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NO.D.2021.02_02

중국 대도시의 공공조형물에서 나타나는 표현 특성과 장소성 연구 关于中国大城市公共造型物中的表现特点和场所性研究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and Placeness in Public Sculptures of the Chinese Big Cities

  • Name : 이지엔화/LI JIANHUA
  • Info : 박사학위논문/博士学位论文/Doctor's thesis/ 2021.02
  • Adviser : 윤지영/尹智映/Yoon, Ji-Young
192.168.95.172

초록

본 연구는 중국 역사문화도시의 공공조형물의 표현 특성을 분석하고 공공조형물이 어떻게 효율적으로 역사 문화 요소에 개입하여, 장소성을 표출할 수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함으로서 공공조형물이 지닌 장소적 의미와 가치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 및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문헌고찰로 역사 문화 도시의 개념, 장소성의 개념 등을 이해하여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둘째,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공공조형물의 표현특성을 분석하며 10명의 조형 및 디자인 전문가의 평가를 통해 장소성과 관련이 가장 많은 요소로 환경성, 상징성, 예술성, 상호 작용성,기술성,사회.경제성,지속가능성,역사성 등 8개를 선정하였다. 또한 문헌고찰을 통해 도출한 6개 척도 - 형태적, 지각적, 사회적, 시각적, 기능적, 시간적 차원을 전문가가 선정한 공공조형물 평가 요소의 측면에서 재정리하여 분석의 틀로서의 평가지표를 선정하였다.
셋째, 사례분석으로 중국의 대표적인 도시인 상해, 북경, 광주의 공공조형물 중 발행량이 가장 많은 7개 잡지에서 60개 사례를 선정하여 전문가의 평가를 통해 최종 15개 공공조형물을 선정하였다. 세 도시 공공조형물의 장소적 특성을 형태적, 지각적, 사회적, 시각적, 기능적, 시간적 차원 등 6개 평가지표, 8세부 요소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넷째, 선정된 3개 도시의 공공조형물의 장소성 가치 평가를 위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를 대표하는 15개 사례 중에서 장소성 표현 특성에서 비교적 높은 종합 점수를 얻은 사례 9개(각 도시 당 3개씩)를 선정하여 환경디자인 관련 전공 전문가와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선정된 공공 조형물에 대한 장소성 인식과 평가에 관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이 중 관련 전문가들은 중국 예술가, 예술 전공 교사, 디자이너, 예술 전공 학생을 주요 조사 대상으로 하여 사례에 대한 종합적인 전문성 평가를 진행한다. 또한, 설문조사 결과의 진정성과 유효성을 담보하기 위해 지역주민(공직자, 학생, 일반 주민, 교사)들의 경우 3개 도시를 중심으로 설문지를 구분하여 각각 현지주민들을 대상으로 조사한다. 최종 조사 결과는 EXCEL과 SPSS. V20.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차이검증(t-test)을 통해 평가지표 및 체크리스트에 대한 결과 검증 그리고 전문가와 지역 주민 간의 인식 차이를 도출한다.

3개 도시의 공공조형물에 대한 인식 및 평가 결과 6개 측면 8개 평가지표에서 베이징 3개 공공조각물의 시각차원(3.80) 지수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인지의 차원(3.73), 형태의 차원(3.68) 순으로 나타났다. 시간의 차원(3.579)의 지수가 가장 낮았다. 상하이 3개 공공조형물에서 시각의 차원(3.85) 지수가 가장 높았고 형태의 차원(3.80), 인지의 차원(3.77) 순으로 나타났다. 시간의 차원(3.62)가 지수가 가장 낮았다. 광주 3개 공공조형물에서 시각의 차원(3.87) 지수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형태의 차원(3.88), 인지의 차원(3.84) 순으로 나타났다. 시간의 차원(3.73) 지수가 가장 낮았다. 세 도시를 종합해 보면, 시각의 차원(3.84) 지수가 가장 높았고 형태의 차원(3.78)과 인지의 차원(3.78), 기능의 차원(3.64) 순으로 나타났고 시간의 차원(3.69) 지수가 비교적 낮았다.
이는 세 도시의 공공조형물이 시각의 차원과 인지의 차원에서 공간적 장소성이 성공적으로 구현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술가들은 갈수록 조형물의 독창성을 중요시한다. 어떤 것은 전통적인 정적인 조형물은 정적인 것으로 동적으로 표현할 수 있고, 어떤 것은 빛, 그림자, 색으로 대중들에게 풍부한 시각적 미감을 준다. 인류 정신문명의 발전과 인류 사회의 진보로 현대 조형물의 내포와 외연이 확대되고 있으며 조형물과 경관의 차이가 점점 희미해지고 있다. 현대 공공조형물은 조소와 환경의 관계를 더욱 중요시하여 그 형태를 전체 환경의 '큰 공간'에 참여하게 한다. 또한, 대중에게 공감할 수 있는 전통적인 정적인 조형물이나, 대중에게 상호 교류와 교류를 경험할 수 있는 동적인 조형물도 제공함으로써 조형물이 지역 정체성과 대중적 귀속감을 형성하는 요소 중 하나가 되고 있다.하지만 평가지표 중 기능성 차원과 기술적 차원의 지수가 낮다는 점에서 정보 발달에 따라 세계 각국의 교류가 강화되고 문화예술 등 분야의 세계화가 진행되면서 도시 이미지를 높이는 현대적 감각의 공공조형물이 대도시에서 많이 제작되고 있어, 일부 공공 조형물의 시간적 차원(역사적) 측면에서의 구현이 눈에 띄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공공 조형물의 지속가능성에서 장소성 구현에 대한 인식도가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이 에 대한 평가지수도 낮은 점수를 받았다.
유의 수준인 p<0.05를 보면 세 도시 전체를 보면 지역 주민과 전문가의 평가 비교에서 기능의 차원(기술성), 지각의 차원(상호작용성), 시각의 차원(예술성) 등의 평가지표에서 차이가 나는 것은 모두 일반 주민들의 조형물 평가지수가 전문가보다 높기 때문이다. 평가가 차이가 나는 이유는 일반 주민이 북경, 상해, 광주 등 3개 대도시에 거주하고 있을 뿐 아니라 공공조형물을 경시 형태로 대중 투표에 의해 선별하는 등 공공조형물이 대중이 살고 있는 도시에서는 대중과 연관돼 지역 정체성, 현장성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조형물에 대한 전문가의 평가는 전반적으로 이뤄져 일반 주민의 전체적인 평가지수가 전문가보다 높았다. 그래서 도시별 조형물에 대한 평가는 실제 체험에서 얻은 인식이 더 깊다는 것을 볼 수 있는디 이는 두 그룹이 체감도가 다르기 때문에 평가 결과도 다르다는 것이다.
2000년대 이후 중국에서 경관디자인의 일부로 자리 잡은 공공조형물 건설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이미지로 자리 매김하면서 정부도 많은 역량을 투입하여 다양한 행사를 통해 외국 예술가의 작품을 도입하거나 경시대회 형식을 도입해 조형물을 채택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외래예술가들의 작품은 대중과의 소통을 이루지 못하고 환경에 통합하지 못하는 등 많은 문제가 드러났다. 외국 예술가의 작품은 독특한 예술 형식을 통해 시각적 효과를 만들어 낸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예술가들은 조형물을 완전히 완성한 후에 그것을 어디에 배치해야 할지 고민할 것이 아니라, 구상할 때부터 설치될 외부적 세계와 공간형식, 국소위치와 연계되어야 한다. 이런 것이 없이 완성된 작품을 공공공간에 그대로 설치면 아무리 좋은 작품도 환경과 융합할 수 없고 지역정체성이 형성되기 어렵다. 외국의 예술작품은 대부분 도시전체 건설이나 지역전체 개발과 결합되어 있다. 현재 중국 도시 공공조형물의 설치는 점차적으로 구체적인 도시건설 실제 프로젝트에 결합하여 방안공모, 사업계획, 실시과정, 경제적 이익 등을 통해 공공조형물을 선정하는 사업이 늘고 있다. 도시 다원화가 진행됨에 따라, 역사적인 공공 조형물과 현대적 감각의 조형물이 모두 장소성 구현에 있어서 대표성을 가지게 되었다. 현대풍의 예술품은 새로운 풍격의 자원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구축물과 공업 시설도 그 자체가 예술품으로 변화되어 정체성과 소속감을 가진 시각적 이슈가 새로운 기억의 장소를 만들고 시대적인 장소정신을 함양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국내외의 대표적인 공공조형물 사례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토대로 도시별 공공조형물을 구체적으로 구현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연구하고 정리하여 체계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지표 작성, 진행 중이거나 향후 진행될 공공조형물의 장소성 평가에서 유효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공공 조형물에 관한 디자인 제시 안내로도 활용할 수 있다.

摘要

本研究旨在分析国历史文化城市公共造型物的表现特性,掌握公共造型物如何有效地介入到历史文化素以表达场所性,对公共造型物所表达的场所性意义和价值的研究提供基础资料,研究方法和内容如下。
第一,以文献考察理解历史文化城市的概念、场所性的概念等作为理论基础。
第二,是通过先行研究考察分析公共造型的表现特性,并通过10名造型和设计专家进行评估,与场所性关联最密切的选定了环境性、象征性、艺术性、互动性、技术性、社会经济性、可持续性、历史性等8个要素,并通过文献考察得出了6个尺度-形态性、知觉性、社会性、视觉性、功能性和时间维从专家选定的共造型物评价要素的角度进行重整作为分析框架选择了评价指标。
第三,案例分析,作为中国代表性城市上海、北京、广州的公共造型物发行量最多的7个杂志中选出60个案例,通过专家评估,最终选定了15个公共造型物。对三个城市的公共造型物的长梭形的特征,从形态性、知觉性、社会性、视觉性、功能性和时间性等六个评价指标,八个细节要素为中心进行了评价。
第四,为评价3个城市公共造型物的场所性价值进行了问卷调查, 在北京、上海、广州的15个案例中选定场所性表现特性取得较高综合分数的9个案例(各城市3个),以环境设计专业专业人员和地区居民为对象,对选定的公共造型物的场所性的认识和评价进行了问卷调查。
相关专家以中国艺术家、艺术专业教师、设计师、艺术专业学生为主要调查对象,对事例进行综合的专业性评价。此外,为了保证问卷调查结果的真实性和有效性,向各当地区居民(公务员,学生,普通居民,教师)进行问卷调查。最终调查结果使用EXCEL和SPSS,V20.0等一套统计,通过差异验证(t-test)推导对评估指标和核对清单的结果验证以及专家和地区居民间的认识差异。
对3个城市公共雕塑的认识及评价结果显示,在6个层面8个评价指标中,北京3个公共雕塑的视觉层面(3.80)指数最高,其次为认知层面(3.73)、形态层面(3.68)。时间层面(3.579)的指数最低。 在上海3个公共造型物中,视觉层面(3.85)指数最高,依次是形态层面(3.80)和认知面(3.77)。时间层面(3.62)指数最低。广州3个公共造型物中视觉层面(3.87)指数最高,依次为形态层面(3.88)、认知层次(3.84)。 时间层面(3.73)指数最低。综合三个城市来看,视觉层面3.84)指数最高,依次是形态层面(3.78)、认知层面(3.78)、功能层面(3.64),时间层面(3.69)指数较低。
这意味着三座城市的公共造型物从视觉层面和认知的角度,成功体现了空间场所性。艺术家们越来越重视雕塑的独创性。有些传统的静态造型可以动态地体现出来,有些则通过光、影、色带给大众丰富的视觉美感。随着人类精神文明的发展和人类社会的进步,现代雕塑的内涵和外延正在扩大,雕塑和景观的差异也越来越模糊。现代公共雕塑更加注重雕塑与环境的关系,使其形态融入到整个环境的"大空间"。此外,还可提供能够让大众产生共鸣的传统静态雕塑或可以让大众相互交流和体验交流的动态雕塑,使雕塑成为形成地区认同感和大众归属感的要素之一。但是评价指标中,由于功能性层面和技术层面的指数较低,随着信息发达,世界各国交流得到加强,文化艺术等领域的全球化发展,大城市制作了很多提高城市形象的现代化感觉的公共雕塑,因此部分公共雕塑在时间层面(历史)上的体现并不明显。另外,通过问卷调查可以看出公共造型的可持续性,对场所性的认识度较低,因此对此的评价指数也较低。
从错误率p<00.05来看,三座城市的整体上,在功能层面(技术性)、知觉层面(相互作用性)、视觉层面(艺术性)等评价指标上存在差异,这是因为一般居民的雕塑评价指数都高于专家。评价差异的原因不仅在于普通居民居住在北京、上海、广州等3个大城市,而且以轻视公共雕塑的形式通过大众投票进行筛选等公共雕塑与大众相关,形成了地区认同感、现场性。相反,专家对雕塑的评价是全面的,普通居民的整体评价指数高于专家。因此,对各城市造型物的评价,可以看出从实际体验中获得的认识更加深刻,这是因为两个集团的感受不同,评价结果也不同。
2000年以后,在中国作为景观设计的一部分的公共造型物建设成为搞活地区经济的地区形象,政府也投入大量力量,通过各种活动引进外国艺术家的作品或引入竞赛等形式,采用造型物。但是部分外来艺术家的作品未能与大众进行沟通、无法融入环境等暴露出了很多问题。 外国艺术家的作品通过独特的艺术形式创造出视觉效果。但是一般来说,艺术家们不应该在完全完成造型后考虑将其布置在哪里,而是应该从构思开始与外部环境、空间形式、局部位置相联系起来考虑。如果没有这些,把作品直接设置在公共空间的话,再好的作品也无法与环境融合,很难形成地区认同感。外国艺术作品大多与城市整体建设或区域整体开发相结合。目前,中国城市公共雕塑的设置逐渐与具体的城市建设实际项目相结合,通过方案征集、项目规划、实施过程、经济利益等选定公共雕塑的项目的在逐渐增加。随着城市多元化的发展,历史公共雕塑和现代感觉的雕塑在场所性体现方面都具有代表性。现代风格的艺术品不仅可以成为新风格的资源,现有的构筑物和工业设施本身也会变成艺术品,具有认同感和归属感的视觉热点打造新的记忆场所,培养时代性的场所精神。因此,本研究以对目前国内外代表性公共雕塑事例的综合分析为基础,研究并整理具体体现各城市公共雕塑的共同点和差异,进行了系统评价。
在本研究中制定的指标,可以作为进行中或今后进行的公共造型物的场所性评价的有效资料使用,也可以作为公共造型物的设计提案指南来应用。

Abstract

At this point with the global expansion of the aging population, active seniors have emerged as a new key consumer base in the Korean market, and are receiving spotlight as a target consumers in the cosmetics market as well, which is one of the key senior-friendly indus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meaning and value of places of public sculpture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of public sculptures in Chinese historical and cultural cities and by identifying how public sculptures can efficiently intervene in historical and cultural elements and express their placeability. The methods and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provided the theoretical foundation by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history, culture, and city, the concept of placeability, etc.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of public sculptures are analyz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the evaluation of 10 modeling and design experts are the most related factors to the location, such as environmentality, symbolism, artistry, interaction, technicality, and society.Economic feasibility, sustainability, and historicity were selected. In addition, the six scales derived from the literature review - morphological, perceptual, social, visual, functional and temporal dimensions - were reorganized in terms of the public sculpture evaluation factors selected by experts to select evaluation indicators as the framework of analysis.
Third, by case analysis, 60 cases were selected from seven magazines with the highest circulation among public sculptures in Shanghai, Beijing and Gwangju, the representative cities of China, and the final 15 public sculptures were selected through expert evaluati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urban public sculptures were analyzed centering on six evaluation indexes, eight detailed elements, including morphological, perceptual, social, visual, functional and temporal dimensions.
Fourth, a surve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value of public sculptures in the selected three cities. Of the 15 cases representing Beijing, Shanghai and Guangzhou, nine cases (three per city) with relatively high overall scores in the characteristics of placeability expression were selected, and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the recognition and evaluation of placeability of public sculptures selected for experts in environmental design and local residents.
Among them, relevant experts conduct a comprehensive professional evaluation of cases with Chinese artists, art major teachers, designers and students majoring in arts as the main subjects of investig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ensure the authenticity and validity of the survey results, local residents (public officials, students, ordinary residents, and teachers) are divided into three cities to survey local residents. The final findings are EXCEL and SPSS. Using the V20.0 statistical package,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indicators and checklists are verified through t-test, and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experts and local residents are deriv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hree public sculptures in Beijing had the highest index of the visual dimension (3.80), followed by cognitive dimension (3.73), morphological dimension (3.68), and time dimension (3.579).Three public sculptures in Shanghai have the highest index of visual dimension (3.85), followed by morphological dimension (3.80), cognitive dimension (3.77) and temporal dimension (3.62) respectively.Three public sculptures in Guangzhou have the highest index of visual dimension (3.87), followed by morphological dimension (3.88), cognitive dimension (3.84) and temporal dimension (3.73) respectively.Overall, the three cities had the highest index of visual dimension (3.84), followed by cognitive dimension of morphological dimension (3.78), morphological dimension (3.78), functional dimension (3.64) and temporal dimension (3.69).
This means that the public shapes of three cities successfully embody the spatial locality in the aspect of morphological dimension and cognitive dimension. Artists pay more and more attention to the originality of their sculptures, some of which are statically represented and others are rich in visual beauty through light, shade and color.With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human spiritual civilization and the continuous progress of the human society, the connotation and extension of modern models are expanding.The difference between the form and the landscape is becoming blurred.Modern public sculpture pays more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culpture and the environment as a whole and participates in the "big space" of the environment in its form.In addition, both the traditional static and dynamic models that can give the public a sense of identity and belonging are becoming more and more of them.However, the index of functional and technical dimension is low, and the time dimension (historical) of some public figures is less obvious, as more and more public figures are produced in large cities, as information is developed, communication between countries around the world and globalisation of culture and art are gradually revealed.In addition, the survey showed that the public did not have a strong perception of the sustainability of the public figure, so the evaluation index did not score high.
Considering the level p <0.05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ity as a whole, the difference in evaluation indexes such as functional dimension (technicality), cognitive dimension (interaction), visual dimension (artistic) and so on in the evaluation of the three citie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average resident has higher evaluation index than the expert.
The reason for the difference in evaluation is that not only do ordinary residents live in and live in Beijing, Shanghai and Guangzhou, but also some public figures are selected by popular vote. Public sculpture exists in cities where the public lives and is closely related to the general public and gradually becomes regional identity and physical identity.Experts evaluate the models as a whole, so the overall evaluation index of the residents is higher than that of the experts.Therefore, the evaluation of the city's shapes is more profound.Because the two groups will be different, the evaluation results will be different.
Since the 2000s, the construction of public moulds as part of landscape design has gradually become a representative of the region's economic revitalization, and the government has devoted a lot of energy to bringing in foreign artists' works or competition forms through various activities. However, some of the works by foreign artists have failed to blend in with the daily lives of the masses, and the results reveal many problems. It is time to take the public as the center, so that the sculptor can be recognized by the public in cooperation with people to form a place centered on the model. The sculptor can use the cultural resources owned by the region to give the local cultural value to the development of the city public sculpture.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effective data or as a guide to the design tips of public sculpture when setting indicators, in progress, or in the future.

키워드

  • #공공조형물
  • # 대 도시
  • # 표현특성
  • # 장소성

  • #公共造型物,大城市,表现特性,场所性

  • #Public sculptures
  • # large cities
  • # expressive characteristics
  • # placeness

참고문헌

[Book]

1. 에드월드 렐프, 김덕현 옮김,『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2. 진배일(陈培一), 『조형물과 도시(雕塑.城市)』, 当代世界出版社, 2011
3. 오사신(吴士新), 『공공 공간 예술의 방향(走向公共空间的艺术)』, 北京九州出版社, 2017
4. 곽공민(郭公民), 『공공 공간의 심미 교류에 대한 개재-상해시 공공 예술 (介入公共领域的审美交流 上海城市公共艺术)』, 上海社会科学出版社, 2017
5. 왕용평(王永平), 『광주(广州)』, 广东经济出版社, 2010
6. Matthew Carmona, 『도시설계』, 도시출판대가, 2009

[Dissertation]

1. 이슬기,「시공간 영역의 공공미술 연구- 현대 공공미술의 장르 다각화와 행정체제의 변화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2. 강산, 「중국 현대 공공조형물의 전개와 조망」, 원광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3. 유 용, 「도시 가로의 장소성 형성 구조와 의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8
4. 권윤구, 「역사‧문화 요소를 중심으로 한 중국 형주시 도시브랜드 전략 수립에 관한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5. 백선혜, 「장소마케팅에서 장소성의 인위적 형성」, 서울대학교, 2004
6. 여문정, 「근대산업유산에 기반한 도시재생사례의 장소성 평가 연구」, 동서대학교, 2016
7. Danial N. Robinson, Dongseo University, Doctor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2016
8. 권윤구, 「도시 가로의 장소성 형성 구조와 의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9. 주수매(周秀梅),, 「도시의 문화적 시각에 의한 공공예술의 정체성 디자인에 관한 연구(城市文化视角下的公共艺术整体性设计研究)」, 武汉大学博士论文, 2013
10. 하위(何崴), 「조명의 공공 예술화 추세에 따른 도시의 공공 공간에 대한 연구(照明公共艺术化趋势影响下的城市公共空间研究)」, 中央美术学院博士论文, 2013
11. 근예(靳艺), 「디자인 윤리에 기초한 구시가지 공공 조각 예술의 연구(基于设计伦理的背景老城公共雕塑艺术研究)」, 北京建筑大学, 2020
12. 고우신(高雨辰),「도시의 명맥 보존 관점에서의 공공예술 디자인에 관한 연구(城市文脉保护视野下的公共艺术设计研究)」, 天津大学, 2016
13. 유옥보(刘玉宝),「역사 문화 명성의 공공 예술 디자인-경덕진을 중심으로(论历史文化名城的公共艺术设计-以景德镇为例)」, 景德镇陶瓷学院, 2008
14. 진건빈(陈建斌),「문화가 지향하는 역사문화 도시의 ‘적극적인 보호’계획에 대한 연구(文化导向的历史文化城市"积极保护"规划研究)」, 西安建筑科技大学, 2009
15. 이행(李幸),「도시의 확장속에 역사 문화와 명성의 보존에 관한 연구(城市扩张中的咸阳历史文化名城保护研究)」, 西北大学, 2013
16. 주홍미(周鸿微),「공공 조각의 전제와 한계(公共雕塑的前提与限定)」, 中央美术学院硕士论文, 2016
17. 고우신(高雨辰),「도시의 명맥 보존 관점에서의 공공예술 디자인에 관한 연구(城市文脉保护视野下的公共艺术设计研究)」, 天津大学, 2016
18. 위흔흔(魏欣欣),「공공 조각의 재료 활용의 생태성에 관한 연구(公共雕塑媒材应用的生态性研究)」, 江南大学硕士论文, 2012
19. 곽공민(郭公民),「예술의 공공성 구축 : 상해 도시 공공예술사론(艺术公共性的建构:上海城市公共艺术史论)」, 复旦大学, 2009

[Academic Journal]

1. 이석환·황기원, "장소와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1997, Vol.32(5)
2. 이석환, 황기원, "장소와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2000, Vol.32(5)
3. 현우정, 정진우, "특화가로의 장소성 형성을 위한 환경디자인요소에 관한 연구:인사동 전통문화의 거리 사례를 중심으로”, 『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2010, Vol.5(3)

[Report]

1. 조아여(赵雅丽), " 전방 잡지(前线杂志)", 『中共北京市委』, 2018, Vol.3(1)
2. 엄신기(严迅奇), "광동박물관 신관 메인 디자이너의 3대 논쟁에 대한 대답 (广东博物馆新馆主设计师回应三大争议)", 『The Architect』, 2019, Vol.3(1)

[Website]

1. http://www.shstructures.com/projects/the-kelpies-falkirk/
2. http://cms.newsin.co.kr/news/userWriterArticleView.html?idxno=73663
3. http://collection.sina.com.cn/ds/dsj/2016-12-14/doc-ifxytqav9221174.shtml
4. http://www.most.gov.cn/ztzl/gjkxjsjldh/jldh2011/2011jlgzts/11gztscysj/201202/t20120209_92299.htm
5. https://zh.wikipedia.org/wiki/%E5%B9%BF%E5%B7%9E%E5%A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