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M.2020.08_02

한국 전통주거의 경계와 전이에 대한 연구 对韩国传统居住的界限和转移的研究 A Study on the Boundary and Transition of Korean Traditional Housing

  • Name : 도레미ㅣDo, Re-Mi
  • Info : 석사학위논문ㅣ硕士学位论文ㅣMaster's thesisㅣ2020.08
  • Adviser : 박부미ㅣ朴滏美ㅣPark, Boo-Mee
192.168.95.161

초록

급속한 근대화와 산업화를 거치면서, 근대 공간 속의 경계와 전이는 가족단위의 축소와 사라짐, 공동주택의 일반화 등에 의해 제한적인 개인 영역 위주의 수평적이고 분할적인 경계와 전이적 공간으로 형성되어왔다. 주거공간은 외부와의 교류를 통하여 발전되어 사용자의 행위를 반영하며,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거나 대변한다. 따라서 오랜 기간 형성되어온 전통주거공간의 내외부 경계와 전이는 선조들의 일상과 사회적 관습에 의한 공간적 관계들을 반영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한국 전통 주거공간의 경계와 전이에 관한 선행 연구들이 중점적으로 다루었던 한국적 공간의 특성인 가변적, 위계적 경계와 전이의 유형들을 재정립하고, 공간적인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공간적 관점에서 살펴본 경계와 전이의 유형이 가지는 구조를 조사하고, 유형에 따른 특성을 분류한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전통주거의 경계는 독립된 공간이 만들어지며 형성되는 독립적 경계와 독립된 공간 내에서 영역을 세분화하는 차단적인 경계의 유형이 있다.
둘째, 전통주거의 전이는 영역이 수평적으로 연결되는 병치적 전이와 수직적으로 연결되는 병설적 전이의 유형이 있다.
셋째, 전통주거의 경계와 전이는 혼합적으로 형성되어 차단적 경계로 인해 세분화된 영역을 이동할 수 있는 경계와 전이의 통과와 행위로 인하여 공간의 기능이 변화하는 경계와 전이의 중첩 유형이 있다.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중요민속문화재로 지정된 전통 주거들을 시대 별, 지역 별, 구조 별, 공간구성 별로 분류하여 ‘경주 최부자댁’과‘강릉 선교장’으로 사례를 한정하였다. 두 사례를 중점으로 기록화 보고서 내의 배치도와 단면을 살펴보고 경계와 전이의 유형이 형성되는 구조를 분석하였으며, 각 3회에 걸쳐 사진촬영과 실측을 진행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된 내용들을 비교 분석하여 나온 결과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 주거공간은 사회적 영역으로부터 분리되어 사용자들의 성(性), 신분(身分) 등에 의해 채의 분리가 이루어지며, 지형적, 지리적 요인에도 영향을 받는다.
둘째, 전통 주거의 공간구성을 평면의 수평과 단면의 수직적인 관점에서 살펴보았을 때, 평면적 공간구성은 개방적이고 가변적, 중첩적 특성의 전이가 나타났으며, 단면적 공간구성은 분리적이고 위계적 특성의 경계가 나타났다.
셋째, 두 사례를 통하여 전통 주거공간의 경계와 전이의 유형 중 차단적 경계의 유형이 다른 유형보다 다양하게 구조인 담과 벽, 그리고 기단의 구조로 나타났다.
넷째, 툇마루에서는 계절이나 목적에 따라 경계와 전이가 중첩적으로 형성되며, 한국전통 주거공간의 가변적인 특성이 나타난다.
넷째, 툇마루에서는 계절이나 목적에 따라 경계와 전이가 중첩적으로 형성되며, 한국전통 주거공간의 가변적인 특성이 나타난다.
이와 같이 채의 분리를 통해 공간의 프라이버시를 극대화 시키거나 높낮이 차이로 영역을 분리하지만 시야의 개방과 접근의 제한을 통해 가변적인 경계구조의 활용을 통해 다양한 시퀀스(sequence)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마루와 같이 이동과 경계의 기능을 하면서 공간 활동이 확장될 수 있는 가변적인 전이공간의 활용은 기존의 고정된 관념의 전이공간에 대한 전환적 시각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전통 주거에서는 나타나는 경계와 전이에 따른 공간적 특성들을 통하여 한국의 전통성을 계승하고자하는 주택이나 한국전통 주거를 체험할 수 있는 문화공간을 계획하고자 할 때 반영하거나 적용 가능할 것이나 영역이나 공간뿐만 아니라 다른 측면에서의 가변적 기능들에 관한 현대적 해석과 시각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후속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摘要

经历快速的近代化和产业化,近代空间中的界限和转移随着家庭单位的缩小和消失、公共住宅的一般化等,形成了以受限制的个人领域为主的水平的、分割的界限和转移的空间。 居住空间通过与外界的交流而发展,反映用户的行为,形成或代言社会关系。 因此,可以认为长期形成的传统居住空间内外的界限和转移反映了祖先的日常生活和社会习惯所形成的空间关系。
以这样的背景为基础,重新整理了韩国传统居住空间的界限和转移相关的先行的研究重点谈论过的韩国空间特性—可变性、等级界限和转移类型,并从空间的角度进行了观察。 从空间角度分析的界限和转移的类型所具有的结构,根据类型分类特性的内容如下。
第一,传统住宅的界限形成独立的空间,形成的独立的界限和在独立的空间内有细分的隔断性界限的类型。
第二,传统住宅的转移有领域以水平连接的并列性转移和垂直连接的附设性转移的类型。
第三,传统住宅的界限和转移以混合形成,因隔断性界限而细分领域而可移动的界限和因转移的通过和行为,有空间功能的界限和转移的重叠类型。
以上内容为基础,将被指定为重要民俗文化遗产的传统居住按照时代、地区、结构、空间构成进行分类,限定为"庆州崔富者宅"和"江陵船桥庄"。以两个事例为重点,观察了记录画报告书的布局图和剖面,分析了界限和转移类型形成的结构,并分别进行了3次摄影和实测。通过案例分析得出的比较分析结果如下。
第一,传统居住空间从社会领域分离出来,根据使用者的性别、身份等实现房屋分离,地形和地理因素也受到影响。
第二,从平面水平和单面的垂直角度观察传统居住空间构成时,平面空间构成出现了开放的、可变的、重叠特性的转移,断面的空间构成则出现了分离性、等级特性的界限。
第三,通过两个事例,传统居住空间的界限和转移的类型中,隔断性界限的类型比其它类型更加多样,即以围墙和墙,还有基坛的结构呈现。
第四,在回廊上,根据季节或目的,形界限戒和转移重叠,呈现出韩国传统居住空间可变的特性。
第四,在回廊上,根据季节或目的,形成界限和转移重叠,呈现出韩国传统居住空间可变的特性。
像这样,通过栋的分离,将空间的隐私极大化或以高低差异分离领域,但是通过视野的开放和接近的限制,通过可变的界限结构的活用,可以提供多样的序列(sequence)。 另外,像檐板一样具有移动和界限功能,空间活动可以扩张的可变转移空间,将提供对现有固定观念转移空间的转换性视角。
通过传统居住中出现的界限和转移的空间特征,在企划继承韩国传统性的住宅或体验韩国传统住宅文化空间的体验时,在反映或应用、领域或空间或在不同侧面上的关于可变功能的实现现代性的解释和视角转换炫耀后续研究。

Abstract

Through rapid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e boundaries and transitions in modern space have been formed into horizontal and partitioned boundaries and transition spaces centered on limited personal areas by the reduction and disappearance of family units and the generalization of multi-family housing. Residential spaces are developed through exchanges with the outside world to reflect the behavior of users and to form or represent social relationships. Therefore, the internal and external boundaries and transitions of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s, which have been formed for a long time, reflect the spatial relationships of ancestors and social customs.
Based on this background, we redefined the types of variable and hierarchical boundaries and transference,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Korean space, which were mainly focused on the boundary and transition of traditional Korean residential spaces, and examined them from a spatial perspective. From a spatial perspective, the structure of the types of boundaries and metastases and the classification of characteristics by type were as follows.
First, the boundaries of traditional dwellings are the types of independent boundaries in which independent spaces are created and formed, and the types of blocking boundaries that subdivide areas within independent spaces.
Second, there is a type of parallel transfer in which the area is connect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hird, the boundary and metastasis of traditional dwellings are formed in a mixed manner, and there is a boundary where the function of space changes due to the passage and act of metastasis, and there is a type of overlap between the boundary and metastasis that can move the segmented area due to the blocking boundary.
Based on the above information, traditional dwellings designated as important folk cultural properties were classified by period, region, structure, and space composition, and the examples were limited to 'Historic House of "Rich Man" Choe, Gyeongju' and 'Seongyojang House of Gangneung'. Focusing on the two cases, the layout and sections within the recording report were examined and the structure in which the types of boundaries and transitions were formed was analyzed, and photography and actual measurements were conducted three times each. The results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cas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s are separated from social areas, and the separation of houses is made by the gender and status of users, and are also influenced by geographical and geographical factors.
Second, when the spatial composition of traditional housing was viewed from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erspective of the plane,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plane showed the transition of open, variable and overlapping characteristics, and the cross-sectional spatial composition showed the boundary of the separated and hierarchical characteristics.
Third, the two examples showed that among the types of boundaries and transference of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s, the types of barrier boundaries were more diverse than those of other types, with the structure of walls, walls, and stylobates.
Fourth, the boundary and metastasis are formed on a overlapping basis according to season or purpose, and the variabl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Korean residential space appear.
As such, the separation of the houses maximizes the privacy of the space or separates the area by height difference, but through the opening of the field of view and the restriction of access, various sequences can be provided through the utilization of variable boundary structures. In addition, the use of variable transition space, such as a floor, that can extend spatial activity while serving as a moving and boundary, will provide a transition perspective on the transition space of existing fixed ideas.
It will be reflected or applicable when planning a cultural space where people can experience traditional Korean houses or traditional Korean houses through the boundarie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housing, which appear in traditional housing, but a follow-up study should be followed by modern interpretations and changes of views on variable functions in other aspects as well as areas and spaces.

키워드

  • # 전통주거 # 경계 # 전이 # 유형 # 구조

  • # 传统居住 # 界限 # 转移 # 类型 # 结构

  • # traditional dwelling # boundary # transition # type # structure

참고문헌

[Book]

1. 권영걸,『한·중·일의 공간조영』, 국제, 2006
2. 김왕직,『알기 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동녘, 2007
3. 문화재청,『중요민속 문화재 지정조사 보고서』, 문화재청, 2015
4. 문화재청,『한국의 전통가옥-강릉선교장』, 문화재청, 2007
5. 문화재청,『한국의 전통가옥 기록화보고서 42』, 문화재청, 2013
6. 메가북 편집부,『한국전통 건축의 주거공간과 전통가옥』, 메가북, 2019
7. 신영훈, 『한국의 살림집』, 열화당, 1995
8. 임창복,『한국의 주택, 그 유형과 변천사』, 돌베개, 2011
9. 전봉희,『한옥과 한국 주택의 역사』, 동녘, 2012
10. 지식나누기 편집부, 『한옥의 전통양식과 주거문화의 체험학습』, 지식나누기, 2019
11. 한국건축역사학회,『한국건축답사수첩』, 동녘, 2006
12. 한옥공간연구회,『한옥의 공간문화』, 교문사, 2004
13. Amos Rappart,『주거형태와 문화』, 열화당, 1955

[Dissertation]

1. 곽경숙, 「한국 주거건축 경계구조의 특성과 변용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2. 김상택, 「한국 전통 주거건축 공간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경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3. 김수연, 「한국 전통건축 전이공간의 연계 및 경계 특성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4. 김일석, 「전이공간의 상호작용 양상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5. 김해영, 「전통성 개념을 표출한 현대주택의 내외부공간 경계요소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6. 신소영, 「사이공간의 의미와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7. 신수경, 「한국전통주거의 채와 채 나눔 구성방식에 관한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8. 오주원, 「전통 건축에 나타난 시지각적 경계특성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9. 윤현정, 「한국 전통 주거공간에 있어서 경계공간의 개념 및 특성」,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0. 이승진, 「한국 전통 주거건축의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11. 이재석, 「건축적 전통성 : 한국 현대건축(1956-2015)에 나타난 전통성에 대학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6
12. 조승만, 「한국 전통 공간에서 나타나는 전이공간의 유형 및 특성」,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13. 정혜석, 「전통 주거공간의 전이적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14. 한지애, 「근세이후 한중일 전통주거의 내외부 경계인식 비교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Academic Journal]

1. 김봉렬, "전통건축 속의 공간적 전이”, 『대한건축학회』, 1993, Vol.37(3)
2. 이진길, 남해경, 박한규, “한국전통 건축의 사이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조선시대 상류주택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2001, Vol.17(1)
3. 하상훈, 이영수,“건축공간관계에 따른 전이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997, Vo1.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