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Theses and Dissertations


NO.M.2020.02_04

학습참여를 높이기 위한 중국대학MOOC 웹 UID 개선 연구 关于提高学习参与的中国大学慕课网站UID改善研究 The improvement of Chinese universities MOOC web UID for learning engagement

  • Name : 李诗韵ㅣLI SHIYUN
  • Info : 석사학위논문ㅣ硕士学位论文ㅣMaster's thesisㅣ2020.02
  • Adviser : 김세화ㅣ金世和ㅣKim, Se-Hwa
192.168.95.161

초록

2012년부터 MOOC는 세계 각지에서 빠르게 발전하기 시작했다. 2019년 8월까지 데이터를 종합하면 중국 MOOC 교과목의 수도 빠르게 증가하여 1.5만 개에 달했고, 학생과 사회인 학습자 인원수는 2.7억 명에 이르렀다. 그러나 양적으로 급성장한 교과목과 참여학생들의 수에 비해 MOOC사이트에 있는 교과목들의 학습 달성도가 낮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로 인해 MOOC에서 학습의 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문제는 당면한 과제가 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MOOC의 학습효과와 MOOC학습자의 학습동기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축적되었지만, MOOC사이트 자체의 학습참여를 높이기 위한 디자인 측면의 연구는 그다지 진행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MOOC플랫폼의 학습참여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에서는 중국 최대의 MOOC사이트인 ‘중국대학MOOC’ 웹사이트에 대해서 학습자의 학습참여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디자인(user interface design, 이하 UID)의 프로토타입을 제작했다. 이에 대한 진행을 위하여 MOOC플랫폰 현황을 조사하고, 선행된 MOOC관련 이론연구와 함께, 중국에서 MOOC플랫폼을 운영하는 유사 사이트들의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대학 MOOC 사이트의 개선사항을 도출하고 기능별 UID를 개선하였다. 또한 개선된 기능별 UID의 실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성 테스트를 통해 사용자의 반응을 조사하여 개선 방안을 최종적으로 도출했다.
연구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 MOOC의 개념과 특징을 정의하고, cMOOC와 xMOOC를 구분하며, 이들의 차이점과 장단점을 정리했다. 또 중국의 MOOC플랫폼의 발전 현황을 조사했다. 그리고 학습참여의 개념을 조사하여 행동적 참여, 정서적 참여와 인지적 참여의 특징을 정리했다. 웹사이트 상에서 행동적 참여, 정서적 참여와 인지적 참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디자인 부분을 탐색하고, 중국대학MOOC와 다른 웹사이트의 대응 부분 디자인을 비교 분석하여 중국대학 MOOC 웹사이트 다자인에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찾아냈다.
다음으로,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우선 웹 기반 교수 설계 모형을 근거로 중국대학MOOC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도출했다. 그리고 MOOC 학습자의 유형, 동기와 멀티미디어 교재의 평가 요인을 결합해 개선 방향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진행하고, 최종적인 개선점을 도출했다. 마지막으로 관련 웹사이트의 디자인을 참고하고 이를 MOOC의 특징과 이론을 결합해 개선 방안을 도출하여 프로토타입 디자인 제작을 진행했다.
마지막으로 사용성 테스트를 진행했다. 30명의 참여자에게 개선 전의 중국대학MOOC UID와 개선 후의 중국대학MOOC UIDDP 대해서 학습참여와 관련된 사용성 평가(System Usability Scale, 이하 SUS)를 진행했다. 테스트 결과를 근거로 결론을 도출하고 개선 효과를 서술하여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밝혔다. 테스트 결과에 따르면 개선 후의 중국대학MOOC UID의 학습참여 향상 효과는 뚜렷하였다. 구체적으로 제안한 UID 중에서 협력 방식 설계, 학습자의 학습 수준에 대한 평가 설계, 학습자의 학습 진도 피드백 개선,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 방식 개선, 과제와 시험의 지식 포인트 분석 개선 이 5개 부분에서 학습 참여 측면에서 개선효과가 뚜렷하였다.

摘要

2012年开始慕课(MOOC)便在世界各地快速发展。甚至到了2019年8月,中国慕课课程数量仍然呈现快速增长的态势,上线慕课课程数量已经增加到1.5万门,在校生和社会学习者学习人数上涨至2.7亿人次。但是,与数量上迅速上升的科目和参与学生数相比,慕课网站的科目存在学习完成度低的问题。因此,提高慕课学习参与率是当前所需要面临的问题。目前对于慕课的学习效果和慕课学习者的学习动机已经有了多样的研究,但是为了提高慕课网站的学习参与而进行的设计方面的研究却很少出现。因此,本论文旨在提高慕课平台的学习参与度。本次研究以中国最大的慕课网站“中国大学MOOC”为对象,探索能够提高学习参与度的方案,并进行用户界面的原型制作。通过对慕课平台的现状调研,并结合慕课相关的理论研究,对在中国运营慕课平台的类似网站进行比较分析,来导出中国大学MOOC网站的改善内容,并且改善了不同功能分类的UID设计。为了确认改善后的UID的实效性,通过可用性测试来调查用户的反应,最终得出改善方案。
研究的过程如下。
首先,以理论背景定义了MOOC的概念和特征,区分了cMOOC和xMOOC,整理了他们的差异和优缺点,还调查了中国的MOOC平台发展现状。 调查学习参与的概念,整理了行动参与、情绪参与和认知参与的特征。在网站上探索能够影响行动参与、情绪参与和认知参与的设计部分,比较分析中国大学MOOC和其他网站对应部分的设计,在中国大学MOOC网站设计上找到了需要改善的部分。
其次,提出了改善方案。 首先以基于网络的授课设计模型为依据,分析了中国大学MOOC现状,并制定了改善方向。并结合MOOC学习者的类型、动机和多媒体教材的评价因素,对改善方向进行了深层分析,最终找到了改善点。最后参考相关网站的设计,结合MOOC的特征和理论,制定了改善方案,进行了原型设计制作。
最后进行了使用性测试。 对30名参与者进行了"改善前的中国大学MOOC UID"和"改善后的中国大学MOOC UIDDP"的学习和参与相关使用性评价(System Usability Scale,以下简称SUS)。以测试结果为依据得出结论,叙述改善效果,阐明了界限和今后的研究方向。根据测试结果,改善后的中国大学MOOC UID的学习参与提高效果明显。具体提出的UID中,合作方式设计、对学习者的学习水平的评价设计、改善学习者的学习进度反馈、改善学习者之间的相互作用方式、改善课题和考试的知识点分析这5个部分在学习参与方面取得了显著的改善效果。

Abstract

Since 2012, MOOC has developed rapidly around the world. If data are compiled by August 2019, the number of Chinese MOOC subjects also grew rapidly to reach 1.5 million, with the number of students and social learners reaching 2.7 billion. However, the problem is that the educational level of the subjects on the MOOC website is lower than that of the students whose number of participants and number are increasing rapidly. Therefore, increasing participation in MOOC learning has become an urgent task. Although various researches have been accumulated on the learning effect and motivation of MOOC learners, little has been done to strengthen learning participation in the design of MOOC websites themselves. Thu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mprove the learning participation of the MOOC platform.
The research team developed a prototype of User Interface Design (UID) by exploring ways to increase learners' participation in China's largest MOOC website. For this reason, it investigated the current situation of mobile phones on a MOOC platform and carried out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imilar sites operating a MOOC platform in China. Meanwhile, the related theoretical research on MOOC before was also carried out. In this way, the MOOC website of China University has been improved, and UID has been improved through functions. Besides, the user's response is investigated through usability testing, and finally, improvement measures are obtained to check the effectiveness of UIDs for each improved function. The course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we defined the concept and features of MOOC with theoretical background, distinguished cMOOC from xMOOC, and summarized their differences and their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It also looked into the status of developments in China's MOOC platform. The concept of learning participation was then investigated to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behavioral participation, emotional engagement, and cognitive participation. Explore the design sections that can affect behavioral participation, emotional participation and cognitive participation on the website, and compare and analyze the response partial design of the Chinese universities MOOC and other websites to find areas that need improvement on the Chinese universities MOOC website Daza.
Next, it proposed improvements. First of all, based on the Web-based teaching design model, the present situation of Chinese universities MOOC was analyzed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was derived. And by combining the type of MOOC learner, motive and evaluation factors of multimedia teaching materials, an in-depth analysis of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was conducted and the final improvement points were derived. Finally, we consulted the design of the relevant website and combined it with MOOC's features and theories to derive improvement measures and proceed with the production of the prototype design.
Finally, usability tests are conducted. 30 participants were evaluated for usability (system usability scale, see below). The evaluation contents include MOOC UID of China University before improvement and MOOC UIDP of China University after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conclusions are drawn and improvement measures are described to reveal it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the improved MOOC UID of Chinese universities has a clear effect on learning participation and improvement. In the proposed guidelines, there are obvious improvements in learning participation in the following five areas: designing collaborative methods, designing learner learning level assessment, improving learner learning progress feedback, improving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improving analysis of knowledge points in tasks and tests.

키워드

  • # 중국대학MOOC # MOOC플랫폼 # 학습참여 # 웹사이트UID # 사용성 테스트

  • # 中国大学MOOC # 慕课平台 # 学习参与 # 网页UID # 可用性测试

  • # Chinese Universities MOOC # MOOC Platform # Learning Engagement # Website UID # Usability Test

참고문헌

[Book]

1. 李秉德(리빙덕), 『教学论(교수논)』, 人民教育出版社(인민교육출판사), 2001
2. Steve Krug, Don't Make Me Think, Revisited: A Common Sense Approach to Web Usability (3rd Edition), New Riders, 2014

[Dissertation]

1. 우기, 「이러닝을 통한 학습자의 만족도, 학습성과와 재사용의도에 대한 연구: 중국 MOOC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석사학위논문, 2018
2. 정연지, 「MOOC 학습참여 및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교수자, 학습지원환경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공학과 석사학위논문, 2017
3. 정혜미, 「MOOCs(Massive Open Online Courses)를 활용한 초급 한국어 강좌의 학습자 상호작용 유형 분석:‘First Step Korean’의 사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2016
4. 남상은, 「K-MOOC에서 상호작용의 정도와 패턴분석」, 영남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학전공 석사학위논문, 2016
5. 한희진, 「고등학생의 학습참여가 학교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2016
6. 전혜미, 「UX 디자인에 기반한 K-MOOC 서비스 사용성 개선에 관한 연구: 인터페이스와 인터랙션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인터랙션디자인전공 석사학위 논문, 2017.
7. 문수민, 「K-MOOC에 나타난 유니버설 웹 디자인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2018.
8. 이유정, 「웹 환경에서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위한 웹 유저빌리티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멀티미디어학 전공 석사학위 논문, 2005.
9. 권선주, 「웹 기반 교육사이트 분석 및 효과적 활용에 관한 실증적 연구」, 공주대학교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2003.
10. 김보민, 「협력적 문제해결학습을 활용한 사회참여미술 수업지도방안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 전공 석사학위논문, 2019

[Academic Journal]

1. 황상민, 김성일, 김소영, 변은희, 이재호, 조광수, 최상섭, 이정모, “멀티미디어 매체의 특성과 학습 효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 『교육공학연구』, 1998, 제14권 제2호
2. 董博(동보),张银玲(장잉령),“MOOC的发展及应用(MOOC의 발전과 응용)”,『科技资讯(과학 기술 정보)』, 2016, Vol.14(36)
3. 宋娟(송주옌),黄建诗(황지옌스),“浅谈慕课在中国高校中的现状及发展趋势(MOOC가 중국 고교에서의 현상 및 발전 추세를 가볍게 논함)”, 『学教育(학교육)』, 2017, Vol.9
4. 韩锡斌(한시빙), 翟文峰(디문퐁), 程建钢(청지옌강), “cMOOC与xMOOC的辩证分析及高等教育生态链整合(cMOOC와 xMOOC의 변증 분석 및 고등교육 생태 사슬 통합)”, 『现代远程教育研究(현대 원격 교육 연구)』, 2013, Vol.6
5. 车延(차연),张小山(장소산),“慕课的发展现状分析(MOOC의 발전현황 분석)”,『成都工业学院学报(청두 공업대학 학보)』, 2017, Vol.20, No.4
6. 梁林梅(량링메이),李晓华(리샤오화),“让技术为学生提供更强大的参与经验—访哈佛大学学习技术专家克里斯·德迪博士(기술은 학생들에게 더 강력한 참여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 하버드 대학 학습 기술 전문가인 크리스 더디 박사 방문)”,『中国电化教育(중국 전기화 교육)』,2010, Vol.(9):1-6
7. Andrew Ravenscroft, Dialogue and Connectivism: A New Approach to Understanding and Promoting Dialogue-Rich Networked Learning, International Review of Research in Open and Distance Learning, 2011, Vol. 12.3
8. Yao Xiong, Hongli Li, Kornhaber, Mindy L., Hoi K. Suen, Pursel Barton, Deborah D.Goins, Examining the Relations among Student Motivation, Engagement, and Retention in a MOOC: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Global Education Review, 2015, Vol.2 n3
9. Ayse Saliha Sunar, Su White, Nor Aniza Abdullah, and Hugh C. Davis., How learners’ interactions sustain engagement: a MOOC case study, JOURNAL OF LATEX CLASS FILES, 2016, VOL.X, NO.X
10. Samuel Ssemugabi, Ruth de Villiers, A Comparative Study of Two Usability Evaluation Methods Using a Web-Based E-Learning Application, SAICSIT '07 Conference Paper, 2017, pp.132-142
11. John Brooke, SUS - A quick and dirty usability scale, Usability evaluation in industry, 1996, pp.189-194
12. Aaron Bangor, Philip Kortum, James Miller, Determining What Individual SUS Scores Mean: Adding an Adjective Rating Scale, Journal of usability studies, 2009, Vol. 4, Issue 3

[Website]

1. 위키백과, “Massive open online course”, https://en.wikipedia.org/wiki/Massive_open_online _course
2. 네이버,“인지전략”,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944480&cid=41989&categoryId= 41989
3. 네이버, “메타포”,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894198&cid=42642&categoryId=42642
4. 行业频道, “2016年我国慕课学习用户人数、男女比例、年龄构成、职位构成及课程偏好情况分析”, http://www.chyxx.com/industry/201611/472384.html
5. MARTIS J, “Site statistics of MIT Open course ware”, http://ocw.mit.edu/about/site- statistics
6. Weebly, “Cognitive Demand Within Tasks”, https://mathematicaltasks.weebly.com/cognitive-demand-defined.html