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D.2020.08_05

학습자 중심의 디자인 프로세스에 나타난 디자인 사고에 관한 연구 - 브랜드 디자인 개발을 중심으로 - 关于学习者为中心的设计程序中的设计思考的研究 - 以品牌设计开发为中心 – A Study on Design Thinking in Learner-Oriented Design Process - Focused on Brand Design Development -

  • Name : 이광득ㅣ李光得ㅣLee, Gwang-Deuk
  • Info : 석사학위논문/ 硕士学位论文/ Master's thesis/ 2020.08
  • Adviser : 이진호ㅣ李振稿ㅣLee, Jin-Ho
192.168.95.161

초록

4차산업의 시대는 창의적이고 복합적인 문제해결 능력이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는데 이러한 창의는 디자인 사고와 연결되어있다. 디자인의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융합적인 사고와 유연한 능력이 요구되는데 이를 해결하려는 방법으로 디자인 사고가 주목 받고 있다. 디자인의 가치는 문제해결의 결과에 있겠지만 그 과정 또한 중요하며 디자인 사고는 디자인 전개 과정에서 발현한 디자이너의 생각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선행연구를 보면 산업과 건축디자인학과에서 사용자의 경험과 요구를 중심으로 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한 디자인 사고를 확인하고 분석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디자인 사고를 인지적 사고라는 관점에서 학생들이 디자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의 인지적인 내용을 연구 분석하였다고 보았다. 하지만 디자인 분야에서 다양하게 연구되지 않았다. 특히 시각디자인 영역에서는 이러한 연구가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시각디자인 영역에서 디자인 사고의 내용을 확인하는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브랜드 디자인 개발에서 브랜드 콘셉트의 도출, 브랜드 네이밍, 브랜드 심볼의 조형적 요소의 도출, 브랜드 로고의 스케치를 중점으로 디자인 사고의 내용과 창의적 아이디어의 발상 내용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실험의 분석은 프로토콜 분석방법 중 회상적 보고의 방법을 채택하였는데 이는 학습자들이 디자인행위를 실행한 이후에 진행한 내용을 돌아보고 생각을 적는 방법으로 실시하여 질적 연구의 분석방법으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와 유사한 목적을 가진 선행연구들은 디자인 사고의 내용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실험과정에서 영상장비를 통해 녹화하고 코딩작업을 통해 프로토콜 분석을 실시한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 과정에서 피실험자들에 제시한 질문의 내용들이 정량적 분석을 위해서는 필요하지만 본 연구자는 이 또한 디자인 사고의 흐름을 왜곡하거나 저해하는 요소로 보았다. 연구의 피실험자인 학습자가 회상적 보고를 통해 기술한 내용은 다소 주관적일 수 있다는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실험의 방법으로 제시한 1단계에서 4단계를 거쳐 학습자 중심에서 주도적인 과제의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각 단계를 지속적으로 되돌아보고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하여 각 단계에서의 회상적 보고를 통해 학습자의 생각들을 일반화하여 객관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서 알아보고자 한 실험의 과제는 다음과 같다. 1. 브랜드 디자인 개발에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도출된 내용을 확인한다. 2. 브랜드 콘셉트, 브랜드 네이밍, 브랜드 심벌의 조형 요소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아이디어의 발생시점과 이유를 살펴본다. 3. 브랜드 로고의 스케치에서 시각적 메타포의 발상 내용을 알아본다.
실험의 결과 브랜드 디자인 개발의 핵심인 브랜드 심벌의 제작을 위한 조사와 분석의 단계에서 객관적인 내용에 집중한 분석적 사고의 유형이 많았으나 직관적 사고를 통해 브랜드 심벌을 형태적 요소를 도출하는 것을 보았다. 도출된 요소를 통한 디자인 스케치 과정에서 은유와 비유적 표현을 통해 디자인 컨셉과 일치하는 표현의 방법을 사용하는 유형을 보였다. 또한 스케치 과정에서 학습자가 스케치를 보면서 시각적 자극을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현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디자인 영역 중 브랜드 디자인 개발의 한정된 영역이지만 자료조사에서부터 제작의 전 과정에서 디자인 사고의 흐름을 살펴보았다는데 그 의의를 두고 각 과정에서의 학습자 중심의 사고에서 자기 주도적인 디자인의 피드백과 수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내용을 살펴본 것에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摘要

第4次产业的时代创意性、综合性的问题解决能力被认为是重要的要素,而这种创意与设计思维相关。为了解决设计的多种问题,需要融合性的思考和灵活的能力,而解决这些问题的方法中设计思考备受瞩目。虽然设计的价值在于问题解决的结果,但是其过程也很重要,设计思考可以从设计展开过程中出现的设计师的想法中得到确认。从先行研究可以看出,工业和建筑设计系以用户的体验和要求为中心,通过设计程序确认设计思路并进行分析。学生以设计思考为认知思考的观点解决设计问题的过程中认知内容。但是,在设计领域并没有进行多样的研究,尤其是在视觉设计领域这方面的研究更不完善。
对此,本研究者要进行视觉设计领域确认设计思考内容的研究。为此,在品牌设计开发中,以品牌概念的导出、品牌名称、品牌标志的造型要素的导出、品牌商标的素描为重点,旨在了解设计思路的内容和创意构思的内容。实验的分析采用协议分析方法中的回想性报告方法,这是学习者在实施设计行为之后,回顾所进行的内容,记录想法的方法,以质的研究的分析方法应用。
与本研究有着类似目的的先行研究,为了设计思路内容的定量分析,在实验过程中通过影像设备进行录制,通过编码作业进行了协议分析。在此过程中,对被实验者提出的提问内容进行定量分析是必要的,但本研究者将此视为歪曲或阻碍设计思路的因素。作为研究的被实验者的学习者通过回想报告记述的内容多少有些主观性的局限,为了弥补这一局限,通过实验方法提出的第一阶段到第四阶段,进行以学习者为中心主导性的课题。持续回顾各个阶段,解决各阶段的问题,通过各个阶段的回想性报告,使学习者的想法普遍化,确保客观性。
本实验要了解的实验课题如下。1. 确认品牌设计开发过程中推导出的内容。2. 在推导出品牌概念、品牌名称、品牌标志的造型要素的过程中,观察创意的发生的时间和理由。3. 从品牌标志的素描中了解视觉隐喻的构思内容。
实验结果,在品牌设计开发的核心-品牌标志制作的调查和分析阶段,我们看到了很多集中于客观内容的分析性思考类型,但通过直观性思考,将品牌标志导出形态要素。在通过导出的要素进行设计素描的过程中,发现通过隐喻和比喻表现,使用了与设计概念一致的表现方法。另外,在素描过程中,学习者一边看素描,一边通过视觉上的刺激,推导出了新的想法。本研究虽然是视觉设计领域中品牌设计开发的领域有限的领域,但从资料调查到制作全过程中观察设计思路有其意义,在各个过程中以学习者为中心的思考中观察能动的设计反馈和修改的内容,具有研究的意义。

Abstract

In the era of the automobile industry, creative and complex problem-solving ability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factor, which is connected with design thinking. In order to solve various problems in design, convergent thinking and flexible skills are required, and design thinking is drawing attention as a way to solve them. The value of design will be in the result of problem solving, but the process is also important, and design thinking can be confirmed by the designer's thoughts developed during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In previous studies, it was found that the department of industry and architecture design confirmed and analyzed design thinking through the design process based on the user's experience and needs.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thinking, it was considered that students analyzed and analyzed cognitive contents in the process of solving design problems. However, it has not been studied in various ways in the design field. Especially in the field of visual design, this research is incomplete.
Therefore, this researcher intends to do research to confirm the content of design thinking in the field of visual design. To this end,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the contents of design thinking and the idea of ​​creative ideas by focusing on the derivation of brand concepts, the brand naming, the derivation of formative elements of brand symbols, and the sketching of brand logos in brand design development. As for the analysis of the experiment, a retrospective reporting method was adopted among the protocol analysis methods, which were used as an analysis method for qualitative research by conducting a method of reviewing and writing thoughts that students had made after executing a design act. Previous studies with similar objectives to this study found that recording was performed through imaging equipment and protocol analysis through coding in order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contents of design thinking. Although the contents of are necessary for quantitative analysis, this researcher also viewed this as a factor that distorts or inhibits the flow of design thinking. In order to compensate the limitations that the learner, the test subject of the study, can be subjective, the contents described through the retrospective report were conducted through the first to fourth steps suggested by the method of experiment to lead the progress of the central task in the center of the learner. . By continuously looking back at each step and solving the problem, we tried to secure objectivity by generalizing learners' thoughts through retrospective reporting at each step.
The challenges of this experiment are as follows. 1. Check the contents derived from the design process for brand design development. 2.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formative elements of brand concept, brand naming, and brand symbol, we examine the time and reason of the idea. 3. Investigate the concept of visual metaphor in the sketch of the brand logo.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re were many types of analytical thinking focused on objective content in the stage of research and analysis for the production of brand symbols, which is the core of brand design development, but we saw that the brand symbols were derived through intuitive thinking. In the process of design sketching through the derived elements, he showed a type that uses the method of expression consistent with the design concept through metaphor and metaphorical expression. Also, during the sketching process, learners looked at the sketch and expressed new ideas through visual stimulation. Although this study is a limited area of ​​brand design development among the visual design areas, it looked at the flow of design thinking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of production from data research, with the significance of self-directed design feedback and feedback from learner-centered thinking in each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tents of the revision.

키워드

  • # 디자인 사고 # 디자인 프로세스 # 프로토콜 # 메타포 # 학습자 중심

  • # 设计思考 # 设计程序 # 协议 # 隐喻 # 学习者中心

  • # Design Thinking # Design Process # Protocol # Metaphor # Learner-Centered

참고문헌

[Book]

1. 이진호, 『GUI 디자인 가이드』, 안그라픽스, 2002
2. 존R. 앤더슨 저, 이영애 역, 『인지심리학』, 을유문화사, 1990
3. 찰스 왕쉬레거, 원유홍 옮김, 『디자인의 개념과 원리』, 안그라픽스, 2008
4. 최대석, 『ergodesign』, 안그라픽스, 2008
5. 오병근, 『지식의 시각화』, 비즈앤비즈, 2013
6. 양호일,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의 신화학』, 유림출판사, 1995
7. 임연웅, 『디자인 인간공학』, 미진사, 2000
8. 임규혁, 임웅, 『교육심리학』, 학지사, 2007
9. 정경원, 『디자인경영』, 안그라픽스, 2006
10. 정시화 , 『산업디자인 150년』, 미진사, 1991
11. 최성운 , 『Design·디자인』, 조형사, 2001
12. 홍성수, 『산업디자인 이론과 실제의 적용 사례』, 디자인하우스, 2007
13. 도널드 노우먼, 『디자인과 인간 심리』, 학지사, 1996
14. 사에키 유타카, 『인지과학 혁명』, 에이콘, 2010
15. 이정모 외, 『인지심리학. 학지사』, 2009
16. 스티븐 핑커, 『마음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소소, 2007
17. 미셸 루트번스타인 , 『생각의 탄생. 에코의서재』, 2007
18. 다니엘 카너먼, 『생각에 관한 생각』, 김영사, 2012
19. 김욱동, 『은유와 환유』, 민음사, 1999
20. 임연웅, 『디자인 방법론 연구』, 미진사, 1992
21. 우흥룡, 『디자인 사고와 방법』, 창미, 1996
22. Barry, J., 『피아제의 인지적·정의적 발달』, 중아적성출판사, 1998
23. Broadbent, B., 『建築디자인 方法論』, 기문당, 1976
24. Brown, T, 『디자인에 집중하라』, 김영사, 2009
25. Cross, N, 『디자인 방법론』, 미진사, 1993
26. Jones, C, 『디자인 방법론』, 대우출판사, 1993
27. Lauer, D, 『조형의 원리』, 예경, 2006
28. Lawson, B, 『디자이너의 사고방법』, 기문당, 1989

[Academic Journal]

1. 김기수, 「제품디자이너의 인지적 사고과정 분석」,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2. 김주연, 「정보 수용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인포그래픽의 인지도 차이」,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박소담, 「정보그래픽 비주얼 표현 요소에 따라 수용자 정보처리과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4. 조현재, 「발산적 사고를 통한 대안적 시나리오의 디자인 프로세스」,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5. 진선태, 「일상적 디자인방법론에 나타난 사용자의 암묵적 지식」,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6. 김준호,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메타포의 기호학적 유형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7. 조순호, 「비주얼메타포의 수용자 설득 효과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8. 전윤희, 「비주얼 메타포 적용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효과와 패키지 태도 형성 구성체들의 인과 구조적 관계」,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9. 최웅, 「인지적 관점의 디자인 사고의 해석 및 디자인 방법 개발 가능성 모색」,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10. 변영애, 「창의성 개발을 위한 초등학교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11. 송유화, 「시네틱스 기법을 활용한 디자인 수업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 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12. 이영화,「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한 디자인 수업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중학교 미술과 교육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Magazine]

1. 이광득·이진호, “브랜드 디자인 개발 과정에서의 디자인사고에 관한 연구”,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 이광득·이진호, “인포그래픽 시각적 요소 활용에서 나타난 디자인 사고 연구”,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3. 이한석․윤기병․이정규, "디자인 과정에서 나타난 은유 사고의 분석”, 『한국디자인학회』
4. 하은아, “디자인 유형 분석을 통한 디자인 사고체계 구축”, 『한국과학예술포럼』
5. 주은우, “속도, 시각, 현대성: 시각체제의 변동과 비릴리오의 질주학적 사유”, 『한국사회학』
6. 최은지, “인포그래픽에서 정보 배경과 그 역할”,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7.최한희, 주서령, 김미정, “프로토콜 분석을 통한 창의적 디자인 전략으로서의 은유와 유추”,『한국실내디자인학회』
8. 두경일, 빅데이터의 효과적 시각화를 위한 인포그래픽 연구」,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2016
9. 이유진·전양덕. (2008), 시각언어로 표현된 한국 현대시의 시각 은유 분석, 디자인학 연구
10. G. Lakoff & M. Johnson. (1980), Metaphors We live b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1. Lieberman, P. (2000), Human language and our reptilian brain. The subcortical bases of speech, syntax, and thought, Perspectives in biology and medicine
12. Gentner, D. (1983), Structure‐apping: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nalogy, Cognitive science
13. Wolf H. (1988), Visual Thinking : Methods for Making Images Memorable, New York: Rizzoli
14. Sopory P. & Dillard J. P. (2002), The Persuasive Effects of Metaphor : A Meta-Analysis,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8(3)
15. D. L. Craig, Stalking home faber: a comparison of research strategies for studying design behavior, in Eastman C. M., et al. Eds., Design knowing and learning: cognition in design education, Elsevier, 2001
16. Cross, N. Design Thinking as a Form of Intelligence., Design Thinking Research Symposium, 2010
17. Gardener, H.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Heinemann, London, 1983
18. Nagai Y., Candy L., Edmonds E., Representations of Design Thinking. 6th Asian Design International
19. Teal, R. Developing a (non-liner)Practice of Design Thinking. International Journal of Art& Design Education

[Website]

1. http://mdesign.designhouse.co.kr/article/article_view/101/51793 요약
2. https://ko.wikipedia.org/wiki/%EB%94%94%EC%9E%90%EC%9D%B8_%EC%8B%B1%ED%82%B9
3.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77536&cid=40942&categoryId=31530
4.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72943&cid=42120&categoryId=42120
5.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32820&cid=40942&categoryId=31530
6.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39456&ref=y&cid=47319&categoryId=47319
7.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142694X18300395
8. https://cdn.evbuc.com/eventlogos/160332149/designthinkingphases.png
9. https://dschool-old.stanford.edu/sandbox/groups/designresources/wiki/36873/attachments/74b3d/ModeGuideBOOTCAMP2010L.pdf
10. https://www.designcouncil.org.uk/news-opinion/what-framework-innovation-design-councils-evolved- double-diamond
11. https://www.designcouncil.org.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