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M.2019.02_02

가변형 비상설 전시공간에 관한 연구 -아트 파빌리온 전시공간을 중심으로- 对韩国传统居住的边界和迁徙的研究 A Study on the Deformable Non-permanent Exhibition Space -Focused on the Art Pavilion Exhibition Space-

  • Name : 두보위ㅣDU BOYU
  • Info : 석사학위논문ㅣ硕学位论文ㅣMaster's thesis/ 2019.02
  • Adviser : 홍관선ㅣ洪宽善ㅣHong, Kwan-Seon
192.168.95.161

초록

사회가 끊임없이 발전하기 시작하면서 비상설 전시는 고대 로마 시대의 상품 교역 같은 형식에서 오늘날과 같은 교육, 예술 문화, 대중 소통의 기능이 일체화 된 현대 복합형 전시 모델로 변화하게 되었다. 전체적인 역사 발전 과정을 살펴보면, 사람들이 물질적인 방면에서의 만족을 추구하던 과거의 모습에서 정신적 층면에서의 만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변화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대 사회 대중의 일상생활은 의식주뿐만 아니라 문화 예술 영역으로 확장되었다. 따라서 현대 예술 전시회는 대중의 예술 문화 지식 추구에 대한 역할을 함으로 사람들의 삶을 풍부히 할 뿐만 아니라 특정 사회의 문명 발달 정도를 가늠하는 척도로 작용하기도 한다. 만약 근대 이전의 공간이 고정적이고 폐쇄적이었다고 한다면, 근대에 지어진 공간의 특성은 바로 근대 이전의 공간과는 완전히 다른 융통성과 개방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 컨셉을 기반으로 현대 예술 전시관 또한 점차 건축물 내부 공간에서 실외 공간으로의 변화를 추구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외부 아트 파빌리온이라는 개념이 탄생하게 되었다. 전통적인 예술 전시관과 비교했을 때, 아트 파빌리온은 구조적 측면에서의 경량성이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아트 파빌리온은 기존의 전통 건물에 대한 사람들의 고정 관념과 고정불변의 사유 방식과 틀을 완전히 타파시켜 줄 수 있는 새로운 건축 형태이다. 또한 아트 파빌리온은 공간의 창의성과 실험성에 대한 디자이너의 표현 공간을 확장시켜 주기도 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점점 더 많은 디자이너들이 아트 파빌리온 창작 디자인 분야에 뛰어들기 시작했고, 인간과 자연 사이의 소통의 매개체가 될 수 있는 다양한 아트 파빌리온 디자인을 시도하고 있다.
21세기 현대인의 생활은 정체된 삶이 아닌 끊임없는 움직임의 삶을 의미하는 ‘리빙 인 모션-living in motion'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이동 생활 방식에 맞춘, 변형과 이동이 가능한 새로운 건축 형식이 등장하게 되었다. 사실 실제 전시공간의 발전 역사를 살펴보면, 그동안 항상 고정 불변한 건축 형식만 존재해 왔던 것이 아니라 역사의 맥락에 따라 건축 형식이 계속해서, 끊임없이 변화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오늘날까지 시대적, 사회적 수요에 따라 융통성 있는 가변형 전시 형식이 계속해서 제시되어 온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현대 사회의 발전 추세를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현대 전시공간의 고찰을 근거로, 전시공간의 영역을 아트 파빌리온까지 확장하여, 이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변형이 가능하고 구조를 분해할 수 있는 새로운 전시형 아트 파빌리온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그 공간 표현 특성에 대한 고찰과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가변형 아트 파빌리온의 변형 구현 방식과 공간 특성을 파악하고, 현대인의 생활 방식에 부합하는 전시공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전시의 역사적 기원과 발전 및 변천 과정을 바탕으로 실내 공간으로부터 개방된 외부 공간으로 옮겨지기까지 현대 비상설 전시의 발전 및 변화 과정에 대한 고찰을 진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아트 파빌리온의 개념을 이끌어내고자 한다. 또한 선행 연구를 통해 아트 파빌리온의 특성에 대한 분류 및 고찰을 진행하고, 이를 공간, 형태, 재료의 표현 특성의 세 가지로 분류했다. 이어서 가변형 건축물의 발전 과정에 대한 고찰과 유사한 개념의 키워드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가변형 건축물의 개념 및 범위를 규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가변형 건축물 공간 중에 전시된 공간 특성과 아트 파빌리온의 표현 특성 중 추출한 키워드에서 아트 파빌리온의 표현 특성을 추출하고, 이를 탈영역성, 비정형성, 비계획성으로 분류하였다. 이어서 가변형 공간의 구체적인 실현 방법과 수단에 대한 분류 관찰을 진행하였으며, 이와 동시에 관련 사례를 중심으로 가변형 공간의 공간 표현성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가변형 아트 파빌리온의 실제 사용의 실행 가능성을 고찰해 보았다.
본 연구는 가변형 아트 파빌리온 전시공간에 대한 고찰로 시대의 흐름에 따라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에 따른 가변형 아트 파빌리온의 표현 특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탈영역성은 건축물 자체가 처음부터 가지고 있는 운동 능력을 지칭하는데, 이러한 운동 능력은 자체적으로 제공되는 동력원을 통한 구역의 위치 변화에 따라 발생한다. 탈영역 공간은 자체적인 동력원을 통해 구역 범위 내 위치를 변화시킨 공간으로, 여기서 동력원은 주로 크레인과 트럭 등에서 발생하게 된다. 공간의 제약을 받지도 않고, 보조적인 변형이 가능한 특성 때문에 탈영역 공간은 구조적 측면에서 경량성이 매우 강한 편이다. 하지만 동력원에 대한 기술적 제약으로 인해 전시공간의 규모에 제약이 있어 복잡한 동선을 구축할 수가 없어 단일한 동선만이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전체적인 공간 유형은 캠핑카, 소방차 혹은 즉시 순회공연이 가능한 공연 무대와 같은 소형의 이동식 거주 공간에 적합한 편이다.
비정형성은 건축물이 외부의 압력의 영향에 따라 자체적으로 공간 형태를 변형시키는 것으로, 객체의 변화가 강조되는 것이 특성이다. 다양한 동력 유형과 소재의 형태 변화 능력에 따라 다양한 공간 형태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 또한 특성적이다. 비정형 공간은 외부의 수동식 동력원을 변형시켜 간단한 작동 방식만으로 슬라이드, 회전, 접이 가능하게 설정해 놓았다. 여기서 동력원은 주로 압축 기체, 수력 및 풍력, 태양열 에너지 등 자연 에너지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종류의 건축물은 미래의 시대적 변화에 따른 공간적 수요에 부합하며, 앞으로의 전망이 밝은 편이다. 하지만 신형 과학 기술 소재의 성능과 기능에 과도하게 의존한다는 단점 때문에 디자인 사전 제작 방면에서 제약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 단점이다. 전체적인 공간 유형은 내진가옥과 같은 긴급 재난 구조 시설에 적합한 편이다.
비계획성은 통일된 연결부 구조 유닛을 통해 각각의 구조를 연결, 조합하여 완성된 공간 유형을 말하는데, 이러한 공간의 구조 모듈은 공장에서 사전 제작을 전제로 재조립이 가능한 것이 특성이다. 비계획 공간은 모듈화를 통해 연결, 조합할 수 있어 공간을 무제한으로 만들어낼 수 있으며, 공간 확장에도 제약이 전혀 없다. 또한 공간 활용률도 매우 높은 편이다. 하지만 공간 형태가 전체적으로 단일한 편이라 창의적인, 신선한 공간을 만들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연결 모듈이 소모성이 크기 때문에 모듈의 품질에 대한 요구 수준이 매우 높은 편이다.

摘要

随着社会的不断发展,非常设展览从古罗马时代的商品交易等形式,演变为当今教育、艺术文化、大众沟通功能一体化的现代复合型展览模式。纵观整个历史发展过程,人们从过去在物质方面追求满足的样子,逐渐向精神层面的追求满足的方向转变。现代社会大众的日常生活不仅扩展到衣食住行,还扩展到文化艺术领域。因此,现代艺术展示会对大众追求艺术、文化、知识起着重要作用,不仅丰富人们的生活,还成为衡量特定社会文明发展程度的尺度。如果说近代以前的空间是固定的、封闭的,那么近代建造的空间特性就是与近代以前的空间完全不同具有灵活性与开放性。以这样的空间概念为基础,现代艺术展览馆也渐渐追求从建筑内部空间到室外空间的变化,由此诞生了外部艺术展馆(art Pavilion)的概念。与传统的艺术展馆相比,艺术展馆的特点是结构上的轻量性。艺术展馆是可以完全打破人们对传统建筑的固定观念和固定不变的思维方式和框架的新型建筑形态。另外,艺术展馆还扩展了设计师对空间创意性和实验性的表现空间。正因为如此,越来越多的设计师开始涉足艺术展馆的创作设计领域,并尝试成为人与自然沟通媒介的多种艺术展馆。
21世纪现代人的生活不是停滞的生活,而是意味着不停的移动生活,被定义为"生活-living in motion"。为适应这种移动生活方式,出现了可以变形和移动的新建筑形式。事实上,从展览空间的发展历史可以发现,一直以来,建筑形式并非都是固定不变的建筑形式,而是根据历史脉络不断变化。即,直到今天,根据时代和社会需求,不断提出灵活的、可变形展示形式。 在此背景下,本研究将以现代社会发展趋势为基础进行研究。以现代展示空间的考察为依据,将展示空间的领域扩展到艺术pavilion,并以此为研究对象,分析可变形、可分解结构的新的展示型艺术pavilion。另外,以对其空间表现特性的考察和事例分析为中心,掌握可变形艺术展馆的变形体现方式和空间特性,提出符合现代人生活方式的展示空间可能性。
本研究首先以展示的历史起源、发展及变迁过程为基础,从室内空间到开放的外部空间,现代非常设展示的发展及变化过程进行考察,并以此为基础引导艺术法比龙的概念。另外,通过先行研究,对艺术展馆的特性进行分类和考察,将其分为空间、形态、材料表现特性三种。 接着通过对可变形建筑发展过程的考察和类似概念的关键词的理论考察,规定可变形建筑的概念及范围。以此为基础,从在可弯曲建筑空间中展示的空间特点和艺术展馆的表现特征中提取的关键词中提取艺术派比龙的表现特征,并将其分类为逃役性、非典型性、非计划性。 接着对可变形空间的具体实现方法和手段进行了分类观察,同时以相关事例为中心,对可变形空间的空间表现性进行了考察。最后,以事例分析为基础,考察可变形艺术展馆的实际使用可能性。
本研究是对可变形艺术展馆展示空间的考察,根据时代的发展,以事例分析为中心进行分析,并据此概括可变形艺术展馆的表现特点如下。
非边界性是指建筑物本身一开始就具有的运动能力,这种运动能力是随着通过自身提供的动力源而产生的区域位置变化而产生的。非边界空间是通过自身的动力源改变区域范围内的位置的空间,在这里动力源主要来自起重机和卡车等。由于不受空间限制、可进行辅助变形的特性,因此,非边界空间在结构方面具有很强的轻量性。但是,由于对动力源的技术限制,展示空间的规模受到限制,无法构筑复杂的动线,因此只能实现单一的动线。整体空间类型适合露营车、消防车或可立即巡回演出的表演舞台等小型移动式居住空间。
非定形性是指建筑物根据外部压力自行改变空间形态,强调客体的变化。根据多样的动力类型和材料形态变化能力,可以创造出多样的空间形态。非典型空间将外部的手动动力源进行变形,仅通过简单的启动方式就可以滑动、旋转、折叠。动力源主要来自压缩气体、水力及风力、太阳能等自然能源。这种建筑符合未来时代变化的空间需求,具有广阔的前景。但缺点是过分依赖新型科学技术材料的性能和功能,因此在设计事前制作方面可能会受到限制。整体的空间类型比较适合抗震房屋等紧急救灾设施。
非计划性是指通过统一的连接部结构小组,将各自结构连接起来,组合而成的空间类型,这种空间的结构模块的特点是,在工厂进行事前制作的前提下可以重新组装。非计划空间通过模块化可以连接、组合,可以无限制地制造空间,空间扩张也完全没有限制。 而且空间利用率也非常高。但缺点是空间形态整体上比较单一,不适合创造创意性的新鲜空间。另外,由于连接模块的消耗性较大,所以对模块质量的要求非常高。

Abstract

With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society, the non-permanent exhibition has changed from the commodity fair in ancient Rome to the modern complex exhibition mode integrating education, art and culture, and public communication functions, which can be seen from the whole process of historical development that people have changed from the pursuit of material aspects in the past to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spiritual world. The daily life of the masses in modern society has been extended to the field of art and culture. Therefore, while enriching people's lives, modern art exhibitions have become a measure of the development of social civilization. If the space before modern times is fixed and closed, then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pace is flexible and open. Based on this spatial concept, the modern art pavilion was gradually transferred from the internal space of the building to the outdoor space, thus the concept of outdoor art pavilion was born. Compared with traditional art pavilions, art pavilion is characterized by light weight in structure, which can break people's fixed and permanent thinking pattern of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realize the designer's creative and experimental expression of space. Therefore, more and more designers are participating in the creation and design of art pavilion, trying to make it a communication medium connecting people and nature.
In the 21st century, modern people's life is defined as a way of living in motion. In order to adapt to this mobile lifestyle, new architectural forms that can be deformed and moved were born. At the same time, throughout the development history of exhibition space, it is not invariable, but with the continuous change of historical context. Therefore,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The Times and society, flexible and variable display forms are proposed. Taking this as the background, this study extended the field of exhibition space to art pavilio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trend of modern society and the survey of modern exhibition space. With modern art pavilion as the research object, this study analysis can understand the deformation and easy to break down the assembly structure of new type display form art pavilion, which can be transformed to the spac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the case as the center, fully understand the deformation of the deformable art pavilion reflects the way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put forward in accordance with the possibility of exhibition space construction of modern way of life. This study first investigated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exhibition history, and found that modern non-permanent exhibition was changing from indoor space to open outdoor space, and then introduced the concept of art pavilion. Through the first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art pavilion were classified and investigated, which were divided into space, shape and material performance characteristics. The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deformable buildings, and theoretically investigates the key words of similar concepts, and delineates the concept range of deformable buildings. On this basis, this study extracted key words from the spatial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deformable architectural space and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art pavilion, and proposed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the deformable art pavilion, which was divided into non-domain, irregularity and unplanned. Next, this study classifies and observes the concrete implementation methods and means of deformable space, and investigates its spatial expression characteristics with the case as the center.
This study is an investigation of the exhibition space of deformable art pavilio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Times, the case was taken as the center for analysis, and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deformable art pavilion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characteristic of non-domain means that the main body of the building itself has the ability to move and can provide power source to change the regional position by itself. Meanwhile, the movable space needs light structure as the premise, and the spatial boundary expansion is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space. The off-domain display space is to use the active power source to change the position within the region. Power source mainly depends on cranes, trucks and so on. It is not limited by region, and has the characteristics of auxiliary deformation, the structure is light, but due to the technical limitations of power source, the display space is limited. Therefore, as a display space, it is unable to create the fusion of complex moving lines, resulting in a relatively single form of moving lines. The space type is suitable for small mobile residential Spaces, such as limousine, fire truck, or stage for temporary touring performance.
The characteristic of shapelessness refers to the change of spatial form of the building itself under the influence of external pressure, which emphasizes the change of the object. It relies on the deformation ability of different dynamic types and materials to create various spatial forms flexibly. The amorphous display space uses external passive power source for deformation. Simple motions can be summarized as sliding, rotating, and folding. Power sources mainly rely on compressed gas, hydraulic wind, solar and other natural energy. It can be prefabricated in mass production, transported to the site for assembly. Therefore, the construction has high efficiency and strong recycling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In the process of deformation, a variety of functional requirements can be met. This type of building is suitable for the changing space requirements of the future era and has a considerable development prospect. However, it relies too much on the properties and functions of new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materials, so it will be limited in the design and prefabrication. The space type is suitable for the construction of emergency relief facilities, such as earthquake-resistant houses.
The characteristic of unplanned refers to the spatial type that can be combined and connected through the structural unit of unified interface. The structural modules can be prefabricated and assembled in the factory. The unplanned exhibition space can be infinitely extended through modular connection and combination to achieve space expansion and high space utilization. But the spatial form is relatively simple, so it is difficult to create a creative sense of space. In addition, the loss of connection module is large, so there is a strict standard on its quality.

키워드

  • # 가변형 # 전시공간 # 아트 파빌리온 # 공간 표현특성

  • # 可变型 # 展示空间 # 艺术展馆 # 空间表现特征

  • # Deformable # Exhibition Space # Art Pavilion # Spatial Expression Characteristics

참고문헌

[Book]

1. 김인권, 『전시 디자인』, 태학원, 2004
2. 송성수, 『21세기 떠오르는 전시산업』. 가을 문화사, 2003
3. 줄리아나 브루노(Juliana Bruno), 정용도 번역, 퍼블릭 인티머시: 시각예술의 공간적 확장』, 픽셀하우스, 2011
4. Fernand Braudel, The Wheels of Commerce, London: Book Club Asssociates Press, 1983
5. Fernand Braudel, The Perspective of the World ,London: Williams Collins Sons& Co Ltd Press, 1984
6. Hermione Hobhouse, The Crystal Palace and the Great Exhibition , New York: The Athlone Press, 2002
7. Jules Moloney, Designing Kinetics for architectural facades, Routledge Press, USA, 2011
8. M.M.Postan,E.E.Rich,Edward Miller, Economic Organization and Policies in the Middle Ag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5
9. Michael A.Fox, Bryant P.Yeh, Intelligent Kinetic Systems, Kinetic Design Group, Massachustts Institute of Technolgy, Department of Architecture, 2001
10. Michael A.Fox,Sustainable Applications of Intelligent Kinetic Systems,Massachustts Institute of Technolgy, Department of Architecture,2001
11. M. Schumacher, O. Schaeffer, M. Vogt, Move: architecture in motion-dynamic components and elements, Birkhauser Press, Germany, 2010
12. Paul Green halgh, Ephemeral Vistas: The Expositions Universelies, Great Exhibitions and World’s Fairs , Manchester: Manchester University Press,1988
13. Peter Cook, ARCHIGRAM,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1999
14. Robert Kronenburg, House in Motion, Wiley-Academy Press, 2002
15. Robert Kronenburg, Living in Motion-Design & Architecture for flexible Dwelling, Vitra Design Museum, 2013
16. Robert Kronenburg, Flexible: architecture that responds to change, Laurence King Press, United Kingdom, 2007
17. William M. Pena, Steven A.Parshall, Problem Seeking , John Wiley & Sons, Inc Press ,New York

[Dissertation]

1. 김선태, 「가변형 디자인에 관한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2. 김선동, 「이동 가능한 건축의 배경과 특성에 관한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 김소연, 「그리드개념을 이용한 전시공간계획의 모듈시스템 디자인 적용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NID융합기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4. 김지윤, 「키네틱 건축의 특성을 적용한 이동형 주거공간에 관한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5. 김지혜, 「소통의 장으로서의 미술관 아트 파빌리온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6. 김진호,「어린이박물관의 전시공간 규모산정 계획에 관한 연구」,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을 통하여 연구자가 정리, 제작한 것임,2008
7. 박성은, 「미술관 전시의 유형과 공간디자인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8. 박정남, 「시대적 변천에 따른 유동적 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9. 박찬언,「팽창방법과 키네틱적 움직임에 따른 공간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동서대학교디자인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11
10. 신은아, 「전시 커뮤니케이션의 기호학적 구조에 관한 연구 :Fair Stand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1. 염윤정, 「모바일 뮤지엄의 배경과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2. 이민희,「파빌리온 건축을 통한 예술적 공간경험 확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13. 이선주, 「공동주택의 개방형 실내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4. 이은아, 「콘텐츠 가변형 판매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15. 임경희, 「생활 주기의 변화에 따른 가변형 공동주택 계획」,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6. 전현호,「Serpentine Gallery Pavilion의설계방법과 구조별 재료사용방법에 관한연구」경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7. 정지원, 「현대건축의 공간사고와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8. 체웬 애르댕,「현대의 노마드적 생활양태에 부합하는 이동공간 디자인연구」,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10
19. 张弛,「临时展厅的可变性设计研究 임시 전시의 가변성에 관한 연구」,南京艺术学院 난징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12

[Academic Journal]

1. 김용승,이현선,"국내 박물관 건축의 형태적 변전과정에 관한연구”,『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2006,Vol.22(4)
2. 김유림, 문대성,"생활단위변화에 따른 공간의 이동성(Mobility) 연구”,『한국기초조형학회』,2007, Vol.8(1)
3. 김진숙, "모바일 스페이스(Mobile space)의 공간 구성 및 용법에 의한 일시적 거주 공간 개념에 관한 연구”,『한국 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04,Vol.13(5)
4. 문정인, "이동가능한 건물의 공간적 특성과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 논문집』,2006,Vol.22(3)
5. 문정인, 이상호, "키네틱 건축의 특성과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한국 실내건축학회논문집』,2006, Vol.15(2)
6. 박상준, "비정형 뮤지엄과 전시연출과의 연관 가능성에 관한 고찰”, 『한국 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논문집』,Vol.17(2)
7. 박찬호, "전시·컨벤션산업의 현황분석 및 활성 방안연구”, 『디자인포럼21』,2001, Vol.4(2001)
8. 이영수, "현대 건축의 유목적 표현특성에 관한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3, Vol. 23(1)
9. 이종세, "새로운 도시환경을 위한 가벼운 건축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한국기초조형학회』, 2004, Vol.5(2)
10. Youssef Osama Elkhayat,"INTERACTIVE MOVEMENT IN KINETIC ARCHITECTURE”,『Journal of Engineering Sciences Assiut University Faculty of Engineering』, 2014, Vol.42(3)

[Magazine]

1. +Mobile, "Mobile art park", 『C3: 건축과 환경』,no.282
2. Leon Van Schaik, Pavilions, Pop Ups and Parasols, ARCHITECTURAL DESIGN Press, 2015.05, No.235

[Website]

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전시검색”, http://stdweb2.korean.go.kr/search/View.jsp
2. 지식백과, "에코디자인검색”, https://terms.naver.com/,2018,09,02
3. 위키백과, 유클리드 기하학 https://ko.wikipedia.org/wiki/유클리드 기하학, 2018.10.15.
4. 위키 백과, "박물관 개념검색”,https://zh.wikipedia.org/zh-cn/Wikipedia, 2018.04.05.
5. 위키 백과, Folly검색, https://en.wikipedia.org/wiki/Folly, 2018.04.05.
6. Naver사전, “deformable검색”, https://dict.naver.com/search.nhn?dicQuery=deformable, 2018. 09.15
7. https://www.pinterest.co.kr/
8. SPACE BUSTER , New York United States ,2009. http://raumlabor.net/spacebuster/
9. The Dymaxion House, zeroplus-s17.sgp-a.com/wp-content/uploads/2016/03/Bucky.pdf
10. 王受之,竖向城市的出现——“建筑电讯”小组的城市,http://blog.sina.com.cn/s/blog_ 4bdabb490102f1q4. 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