 사회학의 기본 개념(共同体与社会:纯粹社会学的基本概念)』, 林荣远(译), 北京大学出版社, 2010
08. Abrahamson M, Urban Soci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0
09. Georgy A Hillery, Jr Definition of Community, Rural Sociology, 1955
10. Jane jacobs(제인 제이콥스), 『미국 대도시의 삶과 죽음(美国大城市的死与生)』, 译林出版社, 1961
11. kevin Lynch(케빈 린치), 『장소 중의 시간(场所中的时间)』, 北京时代华文书局, 1972
12. Wilson A.W & Schulz D.A, 유시중 외 2인, 『도시사회학』, 경문사, 1998
13. Sanders P, 김찬호 외 2인, 『도시와사회이론』, 풀빗, 1991

[Dissertation]

강민정, 「지역 정체성 형성요인을 통한 환경색채 분석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02. 권영재, 「장소기억기반 공간재생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03. 권윤구, 「도시 가로의 장소성 형성 구조와 의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04. 김광현, 「제4차 IAA서울 심포지엄: 21세기 새로운 도시와 주거 공동체의 도시」, 공동성의 도시, 건축과사회, 2005
05. 김민선, 「제주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창작스튜디오 실내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17
06. 김유미, 「마을미술프로젝트를 통한 지역문화 활성화 방안」,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07. 김종희, 「지역 문화를 공유하는 대학 기숙사 커뮤니티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08. 김현주(金贤珠), 「빈집을 활용한 지역활용성화 프로그램 및 운연방식의 유형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09. 남윤학, 「장소정체성 구축을 통한 문화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0. 남지현, 「도시의 빈 공간을 활용한 지역 공동체 활동거점 만들기-도쿄의 '빈 건물'활용사례를 중심으로」, 서울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2012
11. 배한라, 「감천문화마을 예술작품의 특성과 선호도 분석」,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12. 서애영(徐爱英), 「지역커뮤니티를 통한 한∙중 문화예술교류의 반전적 방안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13. 손기성, 「지역커뮤니티 활성을 위한 도시광장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4. 손영옥, 「도시지역 빈집 활성화정책의 우선순위와 방안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15. 양소영, 「장소적 측면의 지역커뮤니티 증진을 위한 빈집 활용방안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p.25
16. 여문정, 「근대산업유산에 기반한 도시재생사례의 장소성 평가 연구」동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17. 오문향, 「델파이 기법과 AHP를 활용한 국가 간 관광산업 경쟁력 평가지표 개발」,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8. 오승훈, 「익산 구도심의 빈집 형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9. 윤동수, 「도시재생을 위한 서울시 빈집 살리기 사업 활성화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20. 윤영란, 「도시 내 빈집의 현황분석을 통한 도시정책 방향 연구」,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21. 이상훈, 「생활공간의 관광지화에 따라 지역사회 연대 변화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22. 임상현, 「장소성을 바탕으로 한 플래시몹의 공간적 구현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3. 임지현,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예술창작공간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24. 조윤설, 「언어 이미지 스케일 기반 뉴트로 장소의 감성 표상 지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p.36
25. 주가민(朱佳敏),「항저우시 주택의 공실특성과 공실률에 관한 실증연구(杭州市住宅空置特征与空置率实证研究)」, 浙江大学, 硕士学位论文, 2009
26. 최아름, 「장소기억 회복을 위한 '빈집' 기반 에코뮤지엄 전시콘텐츠 기획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Academic Journal]

권영상, 빈집활용의 세 가지 유형과 사례, 대한지방행정공제회, 『도시문제=Urban affair monthly magazine』 2017, Vol.581
02. 김미영, 문정민,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도시공공공간 특성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1, Vol.20(6)
03. 김지현, 장소성 구축을 위한 현대건축 표현표현 양상에 관한 연구, 『공간디자인학회지논문집』, 2013, Vol.8(3)
04. 김진하·남진, 도시쇠퇴지역의 빈집 분포현황과 관리체계 연구, 『한국지역학회지』, 2016, Vol.32(1)
05. 박성남, 쇠퇴지역 빈집 특성 및 빈집 재생 시사점: 주민과 지역 전문가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2018, Vol.19(1)
06. 박은영, 이성신, 전통시장의 장소성 기록화를 위한 구성요소 제언, 『한국기록관리학회지』, 2018, Vol.18(2)
07. 손은하, 차철욱, 환경색채의 변화를 통해 본 마을 이미지, 『인문콘텐츠』, 2011, Vol.0(22)
08. 왕휘휘, 홍관선,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지역 커뮤니티의 빈집 장소성 평가지표 항목구축,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Vol.21(5)
09. 이창우·이재우, 주거지 공·폐가 정비 우선순위 설정을 위한 평가기준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015, Vol.13(2)
10. 이하연,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컬렉티브하우스 공간특성 사례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6, Vol.25(1)
11. 전미화, 공공공간의 장소정체성을 위한 디자인가이드라인 방안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1, Vol.20(4)
12. 전영미, 김세훈, 구시가지 빈집 발생의 원인 및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2016, Vol.17(1)
13. 정원욱, 장소성을 바탕으로 한 컬처노믹스 구현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13, Vol.22(2), p.41
14. 주희선, AHP 분석을 통한 빈집활용방안 우선순위 평가, 『한국주거학회』, 2019, Vol.30(1)
15. 지정목, 박태진, 한국과 일본의 빈집 활용에 관한 연구, 『일본근대학연구』, 2019, Vol.0(63)
16. 하창호·곽희종·김현숙, 근린재생을 위한 노후 저층주거지 내 공지 및 폐가의 활용방안 및 텃밭 조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2013, Vol.14(6)
17. 한수경, 빈집의 공간적 군집과 고착화에 관한 실증 연구: 전라북도 익산시를 대상으로, 『국토연구원』, 2018, Vol.0(97)

[Website]

01. http://www.gamcheon.or.kr/
02. http://kosis.kr/
03.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