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M.2019.02_01

조선시대 규방공예를 응용한 패션액세서리 작품연구 -침선(針線)소품을 중심으로- 应用朝鲜时代闺房工艺的时尚饰品作品研究 -以针线饰品为中心- A Study on Fashion Accessories Using the Gyubang Craftin the Joseon Dynasty - Focused on the Needlework Craft -

  • Name : 김연희ㅣKim, Yeon-Hee
  • Info : 석사학위논문ㅣ硕士学位论文ㅣMaster's thesisㅣ2019.02
  • Adviser : 노윤선ㅣ卢润瑄ㅣRoh, Youn-Sun
192.168.95.161

초록

“이 연구는 조선시대 규방공예 침선(針線)소품을 응용한 패션액세서리작품에 관한 연구이다.” 최근 한류열풍에 힘입어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고조되고 있고, 조선시대 규방공예침선소품은 여성들의 규방에서 시작되어 지금은 작가들에게 영감을 주는 디자인의 원천이자, 작업의 원동력이 되는 전통공예가 되었다. 그러나 디자인 차별화의 수단이 될 수 있는 전통문화를 각 디자이너 자신만의 콘셉트를 가지고, 여러 각도에서 다양한 접목을 시도하고 있으나 패션액세서리상품의 종류들이 문화상품에 집중되어 있으며, 현재 패션액세서리에 있어서 새로운 시각적 조형성의 표현기법이 과거보다 많이 다양해졌지만, 차별화된 미적인 다양성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의 기대에는 못 미치고 있다. 규방공예 침선소품은 조선시대의 유교적 사상으로 인해 신분계급에 관계없이 여성의 사회진출이 제한되었고, 여성들의 처소인 규방에서만 생활이 한정되어 있는 특수한 공간에서‘규방문화’라고 불리는 여성들만의 규방예술을 창출하였다. 규방문화에서도 침선활동으로 만든 규방공예 침선소품은 실용성과 미적가치가 매우 높은 시대적 예술품이다. 따라서 조선시대 여성들의 미의식과 자연주의적 사상, 그리고 주술적의미가 담겨있는 규방공예에 대해 종합적으로 고찰해보고, 독특한 장식적 조형미를 지니고 있는 규방공예 침선 소품을, 본 연구의 작품제작 주요소재로 사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한국적 정서가 담겨있는 침선소품의 형태, 색상, 문양, 소재 및 침선기법에 현대적 감각과 새로운 현대적 기법을 융합하여 독창적이고 차별화된 패션액세서리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내용 및 방법에서 연구 내용의 이론적 배경으로 첫째, 조선시대 규방공예의 개념 및 시대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둘째, 조선시대 규방공예를 침선도구와 침선소품으로 분류하였다. 셋째, 조선시대 규방공예 조형성을 형태, 색상, 문양, 소재, 침선기법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넷째, 현재 조선시대 규방공예를 응용한 패션액세서리의 사례분석을 하기 위하여, 인터넷사이트를 중심으로 오프라인과 온라인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공예작가와 규방공예연구회작가들의 작품자료를 참고하여 고찰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작품제작에 있어서 조선시대 규방공예 침선소품을 응용한 패션액세서리 15점을 제작하였다.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선행연구사례 분석을 위하여, 국내의 학위논문과 단행본, 학회지 논문, 정기 간행물, 각종문헌 및 연구자료, 인터넷 자료, 박물관에 소장된 자료를 중심으로 규방공예 침선소품종류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하여 5가지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조선시대 시대적 배경에 의해 여성들만의 폐쇄적 공간인 규방에서 침선활동을 할 수밖에 없었고, 여성들만이 만들었던 규방공예 침선소품에는 한지를 가지고, 문양을 만들어 붙이거나, 장식을 위해 문양에 수를 놓거나, 또는 매듭으로 장식을 하여, 섬세하면서도 장식적인 아름다움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침선소품들이 오늘날까지 전해져 조선시대 생활양식을 알리고 현재 작가들에게는 훌륭한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어지고 있다.
둘째, 규방공예 침선소품은 단순한 생활용품이 아니라, 조선시대여성들의 자연주의적 사상과 미적가치를 실용화하였고, 일상적으로 늘 쓰는 침선소품은 자연스럽고, 형태감에 있어서는 둥근 곡선으로 부드러우며, 여유 로운 형태를 나타내고 있었다. 색상에 있어서 침선소품은 우리의 전통적인 색상관인 음양오행이라는 철학적 사상을 바탕으로 황(黃), 청(靑), 백(白), 적(赤), 흑(黑)의 사용을 살펴보았다. 침선소품 중 바늘꽂이와 바늘집의 색상역시 오방색을 기본으로 하면서 원색과 중간 색조를 잘 조화시켰으며, 분홍, 보라, 자주, 흰색, 적색, 황색등의 색상을 볼 수 있었다. 문양에 있어서도, 다양하고 화려한 빛깔과 문양들에 염원이 담겨있는 주술적 의미를 내포하면서 침선소품을 만들어 왔다는 것 또한, 알 수 있었다. 소재에 있어서는 명주, 양단, 모본단, 운문단, 누비 등을 사용하였으며, 침선기법에 있어서도 홈질, 시침질, 감침질, 상침질, 공그르기, 누비기법 등을 사용하였던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본 연구의 사례연구에 있어서, 현재 상품화되어 판매되고 있는 국내공예작가들의 작품과 규방공예연구회작가의 규방공예 침선소품을 응용한 작품들을 살펴보았다. 작품에는 작가중심의 주관적 표현은 나타내었지만 단순하면서도, 형태만 응용한 작품들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넷째, 본 연구의 작품제작으로는 사례연구를 토대로, 가장 많은 응용사례를 보여준 침선소품 중 바늘꽂이와 바늘집의 모티브를 응용하여, 현대적 감각을 표현해 낼 수 있는 새로운 목걸이, 브로치 제품을 개발하였고, 작품을 제작함에 있어서 규방공예 침선소품에 표현된 형태, 색상, 문양, 소재, 침선기법을 작품에 응용하였다.
형태에 있어서 침선소품 중 바늘꽂이(바늘방석)와 바늘집의 형태를 기본모티브로 사용하면서 다양한 형태감으로 새로운 디자인의 조형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액세서리 소재에 있어서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크리스탈과 씨앗구슬, 육각구슬, 막대구슬, 진주, 메탈소재 등을 사용하였고, 섬유소재에는 전통소재인 양단, 모본단, 명주, 운문단, 누비소재에 벨벳, 울 모직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한국적 이미지에 현대적 이미지를 덧 입혀 현대적 형태로 재해석할 수 있었다. 침선기법에 있어서도 홈질, 상침질, 시침질, 공그르기기법을 사용하였고, 서양자수기법으로 역 뜨기 기법(Back Stitch), 카우칭 기법(Couching Stitch)과 서양스티치기법으로 피요트 뜨기 기법(Peyote Stitch), 그물뜨기 기법(Netting Stitch)을 조화롭게 접목시켜 동서양의 기법을 융합한 새로운 미적 조형성의 가능성과 전통성을 가진 새로운 분야의 예술성을 표현할 수 있었다. 따라서 침선소품 중 바늘꽂이와 바늘집은 패션액세서리 디자인에 있어서 무한한 발전가능성을 가지고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해 줄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를 토대로 볼드하고, 세련된 동양과 서양이 혼재된 목걸이, 브로치를 개발함으로써 한국 및 세계적인 액세서리시장에서도 활용될 수 있을 거라 기대한다.

摘要

"该研究是应用朝鲜时代闺房工艺针线饰品的时尚饰品作品的研究。" 最近借助韩流热风,不仅在韩国,全世界对传统文化的关心也日益高涨,朝鲜时代的闺房工艺、针线饰品都是从女性闺房开始的,现在成为了给作家们带来灵感的设计源泉和工作原动力的传统工艺。但是,虽然将传统文化作为设计差异化的手段,以设计师自己独有的概念,从多个角度尝试多种结合,但时尚饰品的种类集中在文化商品上,虽然现在时尚饰品上新的视觉造型表现手法比过去更加多样,但未能满足要求差异化美观多样性的消费者的期待。闺房工艺针线饰品因朝鲜时代的儒教思想,不受身份阶级限制,限制女性进入社会,在女性们的住所—闺房中生活有限的特殊空间里,创造了被称为"闺房文化"的女性独有的闺房艺术。在闺房文化中,通过针线活动制作的闺房工艺针线饰品也是实用性和美价值很高的时代艺术品。因此,将综合考察蕴含朝鲜时代女性的美意识和自然主义思想,以及具有巫术性美的闺房工艺,并将具有独特装饰性造型美的闺房工艺针线小件作为本研究作品制作的主要素材。因此,将蕴含韩国情感的针线饰品的形态、颜色、图案、材料及针线技法融合为现代感与新的现代技法,目的在于提出独创性、差异化的时尚饰品的新可能性。
从研究的内容和方法来看,以研究内容的理论背景来看,第一,了解了朝鲜时代闺房工艺的概念及时代背景。第二,将朝鲜时代的闺房工艺分类为针线工具和针线饰品。第三,将朝鲜时代硅方工艺的造型性分为形态、颜色、纹样、材料、针线技法进行研究。第四,为了解现在朝鲜时期应用闺房工艺的时尚饰品事例,参考了以网站为中心活跃在线下和网络上的工艺师和闺房工艺研究会作家的作品资料进行了考察。以此为基础,在制作本研究的作品时,制作了15件运用朝鲜时代闺房工艺针线饰品的时尚饰品。在研究方法上,为了先行研究事例分析,以国内学位论文和单行本、学会刊物论文、期刊、各种文献及研究资料、网络资料、博物馆藏资料为中心,综合考察了闺房工艺针线饰品种类。

以本研究为基础,得出5个结论。
第一,在朝鲜时代背景下,只能选择女性封闭的空间—闺房进行针线活动,只有女性们制作的闺房工艺针线饰品上,用韩纸制作、贴好图案,或者为了装饰在纹样上绣上,或者打结进行装饰,表现出细致而又装饰性的美丽。这些针线饰品流传至今,告知了朝鲜时代的生活方式,现在被作家们用作优秀作品的素材。
第二,闺房工艺的针线饰品并非单纯的生活用品,而是将朝鲜时代女性的自然主义思想和美价值实用化,日常常用的针线饰品很自然,形态上呈圆形曲线,呈现柔和、宽松的形态。在颜色方面,针线小件以我们传统的色彩观"阴阳五行"的哲学思想为基础,观察了黄、青、白、赤、黑的使用情况。针线饰品中的针头和针屋的颜色也是五方色,很好地融合了原色和中间色调,可以看到粉红色、紫色、紫色、紫色、白色、红色、黄色等颜色。在纹样上,多种多样的色彩和纹样蕴含着心愿的咒术意义,并制造出了针线小物件。在材质上使用了明珠、阳丹、毛本丹、云纹丹、绗缝等,在针线技法上使用了凹槽、时针质、嵌针质、常针质、划球、绗缝技法等。
第三,在本研究的案例研究中,我们了解了目前商品化销售的韩国工艺作家的作品和应用闺房工艺研究会作家的闺房工艺针线饰品的作品。在作品中,虽然体现了作家中心的主观表现,但是了解到很多作品只是单纯地应用形态。
第四,本研究作品以案例研究为基础,应用展示最多应用事例的针线小件中针线小件和针屋的主题,开发出了能够表现现代感觉的新项链、胸针产品,在作品制作上,将闺房工艺针线小件中表现的形态、颜色、纹样、材料、针线技法应用于作品。
在形态上,针线饰品中的针插(针垫)和针盒的形态作为基本模型使用,以多样的形态感展现了新设计的造型性。饰品材料上使用了现在使用的水晶和种子珠、六角珠、棒珠、珍珠、金属材料等,纤维材料上使用了传统材料丝缎、锦缎、丝绸、云纹缎,绗缝材料上同时使用了天鹅绒、羊毛等,在韩国形象上添加了现代形象,可以重新诠释现代形态。在针线技法上, 使用了包边缝、平针缝、永久性手缝、暗针缝和西洋刺绣技法中的倒针技法(回绣针Back Stitch)、贴线缝绣技法(Couching Stitch)和西洋剪裁法与串珠技法(Peyote Stitch)、织珠网技法(Netting Stitch)。将东西方的缝纫和刺绣技法和谐地结合在一起,表现了新的审美造型的可能性和具有传统性的新领域的艺术性。由此针线饰品中的针插和针盒在时尚饰品设计上提供了新的发展方向和无限的发展潜力。对此,期待以本研究为基础,开发出粗狂、干练的东西洋相混在的项链、胸针,在韩国及世界性的饰品市场也能得到应用。

Abstract

“This study is on fashion accessories using the needlework craft of Gyubang craft in the Joseon Dynasty.” With increasing popularity of Korean culture, there is a worldwide interest in traditional culture of Korea. needlework craft of the Gyubang craft from the Joseon Dynasty is a source of design inspiration for artists that was started in Gyubang of women and has become a traditional craft. However, despite various attempts by designers to combine traditional culture with diverse forms from different angles to differentiate their design, fashion accessories are primarily focused on cultural products. Although new visual formative expression techniques in fashion accessories have been diversified compared to the past, they still fail to meet expectations of consumers who are looking for aesthetic diversity on a different level.
The needlework craft of the Gyubang craft was originated from Gyubang arts of women known as ‘Gyubang culture’ because women were restricted from social entry and had to live in their Gyubang due to Confucian ideas of the Joseon Dynasty. In Gyubang culture, the needlework craft made of needlework techniques are artworks of the time with very high utility and aesthetic value. Accordingly, after examining aesthetic senses and naturalist ideology of women in the Joseon Dynasty and shamanistic meaning of the Gyubang craft, the needlework craft of the Gyubang craft with unique ornamental beauty is to be used as the primary material for work production in this stud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possibility for original, differentiated and aesthetic fashion accessories by adding contemporary senses and techniques to shapes, colors, patterns, materials and needlework techniques of the Korean-style needlework craft.
In the contents and methods of study,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was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and timely background of the Gyubang craft in the Joseon Dynasty were examined. Second, the Gyubang craft in the Joseon Dynasty was classified into needlework tool and the needlework craft. Third, formativeness of the Gyubang craft in the Joseon Dynasty was studied in terms of shapes, colors, patterns, materials and needlework techniques. Fourth, to analyze cases of fashion accessories that using the Gyubang craft in the Joseon Dynasty, works produced by craft artists and members of Gyubang craft Academy who are active both offline and online were taken from internet websites. Based on this, 15 fashion accessories were made using the needlework craft of the Gyubang craft in the Joseon Dynasty. As for the study method, previous studies on the types of the needlework craft of the Gyubang craft were analyzed using dissertations and publications in Korea, journal articles, periodicals, literature and research data, internet data and data available in museums.
Five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s.
First, women in the Joseon Dynasty were forced to engage in needlework work in their closed Gyubang. The needlework craft of the Gyubang craft made only by women have original aesthetic formativeness decorated by patterns made of traditional Korean paper, patterns embroidered for ornamentation and ornaments made by knotting. Such artistic aspect of the needlework craft was handed down and is widely used as a source of design by artists.
Second, the needlework craft of the Gyubang craft was not simply a daily supply but an artwork that embodied naturalist ideology and aesthetic values of women in the Joseon Dynasty. Daily needlework crafts had natural and round curves imitating composure of nature. In terms of color, use of the five cardinal colors including yellow, blue, white, red and black was examined based on the traditional philosophical background of Yin and Yang. Among needlework craft works, pin cushions and needle holders used the five cardinal colors while harmonizing primary and intermediate colors. Colors used included pink, violet, purple, white, red and yellow. As for patterns, the needlework craft was made by adding shamanistic meaning to diverse and splendid patterns. Materials like Myeongju (silk), Yangdan, Mobondan, Unmundan and Nubi were used. needlework techniques like Homjil (broad-stitchign), Sichimjil (tacking), Gamchimjil (hemmig), Sangchimjil, Gonggeureugi (blind stitch) and Nubi (quilting) were used.
Third, in the case study, works of Korean craft artists currently available as products and works that applied the needlework craft of the Gyubang craft made by artists of Gyubang Craft Academy were examined. There were many simple works that only took shapes of the needlework craft while expressing subjectivity of artists.
Fourth, based on the case study, motifs of pin cushions and needle holders with the largest number of cases were used to develop new necklaces and broaches with contemporary senses. When making the works, shapes, colors, patterns, materials and needlework techniques from the needlework craft of the Gyubang craft were applied.
While using shapes of pin cushions and needle holders as the basic motifs, new visual diversity and aesthetic formativeness were presented. Crystals, seed beads, hexagonal beads, rod beads, pearls and metals were used for accessory materials. Traditional textile materials like Yangdan, Mobondan, Myeongju, Unmundan and Nubi were used with velvet and woolen fabric to combine traditoinal Korean image and contemporary image. needlework techniques like Homjil, Sangchimjil, Sichimjil and Gonggeureug were used. Western embroidery techniques such as back stitch and couching stitch were combined with Western stitch techniques like peyote stitch and netting stitch to find the possibility for new aesthetic formativeness and express new artistic aspect that fuses Eastern and Western techniques. Pin cushions and needle holders presented a new direction for unlimited development in fashion accessory desig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in the accessory market of Korea and the world by developing bold and stylish necklaces and broaches that show Eastern and Western styles at the same time.

키워드

  • # 규방공예 # 침선소품 # 바늘꽂이 # 바늘집 # 패션액세서리

  • # 闺房工艺 # 针线饰品 # 针垫 # 针盒 # 时尚饰品

  • # Gyubang craft # needlework craft # pin cushion # needle holder # fashion accessory

참고문헌

[Book]

1. 국립민속박물관, 『여성의 손끝으로 표현된 우리의 멋』, 신유문화사, 1999
2.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복식2천년』, 서울: 도서출판 신유, 1997
3. 국립문화재연구소, 『침선장』, 1998
4. 금기숙, 『이조복식미술』, 열화당, 1994
5. 김경미외 5인 『한국의 규방문화 – 국제문화편』, 박이정, 2005
6. 김영자, 『한국의 복식의미』, 민음사, 1992
7. 김숙당, 『조선재봉전서』활문사, 1924
8. 김현희(편저), 허동화(감수)『보자기』, 한국문화재 보호재단, 2000
9. 두산세계대백과사전, 서울: 두산동아.
10. 문화공보부 문화재 관리국, 『조선시대 궁중복식』, 1981
11. 빙허각 이씨, 정양완역, 『閨閤叢書(규합총서)』, 寶晉齊(보진재), 1999
12. 장신구』, 서울: 단국대학교 출판부, 1981
13. 석주선,『한국복식사』, 寶晋齊(보진제), 1971
14. 이어령, 『한국인의손. 한국인의 마음』, 서울: 디자인하우스, 1999
15. 이미석, 『우리규방문화와 침선소품』, 한국학술정보, 2005
16. 중요무형문화재 제89호,『침선장』, 서울: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17. 조효순, 『한국복식풍속사연구』, 일지사, 1995, p89
18. 허동화, 『우리규방문화』, 현암사, 1997
19. 허동화, 『옛보자기』, 서울자수박물관 출판부, 1988

[Dissertation]

1. 김보경,「규방공예의 전통 침선 기법에 관한 연구」, 대구카톨릭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2. 김문옥, 「조선시대 실패에 관한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6
3. 민지혜,「침선구를 활용한 장신구 문화상품 디자인 연구」, 201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NID 융합기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4. 박소미,「우리나라 골무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5
5. 박인자,「조선조 바늘집과 바늘꽂이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1986
6. 박소영,「전통 조각보 이미지를 이용한 장신구 디자인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7. 신민정, 「조선시대 규방 침선소품문양을 활용한 텍스타일 디자인연구」, 한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2010
8. 신지은, 「문양을 활용한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9. 이미석, 「향(香)집에 관한 연구 」,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10. 이미석, 「조선시대 규방문화와 침선 소품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11. 이은경, 「조선왕조의 포백척에 관한 연구」,서울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1
12. 이주연, 「구슬장식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13. 이정희, 「규방용품의 형태를 응용한 금속노리개」, 대구카톨릭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4. 윤보연, 「현대 패션에 반영된 전통 미의식의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5. 정봉례, 「조선조 규방용품을 응용한 장신구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16. 조양일, 「조선시대 민화를 이용한 금속제 규방용품제작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7. 최정임, 「한국 전통미와 규방공예의 현대적 이해- 텍스타일 디자인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p.15
18. 최진, 「전통문화의 조형특성과 의미해석연구」, 단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9. 황현, 「골무 이미지를 이용한 금속 작품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Academic Journal]

1. 강윤숙, “복식에 나타난 오행색 의미에 관한 연구”, 『복식』, Vol.20, 1993
2. 권병탁, “명주 짜기”, 『영남대학교 민족문화논총 제9집』
3. 권수연, 장현주, “조선시대 자수 규방공예품의 유형과 특성”, 『복식』, Vol59(4), 2009,
4. 홍성덕, “우리나라의 바느질 도구 소고 - 이조시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가정대학 의류직물학회』, Vol.4, 1972
5. 홍은정외1명, “조선시대규방문화를 반영한 패션디자인 1개발”, 『한국패션비지니스학회지』, Vol.13(1), 2009
6. 송정아, “전통규방공예를 이용한 문화상품개발”, 『한국의류산업학회지제13권』, Vol.13(4), 2011
7. 조성련외2명, “조선시대 전통자수를 활용한 셔츠와 액세서리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tume』, Vol.61(4), 2011

[Website]

1. 국립경주박물관 홈페이지, http://gyeongju.museum.go.kr, 2017.03.12
2. 국립민속박물관 홈페이지, http://www.nfm.go.kr, 2017.03.13
3. 네이버지식백과, “규방”,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84030&cid=41826&categoryId=41826 2017.10.06
4. 네이버지식백과, “오방색”,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24298&cid=40942&categor yId=31447, 2017.10.21.
5. 다음백과사전, “침선”,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v101ha520a19, 2018. 12. 07
6. 다음백과사전, “양단”, 1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07m3320a, 2017.12.02
7. 박씨 상방, http://www.koreasang.co.kr, 2018.08.28
8. “변인자”,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92&contents-id=11349, 2018.10.03
9. 우리규방, http://www.woorikyubang.co.kr, 2018.10.08
10. 윤씨방, http://www.madammyoon.co.kr, 2018.09.13
11. 네이버 위키 백과, “규방공예”, https://ko.wikipedia.org/wiki/%EA%B7%9C%EB%B0%A9%EA%B3%B5%EC%98%88 2017.06.20
12. 전통수공예품, http://korea.webben.co.kr, 2018.09.03
13. 조하나 공방, https://blog.naver.com/hanajj0411/221377339868, 2018.09.10
14. 한국관광명품점, www. souvenir.or.kr, 2018.01.12
15. 한국문화콘텐츠문화진흥원, http://www.culturecontent.com, 2018.09.15
16. 한국자수박물관 홈페이지, http://www.korea.insights.co.kr, 2018.01.16
17. 커리어패스, naver, http://path.career.go.kr/board/case/view.do?bbsSeq=127226&curPage=2, 2018.09.08.
18. 제주본태박물관 홈페이지, http://www.bontemuseum.com, 2018.08.12

[Video]

1.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한국민속대관 CD-ROM, 2018.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